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창경궁 장서각(구 이왕가박물관) 주변의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Changes around Jangseogak(Former Yi Royal-Family Museum) in Changgyeonggu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4, 2021년, pp.10 - 23  

이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제강점기 조선의 궁궐은 많은 부분 훼손되었다. 창경궁은 특히 동물원과 식물원, 박물관 등이 건립되면서 가장 많이 훼철된 궁궐이다. 본 연구는 창경궁 내전 구역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으로 여겨졌던 자경전 터의 바로 옆에 자리 잡은 장서각(이왕가박물관)의 건립 과정을 사료와 현장 조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1911년에 건립된 장서각은 창경궁 전체를 내려다보는 위치이자 멀리 남산의 경성신사를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자리 잡았다. 장서각의 건립 과정에서 주변 공간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10년대 초에는 장서각 터를 조성하기 위해 자경전 후면부 동산의 지형과 장고(醬庫) 일부가 훼손되었다. 장서각 전면부에 앞마당을 조성하면서 장대석 석축을 시공하였으며, 남쪽으로 계단을 설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양화당 후면부의 석계의 원형은 파괴되었고, 정일재나 기타 건물 등은 철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1920년대에는 많은 전각이 헐리고 평탄화 작업을 거쳐 동식물원과 박물관이 완공되었다. 장서각이 완공된 후에는 내전과 주변의 관람동선도 변경되었다. 장서각 앞마당과 계단 주변의 화계에는 벚나무와 모란을 심고, 양화당과 집복헌 사이에는 일본식 정원을 조성하였다. 셋째, 1930년대에는 장서각 주변의 동선이 현재의 모습으로 완성되었으며, 박물관인 장서각과 동식물원, 그리고 벚나무 동산이 된 창경궁은 일본식 문화공원으로 탈바꿈되었다. 그 이후 철거될 때 까지 주변 공간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현재 궁궐의 복원은 문화재청의 장기적이고 국가적인 사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창경궁 내전권역의 복원 계획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향후 관련 연구자들에게 또 다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alaces of Joseon were damaged in many parts. Changgyeonggung Palace is the most demolished palace with the establishment of a zoo, botanical garden, and museu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alaces of Joseon were damaged in many parts. This study...

주제어

참고문헌 (22)

  1. 대한매일신보(1908). 1908. 2, 12.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컬렉션,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http://viewer.nl.go.kr:8080/main.wviewer# 

  2. 김찬송(2018). 창경궁박물관의 설립과 변천과정 연구. 고궁문화 11. 88-128. 국립고궁박물관. 

  3. 목수현(2000). 일제하 박물관의 형성과 그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서울특별시(2012). 국역 경성부사. p.100. 

  5. 문화재관리국(1988). 창경궁 -중건보고서. 

  6. 문화재청(2010). 창경궁 복원정비계획.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21218&bbsIdBBSMSTR_1021&pageIndex2&pageUnit10&searchCndtc&searchWrd%ec%b0%bd%ea%b2%bd%ea%b6%81&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Y&mnNS_03_08_01 

  7. 박소현(2004). 제국의 취미, 이왕가박물관과 일본의 박물관 정책에 대해. 미술사논단. 18(-): 143-169. 

  8. 차문성(2008). 근대박물관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박물학과 박람회의 영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현정(2010). 시선의 근대적 재편, 일제치하의 전시공간-박람회와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19(-): 193-225. 

  10. 송기형(1999). '창경궁박물관' 또는'李王家박물관'의 연대기. 역사교육 72(-): 169-198. 

  11. 임인식(1954). 창경궁 항공사진. 종로구청. https://www.jongno.go.kr/gallery/galleryDetail.do?menuNo400209&identityNoJP_2015_04345 

  12. 문화재청(2016). 동궐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 고증 연구. 

  13. 국립문화재연구소(2006). 북궐도형. 

  14. 국립중앙박물관(2007).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유리건판 궁궐. 

  15. 한영우(2003). 창덕궁과 창경궁. 열화당, 효형출판. 

  16. 이만희(2010). 창경궁 내전권역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https://blog.naver.com/jsbh9/220303120019 

  18. 남문현(2012). 자격루, 월간문화재 1월호. 

  19. https://blog.naver.com/pzkpfw3485/222217875397. 

  20. 김정은(2015): 일제강점기 창경원의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 한국조경학회지 43(6): 1-15. 

  21. 우동선(2009). 궁궐의 눈물, 백년의 침묵-창경원과 우에노공원, 그리고 메이지의 공간 지배-. 효형출판. pp.202-237. 

  22. 우연주, 배정한(2016). 근대적 도시 공원으로서 창경원. 한국조경학화지. 44(4): 14-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