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 신중년의 건강증진행위, 가족탄력성, 부부의사소통 및 성공적노화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Family Resilience, Marital Communication, and Successful Aging of New Middle-aged in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6 no.2, 2021년, pp.37 - 44  

양승경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  노주리 (경남대학교) ,  김미라 (경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 family resilience, marital communication, and successful aging of the new middle-aged living in rural areas.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 to June 20, 2021, participants were 119 adults aged 50~...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30)

  1. 통계청. 2019 주요 인구지표(성비,인구성장률,인구구조, 부양비 등)/전국[Internet]. 서울: 한국통계청, 2021[cited 2021 October 31].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vw_cdMT_TM1_TITLE&list_id101_A0502&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TM1_TITLE&path%252FeasyViewStatis%252FcustomStatisIndex.do 

  2. 이주희, 이선화. 중년기의 부부친밀감이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지. 2017;6(2):35-54. https://doi.org/10.20497/jwce.2017.6.2.35 

  3. Cavanagh JC, Blanchard-Fields 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8th ed. Boston: Cengage learning; 2019. 496 p. 

  4. 고용노동부. 정부 최초의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구축계획 마련[Internet]. 세종: 고용노동부. 2017[cited 2021 October 31].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7918 

  5. 통계청. 성 및 연령별 추계인구[Internet]. 서울: 한국통계청, 2021[cited 2021 October 31].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outLinkY&entrType#content-group 

  6. 이수화. 중년기 부부 의사소통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2021;51:95-131. https://doi.org/10.18625/jsc.2021..51.95 

  7. Rowe JW, Kahn RL.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1997; 37(4):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8. 한송이, 윤순녕.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5;26(4):372-379.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4.372 

  9. 정여진, 유나영, 김비아, 신현정, 정영숙.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2014;34(4):781-797. 

  10. 이은정, 성미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지각,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7;23(3):181-190. https://doi.org/10.4069/kjwhn.2017.23.3.181 

  11. 천경인, 신윤희. 중년 성인의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 기본간호학회지. 2020;27(3):259-267. https://doi.org/10.7739/jkafn.2020.27.3.259 

  12. 이예슬, 전혜정, 박하영, 주수산나. 노년기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2020;4(6):1287-1305. https://doi.org/10.31888/JKGS.2020.40.6.1287 

  13. 남기민, 이정은. 노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12;57:85-112. https://doi.org/10.21194/kjgsw..57.201209.85 

  14. McCubbin HI, McCubbin MA.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1988;37(3):247-254. https://doi.org/10.2307/584557 

  15. 양남영, 송민선.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가족탄력성이 성공적 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019;26(3):278-287. https://doi.org/10.22705/jkashcn.2019.26.3.278 

  16. 강정실. 부부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상담학 연구. 2015;16(5):385-397. 

  17. 정여진, 안정신.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010;30(2):535-550. 

  18. 김정희. 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9;23(4):57-73.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4.004 

  19. 정혜윤, 정혜민. 농촌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18(4):2167-2181. 

  20. 최영미, 최성희, 안옥희.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성공적노화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019;26(3):175-183. https://doi.org/10.5953/JMJH.2019.26.3.175 

  21. Walker SN, Sech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22. 고인순. 노인 만성질환자의 무력감, 건강증진행위, 가족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제주]: 탐라대학교;2008. 76 p. 

  23. 박혜란. 한국 중년기 가족 레질리언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생활과학회지. 2014;23(6):1013-1033.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013 

  24. Olson DH, Russel CS, Sprenkle DH.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VI.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1983;22(1):69-83. https://doi.org/10.1111/1467-6427.00144 

  25. 김윤희. 부부관계, 부모자녀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 자녀 비행과의 관계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1989. 111 p. 

  26.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008;60(1):211-231. https://doi.org/10.20970/kasw.2008.60.1.009 

  27. 김태호.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2015. 150 p.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255 

  28. 하은호, 이영미. 중년기 성인의 건강상태와 성공적 노화인식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20;32(5):472-481. https://doi.org/10.7475/kjan.2020.32.5.472 

  29. 문현주, 김준희. 중년기의 여가인지가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014;38(2):74-85. 

  30. 최해경.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과 예측 요인. 사회과학연구. 2013;24(1):193-21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