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따른 영어 모음 발음의 영향에 대한 연구
Influence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on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vowel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3 no.4, 2021년, pp.1 - 7  

장수연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의 영어 모음 발음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다. 데이터 자료는 한국인의 영어 발음 음성 코퍼스(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를 활용하였다. 이중 일곱 개의 한국어 단모음이 포함된 단어와 열 개의 영어 단모음이 포함된 단어가 선정되어 분석되었다. 선정된 자료는 외국 거주 경험이 없는 성인 남성 표준어 화자와 경상 지역 방언 화자에 의해 발화되었다. 녹음된 코퍼스 자료의 포먼트 주파수는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에서 제공하는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측정되었다. 녹음된 자료들은 포먼트 구역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되었다. 결과에 의하면, 한국어와 영어 모음의 발화에서 경상 지역 방언 화자가 강한 후설성을 보인 반면에 표준어 화자는 비교적 전설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 차이 (/으/, /어/)는 대치되는 영어 모음 발음(/ə/, /ʊ/)의 조음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지역 방언의 사용과 무관한 한국인의 일반적인 모음 발음 특징은 영어 원어민 화자보다 조음 구역이 좁다는 것이다. 이에 한국인은 전반적으로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영어 원어민 화자는 모음 조음에 명확한 구분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nhance English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orean students by examining the impact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on the articulation of English vowels.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 Seven Korean words and ten English mon...

주제어

참고문헌 (15)

  1. Boersma, P., & Weenink, D. (2021).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computer program]. Retrieved from http://www.praat.org 

  2. Han, Y., & Lee, S. (2002). An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n English vowel production by native speakers of Korean. Phonetics, 44, 15-32. 

  3. Hillenbrand, J., Getty, L. A., Clark, M. J., & Wheeler, K. (1995).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merican English vowel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7(5), 3099-3111. 

  4. Hwang, Y. S. (2001). A comparative analysis on English vowels of Korean students by formant frequencies.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8(4), 221-228. 

  5. Hwang, H., & Moon, S. J. (2005). An acoustic comparative study of Korean /에, 애/ and English /ε, \ae/ pronounced by Korean young male speakers. Malsori, 56(4), 29-47. 

  6. Koo, H. (2001). An acoustic study of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vowels uttered by Korean regional dialect speakers. Speech Sciences, 8(4), 193-206. 

  7. Ladefoged, P., & Johnson, K. (2011). A course in phonetics (6th ed.). Boston, MA: Wadsworth/Cengage Learning. 

  8. Lee, K. Y., & Cho, M. H. (2013).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by Korean learner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9), 495-503. 

  9. Lee, S., Kang, J., Shin, D. J., & Nam, H. (2019). The effect of dialect experience and talker variation on Korean EFL listeners' English vowel identification. Studies in Foreign Langauge Education, 33(4), 1-27. 

  10. Myung, Y., & Lee, D. (2014). A study on south Kyungsang Korean native speakers' production of English high vowels. Language Sciences, 21(1), 21-40. 

  11. Park, D., Shinsook, L., & Cho, M. H. (2010). Interference of L1 phonological processes in English learning.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6(3), 187-215. 

  12. Park, J. (2009). An acoustic study of English single vowels by Korean adult learners (Masters thesis). Kyonggji University, Suwon, Korea. 

  13. Seo, M. S. (2011). An acoustic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vowels produced by Korean speakers: Focus on Taegu and Cheju dialect speaker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4. Rhee, S. C., Lee, S. H., Kang, S. K., & Lee, Y. J. (2003). Design and construction of 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 Malsori, 46, 159-174. 

  15. Sohn, H. S., & Ahn, M. (200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owel space of Korean and English spoken by female speakers of Daegu dialect. The Journal of Linguistic Science, 49, 117-14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