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년도 분광 데이터를 이용한 콩의 생체중, 엽면적 지수 추정
Estimation of Fresh Weight and Leaf Area Index of Soybean (Glycine max) Using Multi-year Spectral Dat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3 no.4, 2021년, pp.329 - 339  

장시형 (경상국립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유찬석 (경상국립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강예성 (경상국립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박준우 (경상국립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태양 (경상국립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강경석 (경상국립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박민준 (경상국립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백현찬 (경상국립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박유현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  강동우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  쩌우쿤옌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  김민철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  권연주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  한승아 (부산대학교 생) ,  전태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콩은 논 대표적인 밭작물로써 온도, 수분, 토양과 같은 환경 조건에 민감하기 때문에 재배 시 포장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작물 상태를 비파괴적, 비접촉적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분광 기술을 활용한다면 작황 예측, 작물 스트레스 및 병충해 판별 등 생육 진단 및 처방을 통해 품질과 수확량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익 무인기에 탑재된 다중분광 센서를 이용하여 시험 포장에서 콩 생육 추정 모델 개발하고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농가 포장에 검증을 수행하였다. 분광 데이터로 산출된 정규화 식생지수(NDVI, GNDVI), 단순비 식생지수(RRVI, GRVI)와 콩 생육 데이터(생체중, LAI)를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괴산에 위치한 농가포장에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생체중의 경우 정규화 식생지수를 이용 시 포화되기 때문에 단순비 식생지수 GRVI를 이용한 모델의 성능이 가장 높았다(R2=0.74, RMSE=246 g/m2, RE=34.2%). 괴산 농가 포장에 생체중 모델 검증 결과 RMSE=392 g/m2, RE=32%로 나타났으며 작부 체계별 나누어 검증 결과 단작 포장과 이모작 포장 생체중 모델은 RMSE=315 g/m2, RE=26% 및 RMSE=381 g/m2, RE=31%로 나타났다. 작부 체계별 포장과 적산온도가 유사한 연도별 시험 포장(2018+2020년, 2019년)을 나누어 생체중 모델 개발한 결과 단년도(2019년)의 성능이 높게 나타났다. 작부 체계별 적산온도가 유사한 검증과 기존 검증 간 비교 결과 단작 포장은 RMSE 및 RE를 기준으로 각각 29.1%와 34.3%로 개선되었으나 이모작 포장은 -19.6%, -31.3%로 저하되었다. 적산온도 이외의 환경 요인, 분광 및 생육 데이터 추가 시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재배되는 콩 생육을 추정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ybeans (Glycine max), one of major upland crops, require precis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water, and soil, during cultivation since they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Application of spectral technologies that measure the physiological state of crops re...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25)

  1. Ahn, H. Y., S. I. Na, C. W. Park, S. Y. Hong, K. H. So, and K. D. Lee, 2020: Analysis of UAV-based multispectral reflectance variability for agriculture monitoring.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6-1), 1379-1391. 

  2. Ashley, D. A., and W. J. Ethridge, 1978: Irrigation effects o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development of three soybean cultivars 1. Agronomy Journal 70(3), 467-471. 

  3. Candiago, S., F. Remondino, M. De Giglio, M. Dubbini, and M. Gattelli, 2015: Evaluating multispectral images and vegetation indices for precision farming applications from UAV images. Remote sensing 7(4), 4026-4047. 

  4. Gitelson, A. A., Y. J. Kaufman, and M. N. Merzlyak, 1996: Use of a green channel in remote sensing of global vegetation from EOS-MOD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8(3), 289-298. 

  5. Jang, S. H., C. S. Ryu, Y. S. Kang, S. R. Jun, J. W. Park, H. Y. Song, K. S. Kang, D. W. Kang, K. Zou, and T. H. Jun, 2019: Estimation of fresh weight, dry weight, and leaf area index of soybean plant using multispectral camera mounted on rotor-wing UAV.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4), 327-336. 

  6. Jung, K. Y., E. Y. Yun, C. Y. Park, J. B. Hwang, Y. D. Choi, S. H. Jeon, and H. A. Lee, 2012: Effect of soil compaction levels and textures on soybean (Glycine max L.) root elongation and yield.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3), 332-338. 

