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창경원을 근대적 도시 공원으로 보고, 창경원의 공간적 성격과 그곳에서 창출된 공원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먼저 창경원 성립의 배경을 파악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근대 도시 공원으로서 창경원의 성격을 제시했다. 첫째, 대외적 선전과 과시의 장으로서 창경원의 성격, 특히 개원 초기 해외 사절과 고위 인사들의 방문에 주목했다. 특히 애초에 이곳을 근대적 공원으로 만들고자 계획했던 내용에 바탕을 두고, 근대 도시 공원으로서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둘째, 계몽과 교화의 장으로서 1920년대 창경원 이용이 보다 대중화 경향을 띠기 시작했다는 점을 파악하고, 여성과 아동을 위한 행사와 새로운 시설의 등장에 주목했다. 셋째, 창경원을 공원으로 인식하고 이용했던 당대의 기록을 조사하여 그 문화적 특징을 파악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explores Changgyeongwon's spat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were created there as the first modern urban park in Kyeongseong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irst, in point of comparison regarding a colonial historical view,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Changg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의 근대적 도시 공원 성립이라는 관점에서 창경원의 성격을 재검토하기 위해 창경원의 공간적 특성과 그곳에서 창출된 공원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경성에는 대한제국기에 독립공원과 파고다공원이 처음 만들어졌는데, 독립공원은 그 형태가 불완전했으며, 파고다공원은 1913년까지 일반에 개방되지 않았다.
  •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완전한 형태의 공원으로는 일제강점기에 가장 먼저 개원했던 창경원―이 연구는 창경원의 이러한 근대적 도시 공원으로서의 특징을 파악해 한국 조경사의 일면을 재구성해 보고자 하는 시도로, 창경원의 공간적 성격과 그곳에서 창출된 공원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주된 1차 사료로 사용한 것은 당시의 신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처음 일제가 본국에서 공원을 만든 방식은? 일제가 본국에서 공원을 만든 방식은 처음에는 기존의 여가 장소로 쓰던 곳을 변형하는 것이었고, 신설 공원을 설립한 것은 공원 관련 제도를 도입한 후 약 30년이 지나고 나서였다. 그 활용성과 목적 면에서는 위신과 체면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가장 먼저 시민들에게 개방된 공원은? 경성에는 대한제국기에 독립공원과 파고다공원이 처음 만들어졌는데, 독립공원은 그 형태가 불완전했으며, 파고다공원은 1913년까지 일반에 개방되지 않았다. 사실상 가장 먼저 시민들에게 개방된 공원은 창경원이라고 볼 수 있다. 창경원을 공원으로 볼 수 있는 근거는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창경원의 마스터플랜이었다고 보이는 것은? 먼저 궁을 원으로 바꾸고자 한 첫 번째 계획에서 일제는 서구 근대 도시 공원의 전형적인 풍경을 창경원 도면에 그려냈다. 큰 연못과 구불구불한 산책로, 그리고 특히 박물관 자리인 언덕을 과수원으로 꾸밀 계획이었다. 이것이 창경원의 마스터플랜이었다고 보이며, 같은 도면에서 면적만 제시되었던 삼물원은 이러한 공원에 설치될 시설물로 이해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 K. H.(2013) The formation of locality in Ueno, Tokyo and movement of diasporic minorities: Focusing on Ueno Park.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 97: 177-211. 

  2. Chosun Ilbo(朝鮮日報). 

  3. Dong-A Ilbo(東亞日報). 

  4. Gang, S. Y. and Y. H. Jang(2004) The History of Korean Urban Park in Modern era. Seoul: Daewangsa. 

  5. Gondo, S.(1926) Secret History of Great Han Imperial Family: A Memories of a Japanese Official of Changdeokgung(대한제국 황실 비사: 창덕궁에서 15년간 순종황제의 측근으로 일한 어느 일본 관리의 희고록), Lee, A. S. trans. Seoul: Imago, 2007. 

  6. Kim, B. Y.(2006) Mimicry of the west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 Dualized tendencies in the making of modern urban society in Japan. The Korean Journal for Japanese Studies 23: 407-449. 

  7. Kim, B. Y.(2009) (The) Rula and Space: Colonial city Kyungseong and Japanese Empire. Seoul: Moonji Publishing Co. 

  8. Kim, H. G.(2011) A study on interpreting peoples enjoyment under cherry blossom in modern tim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4): 124-136. 

  9. Kim, H. S.(2008) Night cherry blossoms festival and Yosakura(夜櫻) at Changgyeong garden.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19: 139-162. 

  10. Kim, J. E.(2015) The image of Changgyeongwon and culture of pleasure gro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43(6): 1-15. 

  11. Kim, S. J.(2007) Modernities-multiple origins, multilayered formatio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1(4): 242-279. 

  12. Kwon, C. R.(2011) Modern experience of nature and culture discourse.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39: 515-548. 

  13. Kyongsungbu(1917) Kyongsungbu Namsan Park Design Proposal(京城部南山公園設計案). 

  14. Maeil Sinbo(每日申報). 

  15. Oh, C. Y.(1993) 80-Year History of Zoos in Korea: Changgyeongwon: 1907-1983(韓國動物園八十年史: 昌慶苑編: 1907-1983). Seoul: Seoul Metropolitan City. 

  16. Ono, R.(2000) Planning Conceptions of Parks and Public Open Spaces in Tokyo City in the Meiji Era(明治期東京における公共造園空間の計劃思想)".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Forests report(東京大學農學部演習林報告) 103. Tokyo University: 121-241. 

  17. Park, S. H.(2004) Imperial taste: Yi Dynasty Museum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imperialist Japan. Art History Forum(美術史論壇) 18: 143-169. 

  18. Seo, T. J.(2014) The establishment and character of the zoo purpose-built by Japanese empir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69: 7-42. 

  19. Song, H. E.(2007)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placeness and symbolismof Changgyeong-goong.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19(2): 24-44. 

  20. Song, K. H.(1999) A chronicle of Yi Royal Household Museum in Changgyong palace. History Education 72: 169-198. 

  21.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2009) Collection of Modern Architectural drawing(近代建築圖面集). Jangseogak Archives. 

  22. Woo, D. S.(2009) Changgyeongwon and Ueno Park, and Spatial Dominance of Meiji(창경원과 우에노공원, 그리고 메이지의 공간 지배)", Tears of the Palace. In Woo, D. S. eds., Hundred Years of Silence(궁궐의 눈물, 백년의 침묵). Paju: Hyohyung. pp. 202-237. 

  23. Woo, Y. J. and J. H. Pae(2011) Korean perspectives on park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6): 76-85. 

  24. Yeom, B. K.(2009) (The) Con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Kyungseong Urban Pl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ist Rule.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5. Yi Royal Household Museum(李王職博物館)(1912) Yi Royal household Museum Collection Photo Album(李王職博物館所藏品寫眞帖). Gyeongseong(京城): Yi Royal Household Museum. 

  26. Yoon chi ho's Diary(尹致昊日記).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