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머 디스퍼전 SBR과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Properties of Polymer Cement Mortar Using SBR Latex with Blast-Furnace and Fly Ash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1 no.1, 2021년, pp.1 - 10  

김완기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yupsung University) ,  조영국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플라이애시를 혼입한 PCM의 플로, 압축강도 및 휨강도 개선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한 공시체는 SBR 폴리머 디스퍼전, 혼화재료 2종류, P/C 5가지 (0, 5, 10, 15 및 20%), 혼화재 혼입률 6가지 (0, 3, 5, 10, 15 및 20%)로 변화시켜 PCM을 제작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도 제작하였다. 본 연구결과, PCM의 플로는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으나, 고로슬래그를 혼입한 경우 플로가 약간 저하하였으며,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경우에는 PCM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혼화재를 혼입한 PCM의 압축강도는 상당히 개선되었으나, 휨강도는 일부를 제외하면 개선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BF와 FA 혼입률 10%-15%의 SBR를 사용한 PCM의 압축강도 개선에는 P/C 10%, 휨강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P/C 20%를 각각 최적 배합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flow,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of polymer cement mortar(PCM) using SBR latex mixed with blast-furnace slag and fly ash. The test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SBR polymer dispersion, two types of admixture (blast-furnace slag and f...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현재까지 PCM이 폴리머 단독으로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PCM에 혼입하여 적정 폴리머 시멘트비와 혼화재 혼입률에 따른 플로 변화 및 공기량 제어 가능성을 먼저 확보하였다. 그 후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 특성을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와 비교 평가하여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혼화재 혼입 PCM의 최적배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SBR을 사용한 PCM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BF와 FA를 혼입하여 유동성 및 역학적 성질을 평가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PCM의 플로, 압축강도 및휨강도 개선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한 공시체는 SBR 폴리머 디스퍼전, 혼화재료 2종류, P/C 5가지 (0, 5, 10, 15 및 20%), 혼화재 혼입률 6가지 (0, 3, 5, 10, 15 및 20%)로 변화시켜 PCM을 제작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도 제작하였다.
  • 현장에서 사용시 일반적으로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에 혼화재를 혼입하여 목표 플로 170±5mm가 되도록 물시멘트비를 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물시멘트비에 따른 유동성 향상 정도와 압축강도와 휨강도 특성을 알아보고자 플로 170± 5mm인 베이스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에 혼화재 혼입률의 변화에 따른 플로의 변화를 먼저 평가하였다. Figure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혼화재를 혼입하지 않은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 플로에 비해 혼입률이 낮은 5%까지는 고로슬래그 혼입한 경우가, 혼입률 10% 이상에서는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경우가 플로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시멘트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사용하는 것은 기존의 많은 연구[7, 14-16]를 통하여 그 성능이 이미 밝혀졌기 때문에 PCM에 혼입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현재까지 PCM이 폴리머 단독으로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PCM에 혼입하여 적정 폴리머 시멘트비와 혼화재 혼입률에 따른 플로 변화 및 공기량 제어 가능성을 먼저 확보하였다. 그 후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 특성을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혼입 시멘트 모르타르와 비교 평가하여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혼화재 혼입 PCM의 최적배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Ohama Y, Ibe H, Mine H, Kato K. Cement mortars modified by SB latexes with variable bound styrene. Rubber Chemistry and Technology. 1964 Feb;37(3):758-69. 

  2. Ohama Y. Handbook of polymer-modified concrete and mortars. Noyes Publications. New Jersey (U.S.A); 1995. 225 p. 

  3. Jo YK. Basic properties of polymer cement mortar with EVA emulsion and admixtur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19 Nov;23(6):53-60. https://doi.org/10.11112/JKSMI.2019.23.6.53 

  4. Kim MJ, Shin GO, Joo NC, Lee GJ,Jeong JP. Vibration properties of concrete overlays using RS-LMC.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16 Oct;28(5):571-9. https://doi.org/10.4334/JKCI. 2016. 28.5.571 

  5. Choi KK. Numerical investigation on cracking of bridge desk slabs with latex modified concrete overlay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10 Jan;22(1):77-84. https://doi.org/10.4334/JKCI.2010.22.1.077 

  6. Piotrowski T. Prochon P. Capuana A.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 cement-fiber-reinforced concrete (PC-FRC). Proceedings of the 16th International Congress on Polymers in Concrete; 2018 Apr 29-May 1; Washington DC (USA). International Congress on Polymers in Concrete; 2018. p. 227-34. 

  7. Jo YK. Kim WK.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self healing of hardener-free epoxy-modified mortars with GGBFS.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20 Feb;24(1):80-7. https://doi.org/10.11112/jksmi. 2020. 24.1.80 

  8. Pareek SN. Improvement in adhesion of polymeric repair and finish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phD thesis]. [koriyama (Japan)]: Nihon University. 1993. p. 80-106. 

  9. Ohama Y. Principle of latex modification and some typical properties of latex-modified concrete. ACI Material Journal. 1987 Feb;84(6):511-8. 

  10. Jo YK. A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hesion in tension and flexure of polymer cement mortar depending on various test method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9 Feb;19(1):47-57. https://doi.org/10.5345/JKIBC.2019.19.047 

  11. Sawaide M. Improved construction joint work of early-age concrete by polymer-emulsion treatments.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gress on Polymers in Concrete; 1990 Sep 8-11; Shanghai (China).International Congress on Polymers in Concrete; 1990. p. 562-8. 

  12. Ohama Y. Study on properties and mix proportioning of polymer-modified mortars for buildings. Report of the Building Research Institute. 1973 Oct;65:100-4. 

  13. Jo YK. Properties of polymer cement mortars under combined cur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06 0ct;18(5):667-75. https://doi.org/10.4334/JKCI.2006.18.5.667 

  14. Yoon YS, Cho SJ, Kwon SJ. Prediction equation for chloride diffusion in concrete containing GGBFS based on 2-Year cured resul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19 Mar;23(2): 1-9. https://doi.org/10.11112/jksmi.2019.23.2.1 

  15. Garbacz A. Sokolowska JJ. Concrete-like polymer composites with fly ashes-comparative stud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13 Jan;38:689-99.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2.08.052 

  16. Jo YK. Tensile and adhesion properties of polymer cement mortar with EVA emulsion, blast-furnace slag and fly as has a repair materi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Construction. 2019 Nov; 35(11):147-54. https://doi.org/10.5659/JAIK_SC.2019.35.11.1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