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머리전방자세가 턱관절의 최대 개구량과 관자근 및 깨물근의 근활성도와 비대칭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orward Head Posture on The Maximum Mouth Opening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Muscle Activity and The Asymmetry Rate of The Temporalis and Masset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3, 2021년, pp.291 - 296  

양용필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서동열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머리전방자세가 증가함에 따른 턱관절의 최대 개구량, 관자근과 깨물근의 근활성도, 근육의 비대칭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참가자들의 머리척추각을 측정하여, 연구의 선정요구를 충족시키는 머리 척추각이 50° 이상인 대상자 50명(23.10±2.73세)을 선정하였다. 머리전방자세를 증가시키기 위해 머리척추각을 0%, 10%, 20%를 감소시켜 Control I, Control II, Control III으로 설정하였다. 각 조건에 따른 턱관절의 최대 개구량, 관자근과 깨물근의 근활성도와 비대칭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머리척추각의 감소에 따라 최대 개구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조건 변화에 따른 근활성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오른쪽 관자근과 깨물근 및 왼쪽 관자근의 근활성도는 감소하였으며(p<.001), 왼쪽 깨물근의 근활성도도 감소하였다(p<.01). 조건 변화에 따른 근육의 좌우 비대칭률을 측정한 결과 좌우 관자근의 비대칭률, 좌우 관자근과 깨물근을 더한 근육의 비대칭률은 증가하였다(p<.01). 본 연구 결과는 턱관절 부위에 대한 치료 전략과 종합적 진단을 세우고, 턱관절 장애 치료를 위해 사용된 도수치료와 치료적 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forward head posture on the maximum mouth opening of the jaw joint and the muscle activity and asymmetry of the temporalis and masseter. The craniovertebral angle was measured in 50 subjects (23.10±2.73 years) who met the selection requirements of the stu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턱관절의 가동범위 측정을 위해 MMO를 측정하였다. MMO의 정상 범위 측정은 턱관절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진단 요소 중 하나이다[11, 12].
  • 본 연구에서는 부적절한 앉은자세가 TMD 발생에 상관성이 있으며 목 부위에 대한 치료가 TMD에 영향을 준다는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FHP가 턱관절의 가동범위와 씹기근육의 근활성도 및 근육의 비대칭률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FHP로 인해 머리와 목 부위의 통증이 나타나며, 머리와 목 부위 통증은 턱관절과 관련되어있다는 기존 연구를 토대로 FHP가 턱관절의 MMO, 관자근과 깨물근의 근활성도 및 비대칭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머리와 목, 턱관절 부위에 대한 치료 전략과 종합적 진단을 세우고, TMD 치료를 위한 도수치료와 치료적 운동들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Patil, A. R. Iyengar, R. M. Kotni, S. B V, R. K. Joshi, "Evaluation of Efficacy of Ultrasonography in the Assessmen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n Subjects with Myositis and Myofascial Pain",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29, No.1, pp.12-17,Jan, 2016. DOI:https://doi.org/10.3344/kjp.2016.29.1.12. 

  2. T. Shimazaki, M. Motoyoshi, K. Hosoi, S. Namura, "The Effect of Occlusal Alteration and Masticatory Imbalance on the Cervical Spine", European journal of orthodontics, Vol.25, No.5, pp.457-463, 2003. DOI:https://doi.org/10.1093/ejo/25.5.457. 

  3. L. Straker, K. Mekhora, "An Evaluation of Visual Display Unit Placement by Electromyography, Posture, Discomfort and Pre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Vol.26, No.3, pp.389-398, 2000. DOI:https://doi.org/10.1016/S0169-8141(00)00014-7. 

  4. W. G. Yoo, C. H. Yi, H. S. Kim, M. H. Kim, SS Myeong et al, "Effects of Slump Sitting Posture on the Masticatory, Neck, Shoulder, and Trunk Muscles Associated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Physical Therapy Korea, Vol.13, No.4, pp.39-46, 2006. 

  5. R. Perri, V. Huta, L. Pinchuk, C. Pinchuk, D. J. Ostry et al, "Initi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Extended Computer use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Journal Canadian Dental Association, Vol.74, No.7, pp.643, 2008. 

  6. S. Ok, C. Kim, S. Jeong, Y. Ahn, M. Ko, "Comparative Analysis : The Patter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7, No.1, pp.47-59,2012. DOI:https://doi.org/10.14476/jomp.2012.37.1.047. 

  7. H. Yang, M. Kim, "Prevalence and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4, No.1, pp.63-79, 2009. 

  8. C. Fernandez-de-las-Penas, M. L. Cuadrado, J. A. Pareja, "Myofascial Trigger Points, Neck Mobility and Forward Head Posture in Unilateral Migraine", Cephalalgia, Vol.26, No.9, pp.1061-1070,2006. DOI:https://doi.org/10.1111/j.1468-2982.2006.01162.x. 

