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방출제에 섞인 혼합 성페로몬 미끼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명나방의 성충 포획
Adult Trapping using Sex Attractants of Grapholita molesta, Carposina sasakii and Conogethes punctiferalis mixed in Single Dispensers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60 no.1, 2021년, pp.71 - 78  

정진교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  최경희 (농촌진흥청) ,  한경식 (신구대학교) ,  이순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부경생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조영식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각기 다른 화합물들을 성유인제로 이용하는 3종 과수해충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 복숭아명나방(Conogethes punctiferalis)을 대상으로 단일 성페로몬 미끼 방출제에 2종 혹은 3종의 성페로몬 미끼를 섞어 복숭아원과 사과원에서 유인력을 검정하였다. 복숭아원에서 실시된 복숭아순나방 유인에서 복숭아심식나방이 섞인 혼합미끼 트랩에서 유인력이 감소하였으나, 혼합미끼를 이용한 복숭아원에서의 성충밀도 변이는 단일미끼 트랩과 높은 상관성 보였다. 사과원에서는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혼합미끼의 유인력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복숭아심식나방 유인은 복숭아원과 사과원 모두에서 혼합미끼의 유인력은 단독미끼의 유인력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복숭아원에서 단독미끼와 혼합미끼 사이의 성충 밀도 변이 양상도 상관성이 높았다. 복숭아명나방 유인에서는 포획수가 너무 적어 평가가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 혼합미끼는 예찰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pping efficacy of lures obtained by mixing sex pheromone attractants of two or three species in a single dispenser were evaluated in peach and apple orchards for three lepidopteran fruit borers, Grapholita molesta (GM), Carposina sasaki (CS), and Conogethes punctiferalis (CP) which use different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성성분들이 중복되지 않는 종들의 성페로몬을 하나의 미끼 안에 섞어 대상 해충종들의 발생을 탐지할 때 대상 종들이 혼합유인제에 반응하는 행동에 간섭이 적을 수도 있는 하나의 예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와 비슷한 경우로 간혹 단 일종대상으로 성페로몬 트랩을 운용하여 예찰과정에서 페로몬 일부 성분이 동일한 이유로 목적종 이외의 다른 종이 유인되어 포획되는 현상이 있는데, 예를 들면 밤나방과(Noctuidae) 해충들에서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 성페로몬트랩에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Mythimna loreyi)이, 파밤나방(S.
  • 이들 성분들에서 세 나방종의 성페로몬 유인제 사이에 동일한 화합물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종을 대상으로 두종 혹은 세종의 성페로몬을 단일 방출제에 혼합한 미끼의 유인력을 평가하였다.
  • 그러나 이제까지 다른 화합물에 의한 간섭효과 (유인력 저하 혹은 증가)가 있는지 검정한 보고들은 쉽게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성페로몬 미끼에 목적 종이 보유하지 않는 다른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종에 대한 유인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과(Malus domestica) 나복숭아(Prunus persica)(Rosaceae) 과원에서 과실 피해를 일으키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 (Carposinidae), 복숭아명나방[Conogethes (Syn. Dichocrosis) punctiferalis](Crambidae)을 대상으로 같은 방출제에 각 종 의성페로몬을 섞어 유인력을 검정하였다. 국내 복숭아순나방 개체군에서 보고된 성페로몬 미끼의 최적 유인조성은 (Z)-8- dodecenyl acetate과 (E)-8-dodecenyl acetate, (Z)-8-dodecenol 가 95:5:1의 비율이다(Ha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S.-J., Choi, K.-H., Kang, T.J., Kim, H.H., Kim, D.-H., Cho, M.R., Yang, C.Y., 2013. Molecular diagnosis of Grapholita molesta and Grapholita dimorpha and their different occurrence in peach and plum. Korean J. Appl. Entomol. 52, 365-370. 

  2. Boo, K.S., Kim, Y.G., Park, K.C., Choi, M.Y., 2005. Insect hormones and 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and Culture Center, Seoul. (In Korean) 

  3. Byun, B.-K., Lee, B.-W., Bae, K.-H., Lee, K.-J., 2012. A review of the genus Grapholita (Lepidoptera, Tortricidae) in North Korea. Anim. Syst. Evol. Divers. 28, 291-296. 

  4. Carde, R.T., Elkinton, J.S., 1984. Field trapping with attractants: methods and interpretation, in: Hummel, H.E., Miller, T.A. (Eds.), Techniques in pheromone research. Springer-Verlag, New York, pp. 111-129. 

  5. Choi, K.H., Lee, D.H, Byun, B.K., Mochizuki, F., 2009. Occurrence of Grapholita dimorpha Komai (Lepidoptera: Tortricidae), a new insect pest in apple orchards of Korea. Korean J. Appl. Entomol. 48, 417-421. 

  6. Choi, K.H., Lee, S.W,. Lee, D.H., Kim, D.A., Kim, S.K., 2008. Recent occurrence status of two major fruit moths, oriental fruit moth in apple orchards. Korean J. Appl. Entomol. 47, 17-22. 

  7. Choi, K.S., Han, K.S., Jeon, M.J., Chung, Y.J., Kim, C.S., Shin, S.C., Park, J.D., Boo, K.S., 2004. Seosonal occurrence of the peach pyrad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at chestnut orchartds in some provines of Korea. J. Korean For. Soc. 93, 134-139. 

