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영어강좌에 대한 대학생들의 수업만족도 분석연구: 초등예비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Online Courses between Primary & Secondary Teachers' University: Focused on the English-Related Subjec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2, 2021년, pp.386 - 394  

이승복 (춘천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  윤택남 (춘천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과 일반대학 사범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며 집단 간 만족도 항목에 따른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온라인 영어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학기에 온라인 영어 과목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 54명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 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가 활용되었으며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5개 항목 50문항의 설문이 제작되어 배포되었다. 수업 만족도의 하부요인은 학습 내용/운영, 학습결과,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적 유의수준을 .05%로 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을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어 수업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 만족도는 일반대학의 평균값이 교육대학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두 집단 간 수업만족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하위요인 5개 가운데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면에 있어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enrolled in between a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college, and to identify any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class satisfaction factor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of 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실행 시기 측면에서 교육대학보다 다소 앞서 있는 일반 종합대학의 영어 교과 관련 온라인 강좌에 대한 재학생들의 반응과 교육대학 학생들의 반응을 비교하면서 온라인을 통한 영어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질문을 다루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을 통한 영어 관련 수업의 만족도(학습내용 및 운영, 학습 결과, 수업환경, 학습지원, 수업효과성 등)에서 교육대학 재학생과 일반 일반대학사범대 재학생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본 질문에 대한 답은 비대면 교육 활동이 이제는 더 이상 거부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고, MOOC 또한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선택 아닌 필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사회변화에 속에서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자로서 교육대학 및 일반대학의 영어교과 교수자(instructors)들이 이들의 교육과정 운영에 충분히 응용할 수 있는 비록 작지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과 일반대학 사범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비교·분석하며 집단 간 만족도 항목에 따른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것이다
  • 초등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의 경우도 지난 10여 년 이상에 걸쳐 일반 종합대학과 마찬가지로 학습관리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하여 온라인을 통하여 제한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나, 코로나바이러스 창궐로 인한 우리 사회상황의 급격한 변화는 이제 온라인 강의를 눈 깜짝할 사이 교육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바꾸어 놓았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고 그 변화에 맞는 교육 내용 및 교수 방법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유능한 초등교사 양성 방안 모색을 위해 본 연구자들은 우선 현재 느슨하게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 강좌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배성근, "e-Learning 활성화를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교육청, 2005. 

  2. L. Gillbert and D. R. Moore, "Building interactivity into web courses: tools for social and instructional interaction," Educational Technology, Vol.38, No.3, pp.29-35, 1998. 

  3. M. G. Alzahrani, "The Effect of Using Online Discussion Forums on Students' Learning,"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TOJET, Vol.16, No.1, pp.164-176, 2017. 

  4. H. Choi and M. Choi,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seeking for improvement way about cyber instruction in university," The Journal of Sciences and Arts, Vol.7, pp.1-23, 2006. 

  5. 김혜정, "EFL 학습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대학온라인 강의의 효율성 연구,"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제6권, 제3호, pp.225-231, 2020. 

  6. 서구원, "온라인 강의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이버교육연구, 제5권, 제2호, pp.159-178, 2011. 

  7. J. A. Gray and M. DiLoreto, "The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Leadership Preparation, Vol.11, No.1, pp.1-40, 2016. 

  8. R. Bates and S. Khasawneh,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use of online learning syste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3, No.1, pp.175-191, 2007. 

  9. 정은아, "대학 교양강좌로서 온라인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 탐색-온.오프라인 창의성 강의 효과 비교: 과제가치, 몰입, 강의만족,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29-61, 2008. 

  10. T. Nguyen,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Bey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future horizons,"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Vol.11, No.2, pp.309-319, 2015. 

  11. 강현화, 김미경, 김혜경, "사이버강의에 대한 재학생의 요구 및 만족도 조사," 학생생활연구, 제8권, pp.71-105, 2003. 

  12. 김수진, "온라인 스페인어 교육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교수실재감 강화전략," 중남미연구, 제38권, 제3호, pp.69-98, 2019. 

  13. 최자경, 대학생의 교양체육에 대한 인식과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4. 김홍선, 중.고등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3. 

  15. P. N. Chou, "Effect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n online learning outcomes: Two exploratory experiments in electronic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2, No.6, pp.172-179, 2012. 

  16. 김미은, 김민정, 오예인, 정수연,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 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7호, pp.519-541, 2020. 

  17. B. Landrum, J. Bannister, G. Garza, and S. Rhame, "A Class of One: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Vol.1, pp.1-7, 2020. 

  18. E. Lin and C. H. Lin, "The Effect of Teacher Student Interaction on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n Online Tutoring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ical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22, No.2, pp.19-22, 2015. 

  19. B. Means, Y. Toyama, R. Murphy, and M. Baki, "The effectiveness of online and blended learning: A meta-analysis of the empirical literature," Teachers College Record, Vol.115, No.3, pp.1-47, 2013. 

  20. T. I. Han, "The Effects of Flipped-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21, No.6, pp.665-673, 2017. 

  21. Y. Bentley, H. Selassie, and A. Shegunshi, "Design and Evaluation of Student-focused eLearning,"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10, No.1, pp.1-12, 2012. 

  22. Y. M. Jeon and J. S. Cho,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18, No.1, pp.131-141, 2017. 

  23. 이쌍철, 김정아,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36권, 제2호, pp.115-138, 2018 

  24. 교육부, 2020년 1학기 원격수업 운영 만족도 조사, 2020. https://forms.gle/cneQ8hK4g3G2ipKd9 

  25. 상지대학교, 온라인강의 만족도 조사, https://caam.sangji.ac.kr/main/mainPage.do, 2020. 

  2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대학이러닝지원센터 온라인 강의 콘텐츠 운영에 대한 만족도 설문, http://www.kocw.net/home/survey2.do, 2015. 

  27. 한양대학교, 온라인 영어전용강좌 학습자 설문 조사, http://research.joongang.com/survey.php?actv&id09-9-2283, 20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