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물모델에서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의 수면유도 및 항불안 효과
Sleep-promoting and Anti-anxiety Effects of Shihogayonggolmoryo-tang in Mic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5 no.1, 2021년, pp.8 - 14  

임준식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  임강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  김태연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ihogayonggolmoryo-tang (ST) is a Korean medical herb cocktail which has been used to treat anxiety induced insomnia.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sleep-promoting and anti-anxiety effects of ST, and investigate its mechanism. ICR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the first examination : c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ST 추출물의 항불안효과와 수면유도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ST가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약리작용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ST의 항불안효과와 수면유도 효과 기전이 GABA 성 신경을 통해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GABA 수용체 길항제인 flumazenil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했다.
  • 본 연구에서 ST 투여로 인한 수면 유발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hiopental sodium으로 유도한 수면 시간과 수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ST 투여 시 입면 시간과 수면 시간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Zisapel N. Drugs for insomnia. Expert Opin Emerg Drugs. 2012;17:299-317. 

  2. Kim L, Choi YK, Suh KY.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Sleep Hygiene in Residents of Seoul.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7;36:712. 

  3. Zeitzer JM, Dijk DJ, Kronauer R, Brown E, Czeisler C. Sensitivity of the human circadian pacemaker to nocturnal light: melatonin phase resetting and suppression. J Physiol. 2000;526:695-702. 

  4. Yang CK.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Insomnia. J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es in Psychiatry. 4, 1998;p. 106. 

  5. Greenblatt DJ and Roth T. Zolpidem for insomnia. Expert Opin Pharmacother. 2012;13:879-93. 

  6. Besnard S, Masse F, Verdaguer M, Cappelin B, Meurice JC, and Gestreau C. Time- and dose-related effects of three 5-HT receptor ligands on the genioglossus activity in anesthetized and conscious rats. Sleep Breath. 2007;11:275-84. 

  7. Haefely W. Benzodiazepine interactions with GABA receptors. Neuroscience Letters. 1984;47;201-6. 

  8. Morin AK. Strategies for treating chronic insomnia. Am J Manag Care. 2006;12:S230-45. 

  9. Zammit G. Comparative tolerability of newer agents for insomnia. Drug Saf 2009;32:735-48. 

  10. Moon JJ, An GS, Kim JB, Park WS, Park JH, Kim DH et al. Precise Interpretation of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Yongin:Hanuimunhwasa. 2017:p. 239-40. 

  11. Kim SO. The Effect of Shiho Ka Yongol MoryoTang on the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the Serum of Rabbit. Kyunghee College of Pharmac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1978;6(1):17-22. 

  12. Kim HY, Lee TH. Effect of Sihogayonggolmoryeotang on SPS-induced PTSD in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19;27(2):121-36. 

  13. Song U, Kim SH. The Effects of Kakamsihokayongkolmoryeotang on the Hyperlipidemia. The Journals of the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1993;26:332-47. 

  14. Lee SJ. The operation of Shihogayonggolmoryo-tang on the nervous disease. The Journals of the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1976;13(1):86-8. 

  15. Seo SH, Yim HJ, Jung IC, Lee SR. The Clinical study on 1 case of Patient with Tremor by Bok-Jin. Institute of Oriental Medinine Daejeon Universit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2007;16(1):69-79. 

  16. Lee JH, Lee JS, Chung SH. A Clinical Report about Meralgia paresthtica Treated with Sihogayonggolmoryo-tang. The Journals of Oriental Rehab Med. 2002;12(3):157-67. 

  17. Lee BY, Lee HJ, Kim JW, Choi HY, Kim YJ, Cho SY, Park SU, Ko CN, Park JM. The Efficacy of Shihogayonggolmoryo-tang in Combating Excessive Sweating in Heart Disease Syndrome, Called 心病 in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6;37(4):601-8. 

  18. Choi WC, Park DM, Kang WC, Lee SR, Jung IC. Interim Report about The Effect of Sihogayonggolmoryeo-tang on the Anxiety of Hwa-byung.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4):133-52. 

  19. Lee YH. 5 Cases Report of Climacteric Symptoms with Shihogayonggolmoryo-tang.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13;26(1):121-34. 

  20. Kim KS, Kim WC, Kim KO. A Study about trends of using Shihogayong-golm-oryo-tang granule Shihogayonggolmoryo-tang, Herbal extracts, non-prescription medicine, prescription medicine.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2013;20(1):159-66. 

  21. Oh DR, Kim Y, Jo A, Im S, Kim CE, Jung MA, Shin J, Kang H, Choi EJ, Kim J, Choi C. Antidepressant-like and Hypnotic Effects of the Herbal Extract Combination of Stauntonia hexaphylla and Vaccinium bracteatum Fruit in Mic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20;34(2):88-96. 

  22. Kim HR, Kwon YK, Choi BK, Jung HJ, Baek DG. Effect of Mixture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and Amomum villosum Extracts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Model.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20;34(2):75-80. 

  23. Jeong HY, Kwon YJ, Park IJ, Kwon JT, Han BH, Lee SP. Effects of the Sanjoin on the Rat Brain.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997;4(1):54-9. 

  24. Hua R, Yu S, Liu M and Li H. A PCR-Based Method for RNA Probes and Applications in Neuroscience. Front. Neurosci. 2018;12:266. 

  25. Koprdova R, Osacka J, Mach M and Kiss A. Acute Impact of Selected Pyridoindole Derivatives on Fos Expression in Different Structures of the Rat Brain.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2018;38:171-80. 

  26. Shin YI, Kim SH. GuksiShanghanlun. Seoul:Jumin Publisher. 2006:133-6. 

  27. Lobo IA, Harris RA. GABAA receptors and alcohol. Pharmacol Biochem Behav. 2008;90(1):90-4. 

  28. Malenka RC, Nestler EJ, Hyman SE. "Chapter 6: Widely Projecting Systems: Monoamines, Acetylcholine, and Orexin". In Sydor A, Brown RY (eds.).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2nd ed. New York:McGraw-Hill Medical. 2009: 1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