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비만도에 따른 만성질환 및 영양섭취 실태조사 -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자료를 이용하여 -
Evaluation of Chronic Disease and Nutritional Intake by Obesity of Korean Elderly -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4, 2020년, pp.428 - 439  

한규상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obesity in the elderly older than age 65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245 elderly older than age 65 who p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들의 경우에는 비만과 대사증후군, 식습관과 비만도, 식생활과 만성질환 관계를 살펴 본 연구들로 노인 대상 비만, 만성질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실태 등을 동시에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2016~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만성질환 현황을 비만단계별로 살펴보고, 비만도에 따른 만성질환,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의 노인의 비만도에 따른 만성질환 및 영양소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건강설문조사와 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노인 3,245명이었으며, 남자 노인이 4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비만은 무엇을 야기하는가? 4%로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9). 노인의 비만은 식습관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Song & Park 2015), 노년기 식품 섭취와 관련된 기능 저하는 영양섭취 불균형을 초래하고, 이는 질병이환율을 높이는 원인이 되며, 특히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노인의 경우 질병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따라서 질병 예방 및 건강한 노년을 위해서는 균형 있는 식생활과 영양공급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노인들의 만성질환, 식생활 실태 파악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65세 이상의 노인의 비만도에 따른 만성질환 및 영양소 섭취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노인의 37.5%가 비만이었으며, 남자 노인은 31.8%, 여자 노인 42.4%의 비만도를 보였고, 당뇨병은 남녀 평균 24.6%의 유병률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고혈압은 남자 노인 61.4%, 여자 노인 64.5%의 유병률이 보였으며,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남자 노인(24.9%)보다 여자 노인( 44.2%)이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01). 체질량지수(BMI)는 남자(23.7 kg/m2)보다 여자(24.5 kg/m2)가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01). 만성질환 유병 여부의 판단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신체계측 및 혈압, 혈액검사 지표 중에 비만도, 최종수축기혈압, 총콜레스테롤 측정값에서 모두 여자 노인이 남자 노인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01). 남녀 노인 모두 저체중, 정상에서 비만으로 갈수록 당뇨병,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남자의 경우 정상에 비해 비만일 경우 당뇨병 유병률이 2.23배, 고혈압은 4.23배, 고콜레스테롤혈증 2.40배, 고중성지방혈증 2.82배 높았다(p<0.001). 여자의 경우 정상에 비해 비만일 경우 당뇨병 2.39배, 고혈압 3.05배, 고콜레스테롤혈증 1.47배, 고중성지방혈증 1.87배 높았다(p<0.001) 남녀 노인의 총 식품 섭취량은 저체중에서 비만으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남자 노인의 경우 두류(p<0.05), 채소류p<0.001), 버섯류(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비만군에서 많이 섭취하였다.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감자·전분류를 비만군에서 가장 많이(p<0.001) 섭취하고 있었다. 영양소별 섭취량은 남녀 노인 모두 비만으로 갈수록 에너지섭취량이 증가하였는데, 여자 노인은 ‘비만전단계’군에서 에너지 섭취량이 가장 많았다. 남자노인의 경우 단백질은 ‘저체중’군에서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며, 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은 ‘비만’군으로 갈수록 섭취량이 많았다. 여성들은 칼슘, 인, 비타민 C는 ‘정상’군에서, 지방, 탄수화물, 철분, 나트륨은 ‘비만전단계’군에서, 단백질, 식이섬유, 칼륨은 ‘비만’군에서 섭취량이 많았다.
비만은 어떠한 요인인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Kim 등 2001; Mokdad 등 2003; Letonturier P 2007), 60세 이상 노년기의 비만(≥25 kg/m2) 유병률은 2008년 평균 33.3%에서 2018년 3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drogue HJ, Madias NE. 2007. Sodium and potassium in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N Engl J Med 356:1966-1978 

  2. Appel LJ, Sacks FM, Carey VJ, Obarzanek E, Swain JF, Miller ER, Conlin PR, Erlinger TP, Rosner BA, Laranjo NM, Charleston J, McCarron P, Bishop LM, for the OmniHeart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2005. Effects of protein, monounsaturated fat, and carbohydrate intake 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Results of the OmniHeart randomized trial. JAMA 294:2455-2464 

  3. Bae A, Yoon J, Yun SY, Asano K. 2019. Dietary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young-old and the old-old by food security status: Analysis of data from the 6th(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52:104-117 

  4. Cha GH, Kim J, Park HR, Park HS, Youn SJ, Park JH, Park J, Cho HY, Choi MJ, Shin JK. 2016.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in Jeonju, north Jeolla province. Food Eng Prog 20:35-52 

  5. Choi SB, Kwak JH, Chung HK, Kang HJ, Paik JK. 2020.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between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non-single person households in elderly subjects: From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2015). Korean J Food Nutr 33:322-330 

  6. Chung JY, Lee MY, Kim MJ. 2010.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health-related habits and nutrients intak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5:445-459 