  8. Han, K.S., Jung, J.K., Choi, K.H., Lee, S.W., Boo, K.S., 2000. Sex pheromone composition and male trapping of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sasakii (Matsumura) (Lepidoptera: Carposinidae) in Korea. J. Asia-Pac. Entomol. 3, 83-88. 

  9. Han, K.S., Jung, J.K., Choi, K.H., Lee, S.W., Boo, K.S., 2001. Sex pheromone composition and male trapping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in Korea. J. Asia-Pac. Entomol. 4, 31-35. 

  10. Jeong, S.-A, Lalit, P.S., Ahn, J.J., Kim, Y.-I., Jung, C., 2012. Occurrence patterns of three major fruit moths, Grapholita molesta, Grapholita dimorpha and Carposina sasakii, monitored by sex pheromone in plum orchards. Korean J. Appl. Entomol. 51, 449-459. 

  11. Jung, C.R., Jung, J.K., Kim, Y., 2013. Effects of different sex pheromone compositions and host plants on the mating behavior of two Grapholita species. J. Asia-Pac. Entomol. 16, 507-512. 

  12. Jung, C.R., Kim, S.-H., Kim, Y., 2014. Enhancement of species-specific attraction by addition of a minor component of sex pheromone gland of Grapholita dimorpha. Korean J. Appl. Entomol. 53, 239-246. 

  13. Jung, J.K., Han, K.S., Choi, K.S., Boo, K.S., 2000. Sex pheromone composition for field-trapping of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males. Korean J. Appl. Entomol. 39, 105-110. 

  14. Jung, J.K., Kim, E.Y., Kim, I.H., Seo, B.Y., 2020. Species identification of noctuid potential pests of soybean and maize, and estimation of their annual adult emergence in Suwo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9, 97-107. 

  15. Kim, D.S., Lee, J.H., Yiem, M.S., 2000. Spring emergence pattern of Carposina sasakii (Lepidoptera: Carposinidae) in apple orchards in Korea and its forecasting models based on degree-days. Environ. Entomol. 29,1188-1198. 

  16. Kim, Y., Jung, S., Kim, Y., Lee, Y., 2011. Real-time monitoring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populations using a remote sensing pheromone trap in apple orchards. J. Asia-Pac. Entomol. 14, 259-262. 

  17. Komai, F., 1979. A new species of the genus Grapholita Treitschke from Japan allied to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Lepidoptera: Tortricidae). Appl. Entomol. Zool. 14, 133-136. 

  18. Kwon, D.H., Kwon, H.K., Kim, D.H., Yang, C.Y., 2018. Larval species composition and genetic structures of Carposina sasakii, Grapholita dimorpha, and Grapholita molesta from Korea. Bull. Entomol. Res. 108, 241-252. 

  19. Lee, S.W., Hyun, J.S., Kim, S.H, Kim, S.B., 1983. Studies on the ecology of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niponensis W. in: Research Report, Agricultural Sciences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pp. 523-546. (In Korean) 

  20. Lee, S.W., Hyun, J.S., Park, J.S., 1984. Studies on the developments of the overwintering peach fruit moth, Carposina niponensis Walsingham. Korean J. Plant Prot. 23, 42-48. 

  21. Lopez, JR., J.D., Shaver, T.N., Goodenough, J.L., 1990. Multispecies trapping of Helicoverpa (Heliothis) zea, Spodoptera frugiperda, Pseudaletia unipuncta, and Agrotis ipsilon (Lepidoptera: Noctuidae). J. Chem. Ecol. 16, 3479-3491. 

  22. Murakami, Y., Sugie, H., Fukumoto, T., Mochizuki, F., 2005. Sex pheromone of Grapholita dimorpha Komai (Lepidoptera: Tortricidae), and its utilization for monitoring. Appl. Entomol. Zool. 40, 521-527. 

  23. Park, K.-T., Kim, J.-M., 1986. Moths collected in the northern part of civilian control line neighbouring D.M.Z. Korean J. Plant Prot. 25, 77-83. 

  24. Yang, C.Y., Han, K.S., Boo, K.S., 2001. Occurrence of and damage by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Lepidoptera: Tortricidae) in pear orchards. Korean J. Appl. Entomol. 40, 117-123. 

  25. Yang, C.Y., Han, K.S., Boo, K.S., 2009. Sex pheromones and reproductive isolation of three species in genus Adoxophyes. J. Chem. Ecol. 35, 342-348. 

  26. Yang, C.Y., Jung, J.K., Han, K.S., Boo, K.S., Yiem, M.S., 2002. Sex pheromone composition and monitoring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in Naju pear orchards.J. Asia-Pac. Entomol. 5, 201-207. 

  27. Yang, C.Y., Kim, D.H., Kim, H.H., Kang, T.K., Cho, Y.S., 2016. Distribution ratios of Grapholita molesta and G. dimorpha larvae in pest-damaged fruits of five Rosaceae fruit trees. Korean J. Appl. Entomol. 55, 313-317. 

  28. Yoon, J.-K., 1981. Studies on physiology, ecology and control of Dichocrosis punctiferalis G. (Lepidoptera: Pyralidae), in: Research Report, Jeonnam Rural Development Station, Gwangju, pp. 565-575. (In Korean) 

  29. Yoshizawa, E., Derunori, S., Kaneko, M. 2008. Occurrence of Grapholita dimorpha in Nagano apple orchards. Plant Protection. 62, 556-559.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