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의 리모델링 사례연구 -부산시 '구포새뜰마을'과 '해리단길'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Remodeling of Detached House for Adaptive Reuse -Focused on 'Gupo-Saetulmaul' and 'Haeridan-gil'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3, 2021년, pp.205 - 216  

최강림 (경성대학교 건축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적응적 재사용과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 리모델링 방법론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 단독주택의 리모델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부산시의 단독주택지인 '구포새뜰마을'과 '해리단길'을 대상으로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에 의해 주민 공간 및 시설로 리모델링된 건축물은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지속적인 유지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민간에 의해 상업용도로 전용된 단독주택지의 건축물은 주거 및 상업용도의 상생이 필요하다. 셋째, 단독주택지 전체 차원에서 가로 및 건축물 리모델링의 계획 및 설계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 growing interest and need for adaptive reuse and remodeling as a method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residential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remodeling of detached house for adaptive reuse in Korea.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주제어

표/그림 (17)

참고문헌 (18)

  1. A. R. Cho & J. Y. Kim. (2020).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Individual Building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 Focused on Neighborhood Regeneration Districts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6), 141-152. 

  2. K. R. Choi. (2019).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r Declined Industrial Districts in Downtown A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0), 129-142. 

  3. Wikipedia. Adaptive Reuse. en//wikipedia.org/wiki/Adaptive_reuse. 

  4. H. Bae & E. Shim. (2019). Desig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shown in Water Towers Adaptive Reuse. Achives of Design research, 32(2), 117-135. 

  5. Liliane Wong. (2017). Adaptive Reuse: Extending the Lives of Building, Berlin : Birkhauser Basel. 

  6. Bie Plevoets & Koenraad Van Cleempole. (2019). Adaptive Reuse of th e Built Heritage, New York : Routledge. 

  7. Y. H. Song. (2018). Regeneration Plan for Old Agricultural & Industrial Complexes in ChungNam through Adaptive Reuse. Daejeon : ChungNam Institute. 

  8. K. Kim. (2016). An 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Remodeling, Seoul : Seo Woo Publication. 

  9. H. Y. Yoo, Y. B. Reigh & H. Y. Yoon. (2020). A Study on the Neighborhood Regener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Empty Houses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7), 25-36. 

  10. H. J. Kim & S. H. Yi. (2013). The Planning Methods of Adaptively Reusing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s Cultural Spaces - Focused on the Buildings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6), 83-92. 

  11. E. Choi. (2013). Urban Revitalization in the UDS Cities Utilizing Adaptive Reuse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is Association, 19(4), 255-279. 

  12. H. S. Lee, S. A. Kim & Y. H. Park. (2000).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for the Adaptive Reuse in Old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6(7), 39-46. 

  13. Y. K. Lee & E. H. Kim. (2020). Policy Direction in Responses to Demand for Apartment Remodel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6(1), 125-136. 

  14. J. Choi, J. Choi, S. Baek & S. Lian. (2019). A Study on the Residents Preference on Apartment remodeling Propos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5(6), 13-20. 

  15. H. D. Jang & H. S. Je. (2019). A Study on the Housing Polici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Remodeling b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 and France Cas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5(9), 131-142. 

  16. J. K. Yeo, S. W. Hong & M. H. Choi. (2002). A Study on the Exterior Remodeling for Using Commercial Facility of Housing in City. Journal of the Koran Housing Association.13(6), 31-39. 

  17. H. J. Son. (2021. 1. 23). Person instead of Car : Haeridan-gil the 'Hot place' of Haeundae will be changed a Pedestrian first Street, Yonhapnews. 

  18. K. H. Cha. (2021. 1. 27). 'Haeundae Spa-gil & Haeridan-gil' will be changed to Walkable Street, Yonhapnew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