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2, 2021년, pp.427 - 433  

김종훈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놀이성,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교사의 놀이성과 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변인 간의 구조 및 경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영향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영향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성격 특성인 놀이성과 내적신념인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보육기관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교사의 놀이성와 교사효능감을 함양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이나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mediating influence of the teacher's efficacy on these relationships was also examined. The study subjects were 293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and Gyeongn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육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교사 놀이 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 감의 매개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놀이성, 교사효능감,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고, 이를 통하여 보육 기관 맥락에서 교사의 놀이성과 교수효능감,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와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owse, R. B., Calkins, S. D., Anastopoulos, A. D., Keane, S. P., & Shelton, T. L., "Regulatory contributors to children's kindergarten achievement",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Vol.14, No.1, pp. 101-119, 2003. DOI: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401_7 

  2. Thompson, J. E., Twibell, K. K., Teaching Herats and Mind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Curriculum fo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Barbarin, O. A., & Wasik, B. H., Handbook of Child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Research to Practice(1th ed., pp. 199-222). NY: Guilford press, 2009. 

  3. Mashburn, A. J., Pianta, R. C., Hamre, B. K., Downer, J. T., Barbarin, O. A., Bryant, D., ... & Howes, C.. "Measures of classroom quality in prekindergarten and children's development of academic, language, and social skills", Child Development, Vol.79, No.3, pp.732-749. 2008. DOI: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8.01154.x 

  4. Burns, M. S., Donovan, M. S., Bowman, B. T. (Eds.), Eager to learn: educating our preschooler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 

  5. M. Song,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peer play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readiness for school", The Korea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9, No.1. pp. 103-123, 2019.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1.005 

  6. Y. D. Kim, S. H. Kim, "The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6, No.2. pp. 25-52, 2019. DOI: https://doi.org/10.22155/JFECE.26.2.25.52 

  7. J. A. You, H. W. Chung, A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2, No.2, pp.269-289, 2017. DOI: http://dx.doi.org/10.20437/KOAECE22-2-11 

  8. S. M. Lim, H. S. Hwang, "Effects of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lay Beliefs", Korean Journal of Child Stueies, Vol.40 No.4. pp.15-27, 2019. DOI: https://doi.org/10.5723/kjcs.2019.40.4.15 

  9. H. J. Oh, A Study on Mother's Playfulness Comparison Between General Children and Child Patients Under Play Therap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8. 

  10. Barnett, L. A., "The nature of playfulness in young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3, No.4, pp.949-958, 2007. DOI: https://doi.org/10.1016/j.paid.2007.02.018 

  11. Glynn, M. A., Webster, J.,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Vol.71, No.1, pp. 83-103. 1992. DOI: https://doi.org/10.2466/pr0.1992.71.1.83 

  12. H .J. Kw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ositive beliefs about children's 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in teachers and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Korean Journal of Child Stueies, Vol.33, No.6, pp.133-147, 2012. DOI: https://doi.org/10.5723/KJCS.2012.33.6.133 

  13. S. Y. Kim., J. Y. Oh., "Analysis of structure between child teacher'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9, No.5, 23-50, 2014. 

  14. Bandura, A.,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Vol.5, pp.307-337, 2006. 

  15. Tschannen-Moran, M., Hoy, A. W.,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17, No.7, pp.783-805, 2001. DOI: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36-1 

  16. Guo, Y., Piasta, S. B., Justice, L. M., Kaderavek, J. N., "Relations among preschool teachers' self-efficacy, classroom quality, and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gai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6, No.4, pp.1094-1103, 2010. DOI: https://doi.org/10.1016/j.tate.2009.11.005 

  17. Goddard, R. D., Hoy, W. K., Hoy, A. W.,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measure, and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7, No.2, pp.479-507, 2000. DOI: https://doi.org/10.3102/00028312037002479 

  18. Ashton, P. T., Webb, R. B.,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don: Longman Publishing Group, 1986. 

  19. Da Costa, J. L., Riordan, G., Teacher efficacy and the capacity to trus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1996. 

  20. S. W. Kim, B. M. Gu,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20, No3. pp. 41-55, 2020. DOI: https://doi.org/10.21213/kjcec.2020.20.3.41 

  21. E. Park, K. N. Lee, "The Effects of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Child-care Center Teacher's Burnout, and Childcare Efficac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9, No.3. pp. 141-168, 2020. DOI: http://dx.doi.org/10.30761/ecoece.2020.19.3.141 

  22. Schaefer, C., Greenberg, R., "Measurement of playfulness: A neglected therapist vari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Vol.6, No.2, pp.21-31, 1997. DOI: https://doi.org/10.1037/h0089406 

  23. Enochs, L. G., Riggs, I. M..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nence Education, Vol.79, No.1, pp.63-75, 1990. 

  24. H. Y. Shin, Effects of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efficacy on the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child care,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04. 

  25. J. S. Le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and age,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003. 

  26. Hu, L. T., Bentler, P. M.,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55, 1999. DOI: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27. I. A. Lee, W. J. Lee,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ing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cognition of music and movement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eies, Vol.37, No2, pp.1-11, 2016. DOI: http://dx.doi.org/10.5723/kjcs.2016.37.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