$\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남녀 노인의 건강 및 영양섭취 실태 비교: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omparison of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considering the household income level, using the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4 no.1, 2021년, pp.39 - 53  

길진모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7기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식생활, 건강생활특성 및 영양섭취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 수는 전체 1,355명이었으며, 남자 노인 41.5% (558명), 여자 노인 58.5% (797명)로 소득수준별로 저소득군 48.3%, 중소득군 40.9%, 고소득군이 10.5%로 나타났다.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가구 유형에서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여부는 남자 노인에서만 소득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식생활 실태에서는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외식 횟수가 많았으며 점심, 저녁 식사의 동반자가 있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살펴보면 남자 노인의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이 좋다고 느끼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저작 불편 여부에서도 소득이 낮을수록 불편을 느끼는 노인의 비율이 높았다. 비만,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은 노인의 가구소득수준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여자 노인의 경우 고소득군보다 저소득군에서 고혈압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량은 남녀 모두 소득이 높아질수록 에너지섭취량이 증가하였으며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소득수준별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단백질과 지질의 섭취량은 소득수준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단백질, 지질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남자 노인의 경우 인, 칼륨,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차이를 보여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노인은 칼슘, 인, 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의 섭취량에서 소득수준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리보플라빈의 경우 남녀 노인 모두에서 소득수준별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녀 노인의 총 식품섭취량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비례해서 섭취량도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노인의 경우 과일류 (p < 0.001), 해조류 (p < 0.05), 계란류 (p < 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소득이 높아질수록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당류 (p < 0.001), 계란류 (p < 0.001), 음료류 (p <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아질수록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남녀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영양 및 식품섭취량에 차이가 있으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에너지섭취량, 특히 단백질과 지질 섭취량이 많았고 미량영양소에서도 남자와 여자노인에 따라 섭취량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남녀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사회경제적 요인과 가구 유형, 사회환경 등이 식생활 및 영양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 대상 영양지원 또는 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노인의 성별, 소득수준별로 세분화된 내용구성이 필요하며, 건강한 식생활과 생활습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영양교육 및 영양지원 프로그램이 설계되어 제공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behavior,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by considering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of elderly people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VII) 2018.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355 elderly people over 6...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7-2067)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20 Nov 23]. Available from: https://kosis.kr/.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9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0 [cited 2020 Nov 25].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20000&brdScnBltNo4&brdBltNo2312.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healthy meals for the elderly.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4. de Morais C, Oliveira B, Afonso C, Lumbers M, Raats M, de Almeida MD. Nutritional risk of European elderly. Eur J Clin Nutr 2013; 67(11): 1215-1219.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national health statistic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6. Park MS, Suh YS, Chung YJ. Comparison of chronic disease risk by dietary carbohydrate energy ratio in Korean elderly: using the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4; 47(4): 247-257. 

  7. Lee HS.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5): 479-489. 

  8. de Mestral C, Marques-Vidal P, Gaspoz JM, Theler JM, Guessous I. In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indicators and macro- and micro-nutrient intake in Switzerland. PLoS One 2017; 12(4): e0174578. 

  9. Si Hassen W, Castetbon K, Cardon P, Enaux C, Nicolaou M, Lien N, et al. Socioeconomic indicators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nutrient intake in French adults: a DEDIPAC study. Nutrients 2016; 8(3): 158. 

  10. Darmon N, Drewnowski A. Does social class predict diet quality? Am J Clin Nutr 2008; 87(5): 1107-1117. 

  11. Choi J, Moon HK.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s by sex and urbanization in different economic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3): 346-358. 

  12. So EJ, Joung H. Socio-economic status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nadequate energy intake among Korean elderly. J Nutr Health 2015; 48(4): 371-379. 

  13. Oh JH, Jung BM. Comparison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family statu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6. Korean J Community Nutr 2019; 24(4): 309-320. 

  14. Kim EM, Choi MK. An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5): 818-827. 

  15. Han G, Yang E. Evaluation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intake of Korean Elderly: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8; 28(4): 258-271. 

  16. Yang YJ.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dults depending on household food security: based on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1): 30-40. 

  17. Bae A, Yoon J, Yun SY, Asano K. Dietary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young-old and the old-old by food security status: analysis of data from the 6th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9; 52(1): 104-117. 

  18. Lee S, Lee KW, Oh JE, Cho MS. Nutritional and health consequences are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among Korean elderly: based on the fifth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J Nutr Health 2015; 48(6): 519-529. 

  19. Park JE, An HJ, Jung SU, Lee Y, Kim CI, Jang YA. Characteristics of the dietary intake of Korean elderly by chew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J Nutr Health 2013; 46(3): 285-295. 

  20. Han G. Evaluation of chronic disease and nutritional intake by obesity of Korean elderly: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Korean J Food Nutr 2020; 33(4): 428-439. 

  21. Jang W, Ryu HK. Socio-economic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nadequate protein intake among Korean elderly: based o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2016-2018.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20; 31(2): 215-228. 

  22. Ahn SH, Son SM, Kim HK. A study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aged over 50: based on 2005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4): 463-478. 

  23. Koo S, Park K.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quent eating out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5): 705-712. 

  24. Kim HK, Chung J. Associations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nutrient intake,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dults based on the 2013-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9; 52(5): 435-448. 

  25. Kimura Y, Wada T, Okumiya K, Ishimoto Y, Fukutomi E, Kasahara Y, et al. Eating alone among community-dwelling Japanese elderly: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food diversity. J Nutr Health Aging 2012; 16(8): 728-731. 

  26. Kushida O, Moon JS, Matsumoto D, Yamasaki N, Takatori K. Eating alone at each meal and associate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Japanese elderly living with other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KAGUYA study. Nutrients 2020; 12(9): 2805. 

  27. Do HJ, Lee Y. A study on customiz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for the lowincom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716-729. 

  28. Kim Y.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socioeconomic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4): 645-656. 

  29. Park JA, Yoon JS. Dietary behaviors and status of nutrient intakes by the obesity levels of housewive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623-6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