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계 해수면 상승이 폭풍해일고 분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mmer Sea Level Rise on Storm Surg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3 no.6, 2021년, pp.298 - 307  

김아정 ((주)더해본) ,  이명희 (군산대학교 해양산업공학과) ,  서승원 (군산대학교 해양건설공학과, (주)더해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풍은 7~10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이 시기에 해수면도 가장 높게 나타난다. 특히 우리나라 하계 해수면은 연평균과 비교했을 때 서해안 약 14.5 cm, 남해안 약 9.0~14.5 cm, 동해안 약 9.0 cm 내외로 더 높게 나타난다. 하계에 상승하는 해수면과 대형 태풍이 겹치면 연안 저지대에 침수, 범람 등의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연안저지대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해안 구조물 설계 및 안정성 검토 시 정확한 해일고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이 영향을 미친 하계 해수면 상승이 고려된 해당 월의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산정된 해일고(SH_m)를 산정하고 이를 연평균 해수면이 고려된 기존 해일고(SH_a)와 비교하여 특이현상 분석의 타당성을 재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연평균 해수면 대비 해수면 상승 폭이 가장 큰 8~9월에 발생한 BOLAVEN(SANBA)의 직접 영향을 받은 남서(남동)해안에서 SH_a, SH_m의 해일고(cm) 차이는 7.8~24.5(23.6~34.5), 간접 영향권에 속한 남동(남서)해안에서 -1.0~0.0(8.3~12.2)로 나타난다. 그러나, 연평균 및 월평균 해수면이 비슷한 높이를 가지는 10월에 남동해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CHABA(KONG-REY)의 경우 5.2~14.2(19.8~21.6), 간접 영향을 미친 서해안에서 3.2~6.3(-3.2~3.7)으로 직·간접 영향권 모두 SH_a와 SH_m의 차이가 작아진다. 연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산정한 기존 해일고는 상승된 하계 해수면이 고려되지 못하여, 실제 태풍 시 발생하는 해일고에 비해 과대 산정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정확한 해일고 개념 정립과 함께 기존의 연평균 해수면을 고려한 해일고 기준으로 설계된 연안 시설물 마루높이 등의 타당성 검토가 재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yphoons occur intensively between July and October, and the sea level is the highest during this time. In particular, the mean sea level in summer in Korea is higher than the annual mean sea level about 14.5cm in the west coast, 9.0 to 14.5cm in the south coast, and about 9.0 cm in the east coast. ...

주제어

참고문헌 (30)

  1. Bell, C., Vassie, J.M. and Woodworth, P.L. (2000). POL/PSMSL tidal analysis software kit 2000 (TASK-2000), permanent service for mean sea level. CCMS Proudman Oceanographic Laboratory, UK, 22 p. 

  2. Birnbaum, A. (1961). A unified theory of estimation, I. The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112-135. 

  3. Cha, J. and Kim, J. (2018). Analysis of fine dust correlation between air quality and meteorological factors using SPS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2(5), 722-727 (in Korean). 

  4. Emanuel, K., Sundararajan, R. and Williams, J. (2008). Hurricanes and global warming: Results from downscaling IPCC AR4 simulation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9(3), 347-368. 

  5. Hyun, S.K., Kim, S.E., Jin, J.Y. and Do, J.D. (2016). Numerical simulation of water level change at the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with the inverted barometer eff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8(1), 13-26 (in Korean). 

  6.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 and II to the fifth ase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eneva, Switzerland, 151 p. 

  7. Jung, T.S. (2014). Change of mean sea level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6(3), 120-130 (in Korean). 

  8. Kang, J.H., Kim, Y.S. and Cho, H.Y. (2013). Decomposition of tidal residual data using a wavelet method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ir short-period compon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5(3), 165-171 (in Korean). 

  9. Kang, J.H., Park, S.J. and Park, M.W. (2008a). Rising tendencies of both tidal elevation and surge level at the southwestern coa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0(1), 14-24 (in Korean). 

  10. Kang, S.K., Cherniawsky, J.Y., Foreman, M.G., So, J.K. and Lee, S.R. (2008b). Spatial variability in annual sea level varia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3). 

  11. Kang, T.S., Oh, H.M., Lee, H.M. and Eum, H.S. (2015). Storm surge vulnerability assessment due to typhoon attack on coastal are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Safety, 21(5), 608-616 (in Korean). 

  12. Kang, Y.Q. and Lee, B.D. (1985). On the annual variation of mean sea level along the coast of Kor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ciety Korea, 20, 22-30 (in Korean). 

  13. Kim, H.J. and Suh, S.W. (2019). Summer seasonal sea-level rise and associated potential storm surge vulneralbility of the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91(SI), 21-25. 

  14. Kim, Y.I., Kim, D.H. and Lee, S.O. (2020). Prediction of temperature and heat wave occurrence for summer season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13(2), 27-38 (in Korean). 

  15.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2a). Oceanic abnormal phenomena report Vol. 2 (in Korean). 

  16.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2b). Oceanic abnormal phenomena report Vol. 3 (in Korean). 

  17.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6). Typhoon report, Vol. 1 (in Korean). 

  18.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8). Typhoon report, Vol. 3 (in Korean). 

  19.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2010). Development of strom surge and tsunami prediction system and estimation of design water level for major ports in Korea research report (in Korean). 

  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ather Nuri (2021). Korea's Typhoon Occurrence. https://www.weather.go.kr/w/typhoon/typstat.do (last date accessed: 15 June 2021) (in Korean). 

  21. Ku, H.Y., Maeng, J.H. and Jo, K.W. (2019). Deterministic estimation of yyphoon-Induced surges and inundation on Korean coastal reg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31(1), 1-8 (in Korean). 

  22. Marcos, M., Tsimplis, M.N. and Calafat, F.M. (2012). Inter-annual and decadal sea level variation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marginal seas. Progress in Oceanography, 105, 4-21. 

  23. Menendez, M. and Woodworth, P.L. (2010). Changes in extreme high water levels based on a quasi-global tide-gauge data se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5(C10). 

  2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1). Coastal Disaster Damage Status (2021). https://coast.mof.go.kr/coastAdmin/research/disaster.do [accessed 2021.06.0-4.] (in Korean). 

  25. Park, S.H. (2018). Adaptive sea level prediction method based on harmonic anlys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2(2), 276-283 (in Korean). 

  26. Pugh, D.T. (1987). Tides, surges and mean sea-level. John Wiley and Sons, 472 pp. 

  27. Suh, S.W. and Kim, H.J. (2018). Simulation of wave overtopping and inundation over a dike caused by typhoon CHABA at marine city, Busan, Kor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85, 711-715. 

  28. Watson, P.J. (2015). Development of a unique synthetic data set to improve sea-level research and understanding.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1(3), 758-770. 

  29. Wikipedia (2021). https://ko.wikipedia.org/wiki/Typhoon (last date accessed: 30 August 2021). 

  30. Yoon, J.J. and Kim, S.I. (2012). Analysis of long period sea level variation on tidal station around the Korea penis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3), 299-30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