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지연행동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on Dropout Intention :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2, 2021년, pp.138 - 145  

김수현 (전주비전대학교 미용건강과) ,  박정은 (계명문화대학교 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의 관계에 학업지연행동이 매개효과가 있는가이다. 이를 위해 J대학교 218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Baron과 Kenny의 절차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15%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학업지연행동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5%의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does the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 the intention to drop out? Second, does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조건으로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지연행동을 매개로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하였다. 독립변인으로 학업스트레스, 매개변인으로 학업 지연 행동, 종속변인으로 중도탈락의도로 두고, 1단계와 2단계는 각각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3단계에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 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지연행동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 의도,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학업스트레스가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특히 중도탈락의도와 학습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학업 지연 행동이 매개변수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문대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지원전략을 설계하고 실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요인인 학업스트레스, 학업 지연 행동 중심으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중도탈락의도와 학습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학업 지연 행동이 매개변수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한다. 특히 중도탈락의도와 학습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학업 지연 행동이 매개변수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문대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지원전략을 설계하고 실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중도 탈락 의도 간의 관계에 학업지연행동이 매개효과가 있는가?
  •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중도탈락의 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 S. Choi & Y. C. Lee. (2013). Measures to reduce Students' Withdrawal Rate : a case study on College D.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979-987 DOI : 110.5392/JKCA.2013.13.11.979 

  2. J. A. Song & J. S. Jang. (2010). A Research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s and Family Function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5(1), 119-144. 

  3. S. I. Na, C. Y. Jyung, D. Y. Park & H. S. Lee. (2002). The Current Level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on Learning Competencies Required for Junior College Educ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4(3), 91-106. 

  4. S. J. Kim, K. H. Ye & K. H. Hong. (2016). Study of the Academic Stress of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The Korea Journal of Vision Science, 18(1), 65-75. 

  5. E. H. Lee. (2004).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Korean health psychol. 9(1), 25-52, 

  6. H. J. Park. (2002). A study on the types of life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of college students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7. J. W. Jo.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tress and the Way of Coping with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M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8. S. S. Kim, (2008). A exploratory study on withdrawal and transfer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influence of college-choice reason and satisfaction afterwards,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5(1), 227-249, 

  9. J. H. Kim, (2013).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tudent Drop-Out in Online Universities, Journal of Cyber Education, 7(2), 1-16, 

  10. B, R. Yeon & H. W. Jang, (2015). Temporal aspects and determinants of college student departur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5(1). 129-155. DOI : 10.32465/ksocio.2015.25.1.006 

  11. H. S. Park. (2017).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Local College Freshmen's Intention of Dropout: Focused on C-Colleg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5), 423-442. 

  12. M. W. Nam, H. D. Lee & E. J. Baik. (2016).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Influential Factors on Academic Dropout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Freshmen, Soonchunhyang Humanities Thesis. 35(4), 147-174. 

  13. Y, E, Lee. (2014). A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10(4), 79-101. 

  14. L. J. Solomon & E. D. Rothblum. (199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15. B. R. Jeon, H. Y. Jung & S. J. Yune. (2016). The effects of life goal and achievement goal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2(6), 313-334. 

  16. Y. S. Park. (2020).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as Improvement Factors i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 359-379. 

  17. J. W. You. (2012).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Procrastination, Self-Regulated Learning, Fear, Academic Self-Efficacy, and Perceived Academic Control in e-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8(3), 249-271. 

  18. S. H. Park & E. H. Seo, (2005). Women college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2), 115-134. 

  19. K. K. Chon, K. H. Kim & J. S. Yi.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316-335. 

  20. J. Y. Kim. (2008). Relationship among Athletes' Stress, Anxiety, Aggression,and Dropout Intention in Secondary Education,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21. Y. R. Lee. (2011).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of dancers majoring in dance on the intention to dropout,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22. J. W. Park. (2007). Comparison between perfectionism model and dysfunctional attitude model of college students' procrastination,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50-251. 

  23. K. H. Baek. (2007).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4. S. B. Han & J. W. Kim. (2015). An Analysis on the Causes of Dropout in Junior College: Focused on the Indirect Effects of College Experienc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3), 405-426. 

  25. W. Y. Yun & S. H. Kim, (2020).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 Accounting Department on Dropout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Tax Accounting Research, 0(65), 193-211. 

  26. M. J. Ko & B. Y. Choi.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6), 81-104. DOI : 10.21509/KJYS.2017.06.24.6.81 

  27. T. Y. Kwon.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S 

  28. J. Y. Kim, E. J. Kim & J. S. Kim. (2018). The Medi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14(1), 53-73. 

  29. J. M. Lim. (2020). Educ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4(3), 105-115, DOI : 10.21184/jkeia.2020.4.14.3.105 

  30. S. M. Lee & N. M. Yang. (2011).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Focusing on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a Mediator,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3), 717-7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