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ress Response, Physical Activity, and Sleep Hygiene on Sleep Quality of Shift Work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6, 2016년, pp.546 - 559  

정지영 (삼성창원병원) ,  구미옥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고,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C시에 소재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교대근무 하는 간호사 168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3월 25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였다. 연구도구는 Pittsburgh Sleep Quaility Index, Stress Response Inventory, Korean version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Short Form 및 Sleep Hygiene Practice Scale을 사용하였다.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및 사후검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은 7.35점(범위 0-21점), 스트레스 반응은 2.20점(범위 1-5점), 신체활동량은 3986MET-min/week, 수면위생은 2.73점(범위 1-6점)이었다. 수면의 질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특성 중 교대근무 경력, 건강상태, 일주기 리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교대근무경력, 수면위생,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0%(F=8.16, p<.001)였다. 따라서,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면위생 증진 교육을 실시하고, 스트레스 반응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며, 중간정도의 신체활동을 권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stress response, physical activity and sleep hygiene in shift work nurse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The participants were 168 shift nurses from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C 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3교대 근무하는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며,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신체활동도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규명이 되었는데 저 신체활동에 비해 중간이나 고 신체활동이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간 신체활동이고 신체활동 보다 수면의 질에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중간정도의 신체활동을 권장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을 높이는 간호중재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부족이 삶에 미치는 영향은? 수면은 삶의 기본적인 활동으로 인간이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충분한 수면은 건강과 안위를 증진시키는 반면 수면부족은 피로, 졸음, 기억력과 집중력의 감소, 초조, 긴장 등을 초래하고 낮 동안의 생활에 영향을 주며[1], 불안과 우울증상을 유발하여 면역체계에도 영향을 주는 등[2],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3].
간호사의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이런 수면의 질 저하로 초래되는 수면장애는 피로, 주간 졸리움, 공격성, 불안, 초조 및 긴장 등을 초래하고 정신생리적 항상성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간호사들의 교대근무에 따른 수면장애는 교감신경계 활성화, 감염에 대한 민감성 증가, 인지 장애, 감정변화, 신체적 고통[12]등의 간호사 개인의 건강문제 뿐만 아니라, 간호업무수행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저하시켜 투약, 환자 파악, 의료기기 작동의오류, 주사침 상해 등의 병원 내 사고발생의 위험을 높여 환자의 건강 및 생명에도 영향을 미치며[13], 간호사의 이직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14].
수면이란? 수면은 삶의 기본적인 활동으로 인간이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충분한 수면은 건강과 안위를 증진시키는 반면 수면부족은 피로, 졸음, 기억력과 집중력의 감소, 초조, 긴장 등을 초래하고 낮 동안의 생활에 영향을 주며[1], 불안과 우울증상을 유발하여 면역체계에도 영향을 주는 등[2],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D. E. Moul, E. A. Nofzinger, P. A. Pilkonis, P. R. Houck, J. M. Miewald & D. J. Buysse, "Symptom reports in severe chronic insomnia", Sleep, Vol.25, No.5 pp.548-558, 2002. 

  2. S. Hoffman, "Sleep in the older adult: implications for nurses", Geriatric Nursing, Vol.24, No.4, pp.210-216,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197-4572(03)00213-1 

  3. D. J. Taylor, L. J. Mallory, K. L. Lichstein, H. H. D -urrence, B. W. Riedel, & A. J. Bush, "Comorbidity of chronic insomnia with medical problems", Sleep, Vol.30, pp.213-218, 2007. 

  4. E. J. Jung, G. S. Chea, W. J. No, M. M. Park, W. O. Jo. & H. J. Kim, Sury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ing Seoul: Korea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2. 