  7. Grundy SM, Hansen B, Smith SC, Cleeman JI, Kahn RA, and for Conference Participants. 2004. Clinical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Report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onference on scientific issues related to management. Circulation 109:551-556 

  8. Han G, Yang E. 2018. Evaluation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intake of Korean elderly: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J East Asian Soc Diet Life 28:258-271 

  9. Han TS, Lean ME. 2016. A clinical perspective of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JRSM Cardiovasc Dis 5:1-13 

  10. Jung DH, Kim JH. 2018. Relationships among muscle mass and obesity, metabolic syndrome, physical activity, and nutrient intake in elderly women: Based on the 4th-5th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9:469-483 

  11. Kim MH, Lee SH, Shin KS, Son DY, Kim SH, Joe H, Yoo BW, Hong SH, Cho CY, Shin HS, Cho YJ, Oh JE. 2020. The change of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its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for decad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2008-2017. Korean J Fam Pract 10:44-52 

  12. Kim MH. 2013.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elderly: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Korean J Food Nutr 26:515-525 

  13. Kim NS, Moon OR, Kang JH, Lee SY, Jeong BG, Lee SJ, Yoon TH, Hwang KH. 2001. Increasing prevalence of obesity related disease for Koreans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Korean J Prev Med 34:309-315 

  14.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8. Chronic Disease Status and Issues.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15.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9.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16.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Elderly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Lee JA, Lee JS, Park JH. 2012. Metabolic syndrome perception and exercise behaviors in the elderly.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9:61-75 

  18. Lee Y, Choi Y, Park HR, Song KH, Lee KE, Yoo CH, Lim YS.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for development of "Village Lunch Table" program: Based on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50:171-179 

  19. Letonturier P. 2007. Obesity, a worldwide epidemic. Presse Med 36:1773-1775 

  20. Lim DH, Yoon SH, Oh KW. 2018. Trends in dietary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burden of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s: Findings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5. Public Health Wkly Rep 11:27-33 

  21. Lim J, Kim S, Ke S, Cho B. 2011. The prevalence of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elderly in general population. Korean J Fam Med 32:128-134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Guidelines for Healthy Meals for the Elderly. pp.16-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The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 [cited 30 July 2020] 

  25. Mokdad AH, Ford ES, Bowman BA, Dietz WH, Vinicor F, Bales VS, Marks JS. 2003. Prevalence of obesity, diabetes, and obesity-related health risk factors, 2001. JAMA 289:76-79 

  26. Oh JE. 2016. Relationship between weekly physical activity frequency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Obes 25:77-83 

  27. Park HJ, Hwang YJ, Kim WY. 2006. Inflammatory cytokines and dietary factors in Korean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Korean J Nutr 39:372-380 

  28. Park S, Kim HJ, Kim K. 2020. Do where the elderly live matter? Factors associated with diet quality among Korean elderly population living in urban versus rural areas. Nutrients 12:E1314 

  29. Park SH, Han HS, Chang KJ. 2019.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by nutritional anemia and the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anemia and chronic diseases in Korean elderly: Based on the 2013-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 Res Pract 13:543-554 

  30. Park SY, Gu MO. 2017. The influencing factors on sarcopenic obesity among male and female aged in Korea: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J Korean Data Anal Soc 19:1039-1054 

  31. Seo E, Hwang YI, Cheong HS, Park E. 2011. A study on health conditions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women in Gyeongnam.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311-324 

  32. Shin JH, Yoon YS, Yang YJ, Lee ES, Lee JH, Kwak HL, Kim K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s. Korean J Fam Pract 1:101-110 

  33. Shin S, Lee S. 2020. Relation between the total diet quality based on Korean healthy eating index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constituent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a prospective cohort of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5:61-70 

  34. Song ES, Kim EJ, Kim MH, Choi MK. 2011.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persons at nursing home or their home in Chungnam.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649-660 

  35. Song HY, Park HE. 2015. The relations of the elderly's eating habits with their obesity. J Korea Acad Ind Coop Soc 16:5404-5412 

  36. Statistics Korea. 2017. 2017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37. Statistics Korea. 2019. 2019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38. Suh YS, Park MS, Chung YJ. 2015. An evaluation of chronic disease risk based on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carbohydrates and the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in the Korean elderly: Using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41-52 

  39. Tsugane S. 2005.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96:1-6 

  40. Yoon E, Chun SS. 2013. Dietary patterns among the elderly in Jeollanam-do area based on their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state. Korean J Food Nutr 26:783-796 

  41. Yun JH, Kang MJ, Kim SH, Kim TH, Park YW, Sung YK, Sohn JH, Song BJ, Uhm WS, Yoon HJ, Lee OY, Lee JH, Lee CB, Lee CH, Jung WT, Chos JY, Choi HS, Han DS, Bae SC. 200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J Korean Rheum Assoc 11:263-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