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휴공간 재생을 위한 워크숍 방법론의 실천적 연구 -제주시 원도심 유휴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shop Methodology for Regenerate of Idle Space - Focused on the Idle Space in Old Downtown Jeju - 원문보기

커뮤니티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Community Education Facilities, v.28 no.2, 2021년, pp.3 - 10  

정은재 (Dept. of Fine Art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munity-based design is also becoming important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existing design methods of the "conformity" method had the problem of excluding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refore, the "decision-making" method, in which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design themselves, is draw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선 단계별로 워크숍 프로그램과 교구 적용과정을 고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단계별로 도출된 성과물들과 워크숍 참여 주민들의 발언 등을 고찰 분석하였다.
  • 선행연구(Jeong 2020)에서는 제안된 방법론의 ‘프로그램’과 ‘교구’를 분석해 개발과정에서의 한계와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휴공간을 대상으로 한 주민참여 워크숍을 실시하고 그 ‘과정’과 ‘성과물’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의 문제점과 성과를 개발 의도와 비교함으로써 방법론의 장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 앞서 과거 기억들을 통해 인식의 공유가 이루어졌다면 두 번째 ‘목표 이미지 공유 단계’에서는 집단의 목표를 합의하고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개인 시트 만들기’를 통해 참가자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 앞선 단계에서 뒷집의 목표가 제시되었다면 세 번째 ‘구체적인 목표의 디자인 실천 단계’에서는 전문가가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참가자들 간 활용 가치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시된 뒷집의 활용방안을 바탕으로 전문가(촉진자)가 뒷집 모형과 간략한 배치안을 마련하였다.
  • 또한, 현재 모습을 확인하면서 과거 기억을포스트잇(파란색)으로 축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장소에 대한 공통의 기억을 매개로 지역에 대한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커뮤니티 중심 디자인 이론들에 주목해 제안된 의사결정 지원 수법을 실천적으로 유휴공간 설계 워크숍에 적용해 봄으로써 커뮤니티의 능동적인 의사결정 참여 가능 여부를 다음과 같이 밝힐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Urban Regeneration Plan, 2017 

  2. Jeong, Eun-Jae,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and Conditions of Decision-Making Method for the Community -Focused on the Workshop Methodology for Regenerate Idle Space in Old Downtown Jej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7(2), pp.49-55, 2020 

  3. Sung, E.A., A Study on the Method of Application for Participatory Design, Journal of KICA, 25, pp.77-84, 2009 

  4. Kim, Ki-Young, A Study on the Construction for Using Urban Design Game in Citizen Participation - Focusing on the Community Building Workshop -,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Master Thesis, 2012 

  5. Hamdi, N and Goethert, R.,, Action Planning for Cities - A Guide to Community Practice: Academic Press, 1997 

  6. 佐藤 滋 外 4人, まちづくりデザインゲ?ム. ?芸出版社, 2008 

  7. news1, http://news1.kr, Site accessed November 11, 2019 

  8. Bridgenews, Co., http://www.viva100.com, Site accessed November 11,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