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West Coast of Yellow S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4 no.1, 2021년, pp.46 - 52  

최동혁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윤병일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맹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이승환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이승종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were inversigated using 2,415 samples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in the Yellow Sea of Korea.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gonadosomatic index (GSI), maturity stage, egg diameter (mm), the relations fecundity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50% 성숙체장은 산란기간 중 체장 체급을 2 cm 단위로 구분하여 성숙개체의 비율로서 구하였으며, 산란기동안 암컷의 성숙비율을 구한 후 logistic curve를 통해 50%, 75%, 97.5%의 성숙체장은 추정하였다.
  • 대구 암컷의 성숙체장(TL)을 알아보기 위해 산란기로 추정되는 12-2월의 중숙 이상 개체를 당해연도에 산란에 참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장을 2 cm로 나누어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3년간의 성숙개체의 출현율을 조사하였다. 50% 성숙체장은 39.
  • 산란기를 추정하기 위한 생식소 숙도지수(gonadosomatic index, GSI)의 월 변화는 다음 식으로 구하였으며, 여기서 GW는 생식소 중량(습중량, g)이고, BW는 체중(습중량, g)이다.
  • 01 g까지 측정하였다. 생식소 발달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식소의 크기와 색, 난립의 크기 등을 기준으로 생식소 성숙단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성숙단계는 암컷의 경우 미숙(immature), 중숙(maturing), 완숙(mature), 방란중(spawning), 방란후(spent)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 생식소 발달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식소의 크기와 색, 난립의 크기 등을 기준으로 생식소 성숙단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성숙단계는 암컷의 경우 미숙(immature), 중숙(maturing), 완숙(mature), 방란중(spawning), 방란후(spent)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 1). 시료는 실험실에서 개체별로 전장(total length, TL)을 0.1 cm단위, 체중(body weight, BW)을 0.1 g 단위까지 측정하고 생식소 중량(gonad weight, GW)은 0.01 g까지 측정하였다. 생식소 발달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식소의 크기와 색, 난립의 크기 등을 기준으로 생식소 성숙단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이 연구에 사용된 대구는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서해 중부해역에서 근해자망어선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구입하였다(Fig.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genal TB. 1978. Methods for assessment of fish production in freshwater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U.K., 300. 

  2. Bakkala, RG, Westrheim S, Mishima S, Zhang C and Brown E. 1984. Distribution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North Pacific Ocean. INPFC Bull 42, 111-115. 

  3. Cha HK, Lee SI, Yoon SC, Kim YS, Chun YY, Chang DS and Yang JH. 2007.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tilesius in East Sea of Korea. Korean J Fish Tech 43, 320-328. 

  4. Choi BE and Gwak WS. 2011. Age determination and growth pattern of Pacific cod Gadus microcephalus (Tilesius, 1810) in Jinhae bay Korea. Korean J Ichthyol 23, 269-277. 

  5. Choi DH, Sohn MH, Kim MJ and Lee SJ. 2019. Feeding habit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West coast of Yellow Sea of Korea. Korean J Ichthyol 31, 77-82. https://doi.org/10.35399/ISK.31.2.2. 

  6. Cohen D, Inada T, Iwamoto T and Scialabba N. 1990.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cods, hakes, grenadiers and other gadiform fishes known to date. In: Gadiform fishes of the world (order Gadiformes). FAO Species Catalogue, 41-44. 

  7. Gwak WS and Nakayama. 2011.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Korean waters revealed by mtDNA and msDNA markers. Fish Sci 77, 945-952. https://doi.org/10.1007/s12562-011-0403-2. 

  8. Hattori T, Sakurai Y and Shimazaki K. 1992. Maturation and reproductive cycle of female Pacific cod in water adjacent to the southern coast of Hokkaido,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58, 2245-2252. 

  9. Jorgensen T. 1990. Long-term changes in age at sexual maturity of Northeast Arctic cod (Gadus Morhua L.). ICES J MAR SCI 46, 235-248. http://doi.org/10.1093/icesjms/46.3.235. 

  10. Kim HJ, Park JH, Kwon DH and Kim YH. 2020. Maturation and spawning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nicus near Jeju island,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3, 1-8. http://doi.org/10.5657/KFAS.2020.0001. 

  11. Kim HY, Kim SH, IM YJ, Hwang HJ and Hur SJ. 2013. Growth characteristic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West Sea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9, 261-269. https://doi.org/10.3796/KSFT.2012.49.3.261. 

  12. Kim MJ, An HS and Choi KH. 2010. Genetic characteristics of Pacific cod populations in Korea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s. Fish Sci 76, 595-603. http://doi.org/10.1007/s12562-010-0249-z. 

  13. Koh EH, Kwon DH, Nam KH, Kim YH and Jang CS. 2019.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Muraenesox cinereus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2, 173-179. https://doi.org/10.5657/KFAS.2019.0173. 

  14.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Fishery produc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kosis.kr on Sep 20,2020. 

  15. Lee CS, Hur YH, Lee JY, Kim WK, Hong SH, Hwang SJ and Choi SH. 2005. Maturity and spawning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East Sea. J Kor Fish Soc 38, 245-250. https://doi.org/10.5657/kfas.2005.38.4.245. 

  16. Lee JH., Kim JN, Park J, Park T and Nam KM. 2015.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Southeast Sea of Korea. Korean J Ichthyol 27, 142-148. 

  17. Lee KH, Cha HK, Kim YH, Lee JY and Jung SG. 2016. Comparis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cific cod Gadus microcephalus between the East and Yellow seas, Korea. Korean J Fish Aqut Sci 49, 499-508. https://doi.org/10.5657/KFAS.2016.0499. 

  18. Li Z, Shan X, Jin X and Dai F. 2011. Long-term variations in body length and age at maturity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Bleeker, 1877) in the Bohai Sea and the Yellow Sea, China. Fish Res 110, 67-74. https://doi.org/10.1016/j.fishres.2011.03.013. 

  19. Park CY and Gwak WS. 2009. Comparison of stomach content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Korean coastal waters. Korean J Ichthyol 21, 28-37. 

  20. Seo YI, Kim JI, Oh TY, Lee SK, Park JH, Kim HY and Cho ES. 2010.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Tilesiu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J Life Sci 20, 336-344. https://doi.org/10.5352/JLS.2010.20.3.336. 

  21. Taylor BM and Cruz E. 2017. Age-based and reproductive biology of the pacific longnose parrotfish Hipposcarus longiceps from Guam. Peer J 5, e4079. http://doi.org/10.7717/peerj.4079. 

  22. Westrheim SJ. 1996. On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British Columbia waters, and a comparison with Pacific cod elsewhere, and Atlantic cod G. morhua. Can Tech Rep Fish Aqua Sci 2092, 390. 

  23. Yoon SC, Park JH, Choi YM, Park JH and Lee DW. 2012.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f Jumunjin, Gangwondo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379-386. https://doi.org/10.5657/KFAS.2012.0379. 

  24. Zhang CI. 2010. Mairne fisheries resource ec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s, Busan, Korea, 153-1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