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호혜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Recipro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sion of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3, 2021년, pp.287 - 295  

김은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호혜성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G시 소재 300병상 이상 규모의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최종 1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감정노동과 정적상관, 호혜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감정노동은 호혜성과 부적상관를 보였다. 호혜성의 하위요인들은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호혜성의 하위요인들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졌다. 따라서 조직이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을 감소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호혜성 증진을 위한 노력과 관리방안 마련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cipro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The subjects were nurses from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in G city, and 197 data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t-test, ANOVA, Pears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임상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호혜성을 중심으로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이직의도가 높았던 임상경력 4∼9년차, 30대의 성숙도가 높은 간호사들의 이직은 조직차원에서도 손실이 매우 크다.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호혜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서론 부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선행연구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호혜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한 연구는 드물기에,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대상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29%로 이었으나 협력자간 상호균형을 매개하였을 때 영향력은 33%로 증가하며, 협력자간 상호균형이 매개 역할을 하여 이직의도 정도를 낮추었다.
  • 본 연구의 참여에 서면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설문 도중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 중단 가능함을 설명한 후 진행하였다. 간호근무경력이 최소 6개월 이상인 자를 선정하였으며, 그 이유는 간호사가 입 사후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독립적으로 업무수행이 가능한 시점으로 보고되기 때문이다[2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호 교류적인 개념인 호혜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감정노동을 겪고 있는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좀 더 다차원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조직 내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호혜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는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는 연령이 31∼ 40세인 경우가 41세 이상보다 이직의도가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E. A. Kim. (2020). The Effect of Nurse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3), 22-30. DOI : 10.22156/CS4SMB.2020.10.03..022 

  2. Y. S. Kim & K. Y. Park. (2016). Influences of Customer Orientation, Emotional Labor, Unit Manager-nurse Exchange and Relational Bonds on Nurses' Turnover Intension.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stration, 22(4), 396-405. DOI : 10.11111/jkana.2016.22.4.396 

  3. L. Karimi, S. G. Leggat, L. Donohue, G. Farrell & G. E. Couper. (2014). Emotional Rescue :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ur on Wellbeing and Job Stress among Community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0(1), 176-186. DOI : 10.1111/jan.12185 

  4. J. Y. Kim. (2016).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 Practitioners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Journal 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331-342. DOI : 10.14400/jdc.2016.14.8.331 

  5. M. A. Lee & E. J. Kim. (2016). Influences of Hospital Nurses' Perceived Reciprocity and Emotional Labor on Quality of Nursing Service and Intent to Leav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3), 364-374. DOI : 10.4040/jkan.2016.46.3.364 

  6. Hospital Nurse Association. (2020). 2019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Report. Hospital Nurse Association. 

  7. G. Jourdain & D. Chenever. (2010). Job Demands-resources,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the Nursing Profession: A Q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6), 709-722. DOI : 10.1016/j.ijnurstu.2009.11.007 

  8. A. W. Gouldner. (1960). The Norm of Reciprocity: A Preliminary Stat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2), 161-178. DOI : 10.2307/2092623 

  9. A. Barr & P. Serneel, (2008). Reciprocity in the Workplace. Experimental Economics, 12(1), 99-112. DOI : 10.1007/s10683-008-9202-8 

  10. A. H. Rosenstein. (2002).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Impact on Nurse Satisfaction and Retention.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2(6), 26-34. DOI : 10.1097/00000446-200206000-00040 

  11. G. J. Hong. (2018). Effects of Effort-reward Imbalance on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 and Health of Registered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J. Siegrist, D. Starke, T. Chandola, I. Godin, M. Marmot, L. Niedhammer & R. Peter. (2004). The Measurement of Effort-reward Imbalance at Work: European Comparison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8(8), 1483-1499. DOI : 10.1016/s0277-9536(03)00351-4 

  13. Y. H. Yom, H. S. Son, H. S. Lee & M. A. Kim.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iscomfort, Burnout, Depression, Social Supports and Emotional Labor of Clinic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2), 222-235. 

  14. H. S. An. (2017). Effects of Pediatric Nurses' Burnout on Job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ciprocity.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5. S. J. Lee & E. A. Kim. (2020).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 Focused on Emotional Labor, Role Conflict, and Reciproc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6), 467-477. DOI : 10.4400/JDC.2020.18.6.467 

  16. K. I. Park & E. A. Kim. (2019). The Effect of Nurse Work Environment and Reciprocity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8), 63-71. DOI : 10.22156/CS4SMB.2019.9.8..063 

  17. I. S. Kim. (2009).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4), 515-526. 

  18. S. H. Na & H. J. Park. (2019).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Mediation Effect of Burnou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3), 286-297. DOI : 10.4040/jkan.2019.49.3.286 

  19. S. M. Park, O. I. Park & H. Moon. (2013). The Effe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General Hospital Nurses. Health and Social Wellfare Review, 33(3), 540-564. DOI : 10.15709/hswr.2013.33.3.540 

  20. K. J. Oh & E. Y. Kim. (2018).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f General Hospital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317-327. DOI : 10.14400/JDC.2018.16.5.317 

  21. B. J. Na & E. J. Kim. (2016). A Study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stration, 22(3), 260-269. DOI : 10.11111/jkana.2016.22.3.260 

  22. S. B. Kwon, M. J. Park, H. M. Song & J. S. Moon. (2017).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of Nurses in Medium and Small sized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1(1), 55-66. DOI : 10.12811/kshsm.2017.11.1.055 

  23. J. A. Morris & D. C. Feldman.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DOI : 10.2307/259161 

  24. M. J. Kim. (1998).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oi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1(2), 129-141. 

  25. G. P. A. Yen-Patton. (2012). Nurse and Nursing Assistant Reciprocal Caring in Long Term Care: Outcomes of Absenteeism, Retention, Turnover and Quality of Care.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MA. 

  26. W. H. Mobley.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MA : Addison-Wesley. 

  27. S. J. Moon. (2010). Structural Model of Nurses' Intentions of Changing Workplaces.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8.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 : 10.1037/0022-3514.51.6.1173 

  29. H. J. Ha & E. A. Kim. (2020).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7), 389-397. DOI : 10.15207/JKCS.2020.11.7.389 

  30. S. H. Kim & M. A. Lee.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332-341. DOI : 10.11111/jkana.2014.20.3.332 

  31. B. Malinowski. (1926).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London: Kegan Paul, Trench, Trubner & Co. Ltd. 

  32. H. Y. Kim, Y. H. Han & O. K. Kim. (2018). Establishing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Nurses in a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5), 466-478. DOI : 10.14257/astl.2014.61.16 

  33. H. I. Ki, D. G. Lee & D. S. Kang. (2011). A Reciprocal Perspective on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Productivity Review, 25(2), 129-153. DOI : 10.15843/kpapr.25.2.201106.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