  5. X. Liu, Mackoto Uchiyama, Keiko kim, Masako Okawa, Kayo Shibui, Kudok Yuriko Doi, Masumi Minowa & Ryuji Ogihara, "Sleep loss and daytime sleepiness in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of Japan", Psychiatry Research. Vol.93, No.1, pp.1-11,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165-1781(99)00119-5 

  6. Y. N. Park, H. k. Yang, H. L. Kim, & Y. C. Cho,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fatigue symptoms of nurses for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6, pp. 37-47, 2007.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1.37 

  7. P. L. Chien, H. F. Su, P. C. Hsieh, R. Y. Siao, P. Y. Ling, & H. J. Jou, "Sleep quality among female hospital staff nurses", Sleep Disorder, pp.1-6, 2013. DOI: http://dx.doi.org/10.1155/2013/283490 

  8. M. L. Hsieh, Y. M. Li, E. T. Chang, H. L. Lai, W. H. Wang, & S. C. Wang, "Sleep disoder in Taiwanese nurses: A random sample survey", Nursing & Health Sciences, Vol.13, pp.468-474,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1.00641.x 

  9. H. S. Kim, K. S. Choi, M. R. Eom, & E. J. Joo, "Role of circadian types and depressive mood on sleep quality of shift work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Phychopharmacology, Vol.22, No.2, pp. 96-104, 2011. 

  10. K. S. Lee, I. S. Kwon,& Y. C. Cho,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job stres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2, No.8, pp.3523-3531,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8.3523 

  11. S. W. Shin, & S. H. Kim, "Influence of health-pro moting behaviors on quality of sleep in rotating shif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 Nursing, Vol.21, No.2, pp.123-130, 2014.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2.123 

  12. U. M. Edell-Gustafsson, E. I. K. Krite, & I. K. Bogren,"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Scacd Journal Caring, Vol.16, No.2, pp.179-187,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471-6712.2002.00078.x 

  13. D. J. Buysse, A. Germain, D. E. Moul, P. Franzen, L. K. Brar, & M. E. Fletcher, "Efficacy of brief behavioral treatment for chronic insomnia in older adults", Archives Internal Medicine, Vol.171, No.10, pp.887-895, 2011. DOI: http://dx.doi.org/10.1001/archinternmed.2010.535 

  14. K. S. Yun,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Eulji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2010. 

  15. H. N. Kogan, & A. P. Betrus, "Self-management: A nursing mode of therapeautic influence", Advanced in Nursing Science, Vol,6. No.4, pp.55-73, 1984. DOI: http://dx.doi.org/10.1097/00012272-198406040-00008 

  16. M. S.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quality of sleep and stress response among shift nurses", Kosin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2012. 

  17. Y. G. Kim, D. Y. Yoon, J. I. Kim, C. H. Chae, Y. S. Hong, C. G. Yang, J. M. Kim, K. Y. Jung, J. Y. Kim, "Effect of Health on shift-Work 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 Environ Med, Vol.14, No.3, pp.247-256, 2002. 

  18. K. S. Han, E. Y. Park, Y. H. Park, H. S. Lim, E. M. Lee, & L., Kim,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clincal nurses", Journal of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0, pp. 121-131, 2011. 

  19. D. L. Sherrill, K. Kotchou, & S. F. Quan,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Human sleep disorders", JAMA Internal Medicine, Vol.158, No.17, pp.1894-1898, 1998. DOI: http://dx.doi.org/10.1001/archinte.158.17.1894 

  20. A. R. Kim,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on Sleep Qua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Comparis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7, No.4, pp.287-296, 2015. DOI: http://dx.doi.org/10.7586/jkbns.2015.17.4.287 

  21. Y. R. Chae, D. H. Choi & S. J. Yu, "Predictors of Poor Sleep Q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2, PP. 98-104, 2014. 

  22. D. F. Mastin, J. Bryson,& R. Crowyn, "Assessment of sleep hygiene using the sleep hygiene index",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29, No.3, pp.223-227, 2006. DOI: http://dx.doi.org/10.1007/s10865-006-9047-6 

  23. C. M. Yang, S, C. Lin, S. C. HSU, & C, P. Cheng,"Maladaptive Sleep Hygiene Practices in Good Sleepers and Patients with Insomni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5, No.1, pp.147-155, 2010. DOI: http://dx.doi.org/10.1177/1359105309346342 

  24. S. J. Yang & J. S. Kim,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leep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 Nursing, Vol.12, No.2, pp. 108-118, 2010. 

  25. L. Kim, Y. K. Choi, & K. Y. Suh,"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Sleep Hygiene in Residents of Seoul", Journal of Neuropsychiatr Assoc, Vol.36, No.4, pp.712-722, 1997. 

