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New Graduated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312 - 319  

김지현 (건양대학교병원 간호부) ,  이미향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신규간호사의 인적자원의 유지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규간호사로 2016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목적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232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 Sceh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신규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업무량이 선도적 행위,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 이직 의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규간호사의 조직몰입, 상사의 지지, 동료의 지지와 이직 의도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규간호사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몰입과 업무량으로 나타났고 이직 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6.1%였다.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업무량이 적절할수록 이직 의도가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업무분석을 통해 적절한 업무 배정이 필요하며 병원의 정책 수립 및 추진 시 신규간호사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중재 전략과 선도적 행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ly graduated nurses. The basic data was utilized for developing a personnel resource maintenance program for newly graduated nurses. New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City D were surveyed from May 2016 to April 2018.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입사하여 재직 기간이 1년 미만인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선도적 행위,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 및 이직 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선도적 행위, 조직몰입, 사회적지지 및 이직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몰입이었고 그 다음으로 업무량(지나치게 많음기준)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조기 이직을 예방하고 인적자원 유지관리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이에 신규간호사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개인적 특성인 선도적 행위와 조직 환경적 특성인 조직몰입과 사회적 지지가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신규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간호사의 선도적 행위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이런 선도적 행위가 높은 간호사는 조직의 사회화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6]. 신규간호사의 선도적 행위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효과적으로 병원에 적응하여 독립된 간호사로서 이직하지 않고 오랫동안 근무하는 것이다. 신입직원의 선도적 행위는 조직몰입과 직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5,7], 조직에서 운영중인 오리엔테이션, 멘토 프로그램은 신규 직원의 선도적 행위를 촉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화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7].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선도적 행위,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 및 이직 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 신규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신규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선도적 행위,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 및 이직 의도차이를 파악한다. • 신규간호사의 선도적 행위, 조직몰입, 사회적지지 및 이직 의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신규간호사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9%으로 나타났다[1]. 신규간호사는 낮은 업무역량, 과중한 업무 등으로 인한 자신감 저하, 낯선 업무환경 부적응 등으로 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신규간호사가 낯선 병원 환경에서 새로운 동료, 상사들과 함께 익숙하지 않은 간호업무를 수행하면서 큰 부담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Business Report: Nurses placement status report of hospitals across the country. Hospital Nurses Association Report; 2017. pp.161. 

  2. J. H. Park, I. S. Cun.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9, No.2, pp.99-110, December, 2008. 

  3. D. M. Cable, C. K. Parsons. "Socailization tactics and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nel Psychology, Vol.54, pp.1-23, December, 2001. DOI:https://doi.org/10.1111/j.1744-6570.2001.tb00083.x 

  4. T. N. Bauer, S. G. Green. "Testing the combined effects of newcomer information seeking and manager behavior on soci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 No.1, pp.72-83, October, 1998.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83.1.72 

  5. H. S. Joo.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wcom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activity,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50, No.3, pp.111-127, October, 2018. DOI: http://doi.org/10.23840/agehrd.2018.50.3.111 

  6. S. J. Ashford, J. S. Black. "Proactivity during organizational entry : The role of desire for contro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2, pp.199-214, February, 1996.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81.2.199 

  7. S. P. Kim, T. Y. Kim. "Effect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actics and newcomers' proactivity on socialization outcome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Vol.12, No.1, pp.175-212, February, 2004. 

  8. Y. S. Yang, Y. H. Kang. "ICU new nurse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Health & Nursing, Vol.25, No.2, pp.47-58, December, 2013. 

  9. H. Y. Jeonung, S. Y. Kim.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invlovemen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2, No.5, pp.531-539, December, 2016.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5.531 

  10. S. Y. Lee, S. R. Suh.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4, pp.317-324, April,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4.317 

  11. R. D. Iverson. "An event history analysis of employee turnover: The case of hospital employee in australia",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9, No.4, pp.397-418, Winter, 1999. DOI://https://doi.org/10.1016/S1053-4822(99)00027-3 

  12. S. Y. Lee, E. J. Oh, K. M. Sung. "The experiences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9, No.2, pp.168-176, November, 2013. DOI: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2.168 

  13. J. H. Choi, S. O. Lee, S. S. Kim. "The effects of empathy and perceived preceptor's empathy on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graduate nurs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9, No.3, pp.313-327, March, 2019. DOI: http://doi.org/10.5392/JKCA.2019.19.03.313 

  14. K. M. Sin, J. O. Kwon, E. Y. Kim.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0, No.3, pp.292-301, June,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92 

  15. T. S. Bateman, J. M. Crant. "The proactive compon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a measure and correlat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4, No.2, pp.103-118, March, 1993. DOI: https://doi.org/10.1002/job.4030140202 

  16. S. E. Siebert, J. M. Grant, M. L. Kraimer.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4, No.3, pp.416, June, 1999.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84.3.416 

  17. J. J. Oh, J. M. Kim.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proactive behavior of new employees in large corporation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7, No.3, pp.83-116, September, 2015. DOI: https://doi.org/10.23840/agehrd.2015.47.3.83 

  18. R. T. Mowday, R. M. Steers, L. W. Porter.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Vol.14, No.2, pp.224-247, April, 1979. DOI: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19. H. K. Cheng.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p.23-32, 2006. 

  20.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June, 1988. DOI: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1. J. S. Shin, Y. B. Le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Vol.37, pp.214-269, April, 1999. 

  22. E. B. Ray, K. I. Miller. "Social support, home/work stress, and burnout: Who can help?",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 Science, Vol.30, No.3, pp.357-373, September, 1994. DOI: https://doi.org/10.1177/0021886394303007 

  23. C. Y. Youn, S. M. Lee. "Structural mod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married career women",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7, No.3, pp.43-72, December, 2002. 

  24. M. J. Kim, H. Y. Kim.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nurses' empowe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0, No.5, pp.558-566,December,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5.558 

  25. W. H. Mobley.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pp.212, Addison-Wesley. 1982. pp 10-30 

  26. T. E. Becker. "Foci and bases of commitment :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5, No.1, pp.232-244, March, 1992. 

  27. M. R. Kim.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3, No.3, pp.335-344, September, 2007. 

  28. Y. N. Kim, I. S. Jang.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ro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wome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0, No.5, pp.525-534, September,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5.525 

  29. S. S. Han, I. S. Sohn, N. E. Kim.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39, No.6, pp.878-887, December, 2009.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78 

  30. S. J. Lee, H. J. Woo. "Strutural relationships among job embeddednes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ion, Vol.21, No.1, pp.32-42, January, 2015.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