  9. C. H. T. Yip, T. T. W. Chiu, A. T. K. Po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Posture and Severity and Disability of Patients with Neck Pain", Manual Therapy , Vol.13, No.2, pp.148-154, 2008. DOI:https://doi.org/10.1016/j.math.2006.11.002. 

  10. W. Chansirinukor, D. Wilson, K. Grimmer, B. Dansie, "Effects of Backpacks on Students: Measurement of Cervical and Shoulder Posture",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Vol.47, No.2, pp.110-116, 2001. DOI:https://doi.org/10.1016/S0004-9514(14)60302-0. 

  11. C. Gallagher, V. Gallagher, H. Whelton, M. Cronin, "The Normal Range of Mouth Opening in an Irish Population",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Vol.31, No.2, pp.110-116,2004. DOI:https://doi.org/10.1046/j.0305-182X.2003.01209.x. 

  12. X. Li, C. Jia, Z. Zhang, "The Normal Range of Maximum Mouth Opening and its Correlation with Height Or Weight in the Young Adult Chinese Population", Journal of dental sciences, Vol.12, No.1, pp.56-59, 2016. DOI:https://doi.org/10.1016/j.jds.2016.09.002. 

  13. C. McNeill.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oncepts and Controversies",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Vol.77, No.5, pp.510-522, 1997. DOI:https://doi.org/10.1016/S0022-3913(97)70145-8. 

  14. C. Sforza, G. M. Tartaglia, N. Lovecchio, A. Ugolini, R. Monteverdi et al, "Mandibular Movements at Maximum Mouth Opening and EMG Activity of Masticatory and Neck Muscles in Patients Rehabilitated After a Mandibular Condyle Fracture", Journal of cranio-maxillo-facial surgery, Vol.37, No.6, pp.327-333, 2009. DOI:https://doi.org/10.1016/j.jcms.2009.01.002. 

  15. W. R. Martins, J. C. Blasczyk, Aparecida Furlan de Oliveira, Micaele, K. F. Lagoa Goncalves, A. C. Bonini-Rocha et al, "Efficacy of Musculoskeletal Manual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Manual therapy, Vol.21,pp.10-17, 2015. DOI:https://doi.org/10.1016/j.math.2015.06.009. 

  16. S. Armijo-Olivo, L. Pitance, V. Singh, F. Neto, N. Thie et al, "Effectiveness of Manual Therapy and Therapeutic Exercise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hysical therapy, Vol.96, No.1, pp.9-25, 2016. DOI:https://doi.org/10.2522/ptj.20140548. 

  17. K. J. Heo, The Influence of Scalenus Stretching Exercise on the Asymmetry Ratio of Bite Force and the Asymmetry Ratio of Masticatory Muscle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illa Univercity, Busan, pp. 16-39, 2014. 

  18. J. H. Lee, Analysis of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effect of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o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pp. 19-22, 2013. 

  19. G. C. Morell. "Manual Therapy Improved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Evidence-based dentistry, Vol.17, No.1, pp.25-26, 2016. DOI:https://doi.org/10.1038/sj.ebd.6401155. 

  20. I. S. Lee, S. Y. Kim. "Correlation Among the Cervical Kyphotic Angle, Pain, and Disability Level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hysical Therapy Korea, Vol. 27, No. 2, pp.102-110, 2020. DOI: https://doi.org/10.12674/ptk.2020.27.2.102 

  21. J. H. Kang, J. S. Kim, "Review of Effect of the Mechanical Stress on Muscle",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ol. 6, No. 2, pp.51-57, 2008. 

  22. A Mapelli, B. C. Z. Machado, L. D. Giglio, C. Sforza, C. M. D. Felicio, "Reorganization of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chronic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rchives of Oral Biology, Vol. 72, pp.164-171, 2016. DOI: https://doi.org/10.1016/j.archoralbio.2016.08.022 

  23. I. Ardizone, A. Celemin, F. Aneiros, J. D. Rio, T. Sanchez, I. Moreno, "Electromyographic study of activity of the masseter and anterior temporalis muscle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ysfunction: comparison with the clinical dysfunction index".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Vol. 15, No. 1, pp.14-19, 2010. DOI: https://doi.org/10.4317/medoral.15.e14 

  24. C. J. Gwan, Effects of manual therapy and exercise program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on the patients' pain and function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s, Hallym University, Gangwon, pp. 58-59. 2017. 

  25. A. Mapelli, B. C. Z Machado, L. D. Giglio, C. Sforza, C. M. De Felicio, "Reorganization of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Chronic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rchives of oral biology, Vol.72, pp.164-171, 2016. DOI:https://doi.org/10.1016/j.archoralbio.2016.08.022. 

  26. I. Ardizone, A. Celemin, F. Aneiros, J. del Rio, T. Sanchez et al, "Electromyographic Study of Activity of the Masseter and Anterior Temporalis Muscle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ysfunction: Comparison with the Clinical Dysfunction Index", Medicina oral, patologia oral y cirugia bucal, Vol.15, No.1, pp.e14-e1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