  26. K. S. OH, S. H. Lee& S. H. Lee, "Psychophysiologic States of Insomnia Patients -Pre-Sleep Arousal, Self Efficacy, Sleep Hygiene Awareness and Practice, Depression, and Anxiety",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ol.2, No.1, pp.82-90, 1995. 

  27. J. H. Lee, H. U. Suh, & S. Y. Chung, "A Preliminary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EFT-1(EFT program for insomnia)for insomnia",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22, No.4, pp.101-109, 2011. DOI: http://dx.doi.org/10.7231/JON.2011.22.4.101 

  28. F. C. Brown, W. C. Buboltz, & B. Soper, "Relationship of sleep hygiene awareness", sleep hygiene practices, sleep quality in university students", Behav. Med. Vol.28 pp.33-39, 2002. DOI: http://dx.doi.org/10.1080/08964280209596396 

  29. T. L. Chou, L. I. Chang, & M. H. Chung,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leep hygiene practice on anxiety and insomnia in hospital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Vol.21, No.2, pp.9-18, 2015. DOI: http://dx.doi.org/10.1111/ijn.12164 

  30. M. H. Chung, W. I. Liu, H. L. Lee, & N. Hsu, "Selected Neurophysiology,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Influences on Subjective Sleep Qulity in Nurses: A Structure Equation Model". PLOS ONE. Vol.8, No.11, pp.1-7, 2013.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79529 

  31. M. F. Shao, Y. C. Chou, M. Y. Yeh, & W. C. Tzeng,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in female shift-working nurses", Journal of Advance Nursing, Vol.66, No.7, pp.1565-1572,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300.x 

  32. M. J. Kim,"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to sleep disturbance in hospital nurses", Catholic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2015. 

  33. S. J. Lee, "Comparison of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Yonsei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2001. 

  34. D, J. Buysse, C. F. Reynolds, T, H. Monk, S. R. Berman, & D. J. Kuper,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Vol.28, pp.193-213, 1989. DOI: http://dx.doi.org/10.1016/0165-1781(89)90047-4 

  35. K. B. Koh, J. K. Park, C. H. Kim,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39, No.4, pp.707-719, 2000. 

  36. W. R. Thompson, N. F. Gordon, & L. S. Pescatello,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Benefits and Risk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8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37. J. Y. Oh, Y. J. Yang, B. S. Kim, K. J. He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PDF icon", J. Korean Acad. Fam. Med, Vol.28, No.7, pp.532-541, 2007. 

  38. Y. W. Cho, "Measures of sleep and sleep hygiene", Journal of Korean Sleep Research Socity, Vol.1, pp. 12-23, 2004. DOI: http://dx.doi.org/10.13078/jksrs.04003 

  39. D. D. Blake, & M. H. Gomez, "A scale for assessing sleep hygiene: Preliminary data", Psychological Reports, Vol.83(3 Pt2), pp.1175-1178, 1998. DOI: http://dx.doi.org/10.2466/pr0.1998.83.3f.1175 

  40. P. Lacks, & M. Roter, "Knowledge and practice of sleep hygiene techniques in insomniacs and good sleepe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24, No.3, pp.365-368, 1986. DOI: http://dx.doi.org/10.1016/0005-7967(86)90197-X 

  41. National Sleep Foundation. (n.d). Website : from http//www.sleepfoundation.org/ (2006.8). 

  42. M. Y. Roh, "Effect of Acu-Meridian Massage on stress and Immune responses in ICU Nurses", Kosi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3. 

  43. S. W. Moon, "The effects of color Therapy on the Stress Response of women at work", Kyonggi University, Master, Thesis, 2015. 

  44. Y. M. Kwon," Validation of sleep Regulity Test and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physical Activity of shift work", Inha University, Master, Thesis, 2013. 

  45. Y.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2990-2010)", Yonsei University, Master, Thesis, 2012. 

  46. C. Humm," Night terrors", Nursing Standard, Vol.14, No.20, pp.14-15, 2000. 

  47. D. Pronitis-Ruotolo, "Surviving the night shift", American Journal of Nursing, Vol.101, No7, pp.63-65, 67-68,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0446-200107000-00027 

  48. M. H. Chung, F. M. Chang, C. C. Yang, T. B. Kuo & N. Hsu,"Sleep quality and morningness-even ingness of shift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8, No.2, pp.279-284,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160.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