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부모와 대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만족 집단과 불만족 집단 간 비교연구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parent conversation on career maturi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satisfaction and non-satisfaction group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1, 2021년, pp.149 - 158  

박상문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김기중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김태철 (한국탄소융합기술원) ,  현병환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부모와의 대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간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학생과 만족하지 않은 두 집단 간의 비교연구를 통해 학교와 선생님이 학교생활에서 학생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려는 노력과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을 위해 학교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2018년 초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II) 조사 Data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은 부모와 대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대화빈도와 내용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과 부모와 대화 변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집단과 만족하지 않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조절적 작용(Pairwise T-Test -5.439⁎⁎⁎)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onversations with parents on career maturity. We consider how to instruct students in school life, efforts to increas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schools to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것이다. 더불어 진로 자아효능감(5가지 요인) 과부모와 대화(5가지 요인)가 진로성숙도(14가지 요인) 에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교생활을 만족하는 집단과 만족하지 못하는 집단 간의 다중집단비교를 통해 이들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Fig.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의 자아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부모와 자녀와의 대화 내용과 빈도에 따라 자아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어느 정도 조절하는지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 집단과 만족하지 않는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 하지만 여전히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히 일반고등학교의 진로교육은 대학 진학지도 또는 진학상담이라 불릴 정도로 대학입학에 중점을 둔 진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등학교에 재학생의 진로발달 관점에서 진로 교육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교생활을 만족하는 집단과 불만족한 집단 간의 다중집단비교를 통해 논의하고자 한 최초의 연구 시도이다. 하지만 본 연구도 한계점을 갖고 있다.
  • 김성아(2012)의 연구에서는 진로성숙은 자아존중감, 가족갈등, 부모교육참여, 부모 감독, 또래 애착, 교사유대감, 지역 사회활동 참여 등 여러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나 모든 관계에 동시에 노출되었을 때, 가족 요인은 나머지 요인에 의해 영향력을 잃는다고 한 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요인을 부모와의 활동과 부모와의 대화로 나누어 고등학생의 경우 부모 요인이 진로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자아효능감(5 가지 요인)이 진로성숙도(14가지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더불어 진로 자아효능감(5가지 요인) 과부모와 대화(5가지 요인)가 진로성숙도(14가지 요인) 에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교생활을 만족하는 집단과 만족하지 못하는 집단 간의 다중집단비교를 통해 이들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 또한, 진로는 학생의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가치관 형성이 가장 왕성한 청년기인 고등학교 과정에서 진로교육 및 진로성숙도 제고에 노력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그동안 자아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있었으나, 본 연구는 진로와 관련 학생과 부모의 대화의 조절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이고, 이번 연구에서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학교생활 만족 집단과 불만족 집단 간의 유의미한 조절적 효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시기적 특성에서 보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학생이 진로에 대한 능력 측면에서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국교육 고용패널 조사에서 학생들의 진로에 관한 생각과 태도를 측정한 14개 문항을 토대로 학생들이 직업 세계 이해, 진로 탐색, 진로계획 등에 대해 얼마나 수행 능력 및 준비능력을 갖추었다고 인식하는지를 측정하고 있어 이를 고등학생 진로성숙도를 측정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 학생의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 학생의 자아효능감은 부모와 대화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 부모와 자녀의 대화는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 학교생활의 만족·불만족 집단 간의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Educ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Career Education Act", 2015. 

  2. J. H. Kim,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d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 Comparison in Income Classe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2(1), pp.75-109, 2019. 

  3. Lynda Gratton, "The future of work", Seoul, Institute of thought, 2012. 

  4.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2019. 

  5.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pp.191-215, 1977. 

  6. H. Y. Je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8. 

  7. S. S. Kim, J. E. Kim, M. O, Kim,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Self-esteem,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9), pp.99-117, 2018.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9.99 

  8. Y. N. Lee, "A Study on High-School Students ' Perception of Career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Career Maturity",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2019. 

  9. J. U. Kim, S. S. Park,,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Research, 26(3), 128, 2013. 

  10. S. M. Chang, D. S. Lim, B. K. Song,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Learning Inspection Tool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0. 

  11. J. B. Le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12. M. L. Savickas, "Career maturity: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32(4): pp.222-231, 1984 DOI: https://doi.org/10.1002/j.2164-585X.1984.tb01585.x 

  13. H. J. Han, J. H. Yang, H. Y. Kim, Y. M. Kim, "Analysis of affecting career matur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24(2), pp.381-398, 2018. DOI: https://doi.org/10.36907/krivet.2018.21.3.1 

  14. D. E. Super,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1957. 

  15. E. L. Herr, S. H. Crame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 Span: Systematic Approach (5th edition), New York: Harper Collins, 1996. 

  16. S. H. Bae, "The Effects of School Type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from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0(1), pp.525-548, 2012. 

  17.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3), pp.282-298, 1980. DOI: https://doi.org/10.1016/0001-8791(80)90056-1 

  18. S. R. Kim, Y. J. Hwang,, "The Influences of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and Program Evalu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9(2), pp.167-190, 2016. 

  19. H. J. Lim, J. E. Han, J. S. Kim, H. Y. Jeon,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Adolescents' Career Experiences and Parental Support on the Longitudinal Change of Career Maturit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7(5), pp.289-306, 2016. DOI: https://doi.org/10.15703/kjc.17.5.201610.289 

  20. H. J. Jang,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 Research, 31(1), pp.21-42, 2018. 

  21. J. H. Han, H. H. Cho, " Analysis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by High School Typ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1(3), pp.1-38, 2018. DOI: https://doi.org/10.36907/krivet.2018.21.3.1 

  22. M. Riera, Staying connected to your teenager, Boston: Da Capo Press, 2017. 

  23. E. T. Lee, J. H. Choi,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relationship, Career conversation and Career Decis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1), pp.47-66, 2017. 

  24. J. H. Lee, K. S. Lee, "The Effects of Parent Support on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Youth Facilities and Environment, 16(1), pp.143-153, 2018. 

  25. J. W. Cha, H. S. Le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26(3), pp.53-67, 2014. 

  26. G. S. Kim,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eoul, Hannarae Academy, 2010. 

  27. W. P. Kim, "Statistical analysis rewritte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ise in company, 2017. 

  28. B. R. Ba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Mplus 7.0", Seoul, Cheongram, 2016. 

  29. J. S. You, W. S. Seo, "A Meta-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6(3), pp.165-183, 2013. 

  30. B. Y. Khu, "The Mediation Effects of relationship with parent, teacher, and peer between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Schoo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3), pp.347-373, 2012. 

  31. E. J. Cho, "The Mediation Effects of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6), pp.299-322, 2008. 

  32. H. J. Jeon, H. W. Chung,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school and student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Youth Research in Korea, 29(3), pp.213-240, 2018. DOI: https://doi.org/10.14816/sky.2018.29.3.2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