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온빔 스퍼터링으로 증착한 IZTO 박막의 결정화 거동과 전기적 특성 분석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ZTO Thin Films Fabricated by Ion-Beam Sputtering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4 no.2, 2021년, pp.99 - 104  

박지운 (영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박양규 (영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이희영 (영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on-beam sputtering (IBS) was used to deposit semiconducting IZTO (indium zinc tin oxide) thin films onto heavily-doped Si substrates using a sintered ceramic target with the nominal composition In0.4Zn0.5Sn0.1O1.5, which could work as a channel layer for oxide TFT (oxide thin film transistor) devic...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증착온도 변화에 따른 결정화 거동 관찰을 위하여 이온빔 스퍼터로 증착 시 기판 홀더에 장착된 히터를 이용하여 증착 시 기판의 온도를 실온(RT), 100℃, 200℃, 300℃로 고정하여 증착하였다. 본 연구에서 증착온도를 300℃ 이상으로 증가시키지 않은 주된 이유는 IZTO 산화물 반도체 박막이 지향하는 응용분야가 궁극적으로는 유연기판에 TFT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 타깃 기울임 각도는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와 같은 이온빔 스퍼터에서는 주요 증착변수의 하나이며, 타깃에 입사하는 이온빔과 증착이 이루어지는 기판 간의 각도가 90°로 설계된 경우에는 입사 빔과 이루는 각도를 약 45°로 선택하여 증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연구에서는 45°를 중심으로 40~50° 범위에서 타깃 기울임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박막의 두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온빔 스퍼터링 법으로 증착된 반도성 IZTO 박막 두께의 균일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타깃 기울임 각도(θ)를 40~50° 범위에서 조절하였다. 연구 결과 실온에서 증착하였을 때 위의 각도 범위에서는 각도 변화에 크게 상관없이 100 nm 내외의 비슷한 두께를 가지는 IZTO 박막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온빔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증착 온도 변화에 따른 박막의 결정화 구동과 전기적 특성 변화 및 스퍼터링 타깃의 기울임 각도에 따른 IZTO박막의 특성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증착용 이온빔 소스로는 cold-hollow cathode 방식 소스(러시아 Platar사, KLAN-53)를 사용하였으며.
  • [11, 12]. 본 연구에서는 정해진 증착 조건에서 이온빔과 타깃의 기울임 각도에 따른 IZTO 박막의 증착 두께 균일성과 증착 시 기판 온도를 최대 300℃까지 조절하여 결정화 및 박막의 특성 변화가 있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타깃 기울임 각도는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와 같은 이온빔 스퍼터에서는 주요 증착변수의 하나이며, 타깃에 입사하는 이온빔과 증착이 이루어지는 기판 간의 각도가 90°로 설계된 경우에는 입사 빔과 이루는 각도를 약 45°로 선택하여 증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산화물 반도체 박막 연구에는 주로 RF/DC magnetron sputtering, ALD, MOCVD, Sol-Gel spin-coating 등 다양한 박막 증착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온빔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박막을 제조하고 특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6-10]. 이온빔 스퍼터링 법은 기존의 RF 또는 DC 스퍼터링법에 비해 base pressure와 working pressure가 10분의 1 정도 더 낮은 고진공상태에서 증착이 진행되고, 플라즈마가 증착 챔버 내에서 제한된 공간에만 집중되므로 증착 중 플라즈마에 의한 박막의 손상을 줄일 수 있고 나노 스케일의 표면 처리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특성이 우수한 치밀한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I. Noviyana, A. D. Lestari, M. Putri, M. S. Won, J. S. Bae, Y. W. Heo, and H. Y. Lee, Materials, 10, 702 (2017). [DOI: https://doi.org/10.3390/ma10070702] 

  2. A. D. Lestari, I. Noviyana, M. Putri, Y. W. Heo, and H. Y. Lee, J. Nanosci. Nanotechnol., 19, 1686 (2019). [DOI: https://doi.org/10.1166/jnn.2019.16251] 

  3. A. D. Lestari, M. Putri, Y. W. Heo, and H. Y. Lee, J. Nanosci. Nanotechnol., 20, 252 (2020). [DOI: https://doi.org/10.1166/jnn.2020.17222] 

  4. R. N. Bukke, C. Avis, M. N. Naik, and J. Jang, IEEE Electron Device Lett., 39, 371 (2018). [DOI: https://doi.org/10.1109/LED.2018.2791633] 

  5. Y. Zhang, H. Zhang, J. Yang, X. Ding, and J. Zhang, IEEE Trans. Electron Devices, 66, 5170 (2019). [DOI: https://doi.org/10.1109/TED.2019.2949702] 

  6. I. H. Baek, J. J. Pyeon, S. H. Han, G. Y. Lee, B. J. Choi, J. H. Han, T. M. Chung, C. S. Hwang, and S. K. Kim, ACS Appl. Mater. Interfaces, 11, 14892 (2019). [DOI: https://doi.org/10.1021/acsami.9b03331] 

  7. J. Sheng, T. H. Hong, D. H. Kang, Y. Yi, J. H. Lim, and J. S. Park, ACS Appl. Mater. Interfaces, 11, 12683 (2019). [DOI: https://doi.org/10.1021/acsami.9b02999] 

  8. J. W. Park, S. W. Han, N. Jeon, J. Jang, and S. Yoo, IEEE Electron Device Lett., 29, 1319 (2008). [DOI: https://doi.org/10.1109/LED.2008.2005737] 

  9. R. S. Sonawane, S. G. Hegd e, and M. K. Dongare, Mater. Chem. Phys., 77, 744 (2003). [DOI: https://doi.org/10.1016/S0254-0584(02)00138-4] 

  10. H. K. Park, J. A. Jeong, Y. S. Park, H. K. Kim, and W. J. Cho, Thin Solid Films, 517, 5563 (2009). [DOI: https://doi.org/10.1016/j.tsf.2009.02.138] 

  11. C. Y. Koo, K. J. Kim, K. H. Kim, and H. Y. Lee, J. Korean Ceram. Soc., 37, 1025 (2000). 

  12. J. M. Park, J. Y. Lee, H. Y. Lee, and J. B. Park, Trans. Electr. Electron. Mater., 11, 266 (2010). [DOI: https://doi.org/10.4313/TEEM.2010.11.6.266] 

  13. J. A. Lee, Y. W. Heo, J. H. Lee, H. Y. Lee, and J. J. Kim, J. Nanoelectron. Optoelectron., 12, 598 (2017). [DOI: https://doi.org/10.1166/jno.2017.2054] 

  14. Y. S. Kim, W. J. Hwang, K. T. Eun, and S. H. Choa, Appl. Surf. Sci., 257, 8134 (2011). [DOI: https://doi.org/10.1016/j.apsusc.2011.04.123] 

  15. Y. D. Ko, C. H. Lee, D. K. Moon, and Y. S. Kim, Thin Solid Films, 547, 32 (2013). [DOI: https://doi.org/10.1016/j.tsf.2013.05.069] 

  16. K. H. Kim, M. Putri, H. J. Lee, C. Y. Koo, J. A. Lee, J. J. Kim, and H. Y. Lee, J. Nanoelectron. Optoelectron., 10, 541 (2015). [DOI: https://doi.org/10.1166/jno.2015.17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