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택트 환경에서의 스마트 인터랙션 공간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Smart Space Model in the Untact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 2021년, pp.89 - 97  

윤창옥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병춘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권경수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언택트(Untact) 시대에 강제적인 실내 생활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간 환경들의 연계성과 관계성이 높아졌다. 즉, 다양한 공간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환경은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주변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필요한 장소와 시간에 맞게 사용자에게 정보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정보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인터랙션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인터랙션 환경을 중심으로 인터랙션 공간 설계를 위한 패턴들에 대해서 연구한다. 즉, 인터랙션 모델기반의 기술을 통해 공간 중심으로 인터랙션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사례를 기반으로 패턴과 템플릿 연구를 통해 이상적인 인터랙션 환경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인터랙션 환경에 적합한 공간 중심 인터랙션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forced indoor living has increased in the untact era, the conne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pace environments is increasing. That is, the smart interaction environment for providing services in various spaces collects and processes a number of surrounding environme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문에서는 사용자 상황 모델에서 공간 중심으로 인터랙션모델 설계가 가능하며 기존 모델을 단순화한다. 따라서, 공간 패턴에 대한 개념과 상관관계를 통해 인터랙션 공간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인터랙션 모델에서 월드 공간, 액션 공간, 디스플레이 영역, 인터랙션 영역, 조작 셋, 어플리케이션 셋을 Fig.
  • 이러한 물리적 객체(오브젝트), 인간, 환경 중심의 인터랙션 설계 기법들에서 공간 중심의 다양한 인터랙션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언택트 시대에 스마트 환경에서의 인터랙션 생태계를 분석함으로써 인터랙션 공간 모델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방식의 인터랙션 패러다임으로 사용자 입력 중심이 아닌 공간 중심으로의 인터랙션 방식을 적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언택트 시대에 스마트 스페이스 환경에서의 인터랙션들에 대해서 정의하고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통해 인터랙션 생태계를 분석하여 인터랙션 공간 모델을 제시한다. 이러한 공간 중심의 스마트 인터랙션은 스마트 스페이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자의 동작이나 주변 디바이스(장치) 를 활용한 지능형 인터랙션이다.
  • 본 논문에서는 인터랙션 생태계 분석을 통해 스마트인터랙션 설계를 위한 인터랙션 공간 모델을 제시한다. 각각의 패턴들을 기반으로 Fig.
  • 본 논문에서는 입력, 출력, 관련 기술들을 Table 4와 같이 모듈화함으로써 인터랙션 환경을 쉽게 구성하고 설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실제 인터랙션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연구 [16-21]에서 적용된 기술들을 통해 구성된 모듈을 기반으로 인터랙션 공간 설계가 가능하도록 기본 패턴을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CARD, A. NEWELL & T. MORAN. (1983). The Psychology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L. Erlbaum Associates Inc. 

  2. H. S. Ryu. (2012). Trend and Direction of Smart Interaction, DIGIECO. 

  3. H. Ishii & B. Ullmer. (1997). Tangible bits: towards seamless interfaces between people, bits and atoms. In Proceedings of the ACM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234-241. 

  4. P. Wellner, W. Mackay & R. Gold. (1993). Back to the real world. Communications of the ACM, 36(7), 24-26. 

  5. Y. M. Park & W.T. Woo. (2005). ARTable: AR based Interaction System using Tangible Objects.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523-525. 

  6. L. Kim, H. Cho & S. Park. (2007). SmartPuck System: Tangible Interface for Physical Manipulation of Digital Information. Journal of KISS, 34(4), 226-230. 

  7. J. Y. Han. (2005). Low-cost multi-touch sensing through 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In Proceedings of the 18th annual ACM symposium on User interface software and technology, ACM, 115-118. 

  8. Microsoft. (n. d.). Microsoft Surface. [Online] http://www.microsoft.com/surface. 

  9. J. Rekimoto. (2008). SmartSkin: an infrastructure for freehand manipulation on interactive surfaces.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13-120. 

  10. J. Rekimoto & M. Saitoh. (1999). Augmented surfaces: a spatially continuous work space for hybrid computing environments.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378-385. 

  11. D. Vogel & R. Balakrishnan. (2004). Interactive public ambient displays: transitioning from implicit to explicit, public to personal, interaction with multiple users. In Proceedings of the 17th annual ACM symposium on User interface software and technology, 137-146. 

  12. R. Raskar, G. Welch, M. Cutts, A. Lake, L. Stesin & H. Fuchs. (1998). The office of the future: A unified approach to image-based modeling and spatially immersive displays. In Proceedings of the 25th annu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and interactive techniques, 179-188. 

  13. C. Ganser, A. Steinemann & R. Hofer (2007). Infractables: Supporting collocated group work by combining pen-based and tangible interaction, IEEE. 

  14. P. Milgram & F. Kishino. (1994). A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s.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77(12), 1321-1329. 

  15. S. Choi, J. Jung & Y. Seo. (2008). Technology Trend and Application for Tabletop Device and Interactive Wall Display. Communications of the KISS, 26(3), 5-14. 

  16. C. O. Yun, J. H. Kim, T. S. Yun & D. H. Lee. (2009). Development of Game Environment System based on Spatial Augmented Reality using Real Creatur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2(6), 856-866. 

  17. C. O. Yun, T. S. Yun & D. H. Lee. (2009). Spatial Interaction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Zone in Large-Scale Display Environment.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132-136. 

  18. C. O. Yun, Y. S. Choi & T. S. Yun. (2015). Development of Smart Contents Platform for providing Digital Signag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0(2), 25-37. 

  19. C. O. Yun, J. H. Kim, W. S. Joo & T. S. Yun. (2015). Development of multi arcade game platform applying smart devices.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5(5), 119-130. 

  20. T. Pederson, L. E. Janlert & D. Surie. (2010). Situative Space model for mobile mixed-reality Computing. IEEE Pervasive Computing, 10(4), 73-83. 

  21. C. O. Yun. (2016). Space-centric design for smart interactions. Doctoral dissertation. Dongseo University, Bus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