  7. Kang, Y. S., S. H. Kim, J. G. Kang, Y. K. Hong, T. K. Sarkar, and C. S. Ryu, 2016: Estimation of leaf dry mass and nitrogen content for soybean using multi-spectral camera mount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0(6), 183-190. 

  8. Kang, Y. S., C. S. Ryu, S. H. Kim, S. R. Jun, S. H. Jang, J. W. Park, and T. K. Sarkar, 2018: Yield prediction of Chinese cabbage (Brassicaceae) using broadband multispectral imagery mounted unmanned aerial system in the air and narrowband hyperspectral imagery on the ground.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43(2), 138-147. 

  9. Kang, Y. S., J. W. Nam, Y. Kim, S. T. Lee, D. G. Seong, S. H. Jang, and C. S. Ryu, 2021: Assessment of regression models for predicting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multispectral imagery. Remote Sensing 13(8), 1508. 

  10. Kim, I. J., S. Y. Son, S. Y. Nam, I. M. Ryu, T. J. Kim, C. H. Lee, and T. S. Kim, 2004: Effect of alternative row pinching on growth and yield in soybean.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9(6), 457-462. 

  11. Kurbanov, R. K., and N. I. Zakharova, 2020: Application of vegetation indices to assess the condition of crops. Agricultural Machinery and Technologies 14(4), 4-11. 

  12. Lee, J. E., G. H. Jung, S. K. Kim, M. T. Kim, S. H. Shin, and W. T. Jeon, 2019: Effects of growth period and cumulative temperature on flowering, ripening and yield of soybean by sowing time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64(4), 406-413. 

  13. Lee, K. D., S. I. Na, C. W. Park, S. Y. Hong, K. H. So, and H. Y. Ahn, 2020: Diurnal change of reflectance and vegetation index from UAV image in clear day condi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5-1), 735-747. 

  14. Lee, K., H. An, C. Park, K. So, S. Na, and S. Jang, 2019: Estimation of rice grain yield distribution using UAV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4), 1-10. 

  15. Lee, Y. H., H. S. Cho, J. H. Kim, W. G. Sang, P. Shin, J. K. Baek, and M. C. Seo, 2018: The effects of increased temperature on seed nutrition, protein, and oil contents of soybean [Glycine max (L.)].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63(4), 331-337. 

  16. Lee, Y. H., W. G. Sang, J. I. Cho, and M. C. Seo, 2019: Duration of drought stress effects on soybean growth characteristic and seed yield distribution patter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4), 269-276. 

  17. Morellos, A., X. E. Pantazi, D. Moshou, T. Alexandridis, R. Whetton, G. Tziotzios, J. Wiebensohn, R. Bill, and A. M. Mouazen, 2016: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of soil total nitrogen, organic carbon and moisture content by using VIS-NIR spectroscopy. Biosystems Engineering 152, 104-116. 

  18. Mutanga, O., and A. K. Skidmore, 2004: Narrow band vegetation indices overcome the saturation problem in biomass esti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5(19), 3999-4014. 

  19. Rouse, J. W., R. H. Haas, J. A. Schell, and D. W. Deering,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NASA Special Publication 351, 309pp. 

  20. Scott, H. D., J. DeAngulo, M. B. Daniels, and L. S. Wood, 1989: Flood duration effects on soybean growth and yield. Agronomy Journal 81(4), 631-636. 

  21. Scott, W. O., and S. A. Aldrich, 1983: Modern soybean production. S&A Publication. Inc., Champaign, Illinois. 

  22. Perry, E. M., and J. R. Davenport, 2007: Spectral and spatial differences in response of vegetation indices to nitrogen treatments on apple.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59(1-2), 56-65. 

  23. Souza, G. M., T. A. Catuchi, S. C. Bertolli, and R. P. Soratto, 2013: Soybean under water deficit: physiological and yield responses. A Comprehensive Survey of International Soybean Research: Genetics, Physiology Agronomy and Nitrogen Relationships, 273-298. 

  24. Stehr, N. J., 2015: Drones: The newest technology for precision agriculture. Natural Sciences Education 44(1), 89-91. 

  25. Wang, J., B. Gong, Y. Wang, Y. Wen, J. Zhou, and Q. He, 2017: The potential multiple mechanisms and microbial communities in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rocess treating high carb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saline wastewater. Bioresource Technology 243, 708-7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