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 물질을 사용한 구리박막의 건식 식각에 대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첨가의 영향
Effect of Hexafluoroisopropanol Addition on Dry Etching of Cu Thin Films Using Organic Material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31 no.3, 2021년, pp.162 - 171  

박성용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임은택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차문환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지수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정지원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y etching of copper thin films is performed using high density plasma of ethylenediamine (EDA)/hexafluoroisopropanol (HFIP)/Ar gas mixture. The etch rates, etch selectivities and etch profiles of the copper thin films are improved by adding HFIP to EDA/Ar gas. As the EDA/HFIP concentration in E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EDA/Ar에 HFIP를 첨가하였을 때 식각 속도 및 식각 선택도의 향상은 미약하였지만 개선된 식각 프로파일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특히 75% EDA/HFIP 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식각 프로파일을 얻었다. 75% (EDA/HFIP)/Ar 농도에서 식각 변수들을 변화하여 식각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ICP 소스 파워와 dc-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할수록 식각 속도와 식각 선택도는 증가하였지만, 식각 프로파일은 개선되지 않았다.
  • HFIP 첨가의 효과를 좀 더 확인하기 위하여, EDA/ HFIP/Ar 혼합가스에서 EDA와 HFIP의 비율을 3:2 비율의 고정하여 구리 박막을 식각하였다. Fig.
  • 식각 가스들의 농도와 식각 변수들을 변화하여 식각 속도, 식각 선택도, 그리고 식각 프로파일들이 조사되었다.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OES; Ocean Optics Maya 2000 Pro)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내의 활성 성분들과 양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rmo Scientific K-alpha)를 이용하여 식각 후에 구리 표면에 생성되는 물질들을 조사하여 구리 박막의 식각메커니즘이 조사되었다.
  • SiO2 하드 마스크로 패턴된 구리 박막의 식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가스 농도에 따른 식각 속도, 식각선택도, 그리고 식각 프로파일들이 EDA/Ar, HFIP/Ar, EDA/HFIP/Ar 가스들에 대하여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세 가지 주요 공정 변수인 ICP 소스 파워, dc-바이어스 전압, 공정 압력에 따른 식각 특성을 확인하였다.
  • 다음으로 표준 식각 조건으로부터 각각 ICP 소스 파워, dc-바이어스 전압, 공정 압력의 주요 공정 변수를 변화 시켜 구리 박막의 식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4:1 비율의 EDA/HFIP 혼합가스에서 EDA/HFIP의 농도는 75%로 고정하였고 표준 식각 조건은 Fig.
  • 가스들에 대하여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세 가지 주요 공정 변수인 ICP 소스 파워, dc-바이어스 전압, 공정 압력에 따른 식각 특성을 확인하였다. 식각 속도는 surface profilometer (Tencor P-1)와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U 8010)를 이용하여 측정되었고 식각 프로파일은 FESEM 을 이용하여 관찰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EDA에 새로운 첨가제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exafluoroisopropanol, HFIP)을 사용하여 구리 박막에 대하여 유도결합 플라즈마 반응성 이온 식각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reactive ion etching, ICPRIE)을 적용하여 식각 특성이 연구되었다. 식각 가스들의 농도와 식각 변수들을 변화하여 식각 속도, 식각 선택도, 그리고 식각 프로파일들이 조사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ICP-RIE 식각 장비를 이용하여 구리 박막이 식각되었고 EDA/HFIP/Ar 가스 농도를 변화하여 SiO2 하드 마스크로 패턴된 구리 박막의 식각 특성이 조사되었다. EDA/Ar에 HFIP를 첨가하였을 때 식각 속도 및 식각 선택도의 향상은 미약하였지만 개선된 식각 프로파일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특히 75% EDA/HFIP 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식각 프로파일을 얻었다.
  • 또한 세 가지 주요 공정 변수인 ICP 소스 파워, dc-바이어스 전압, 공정 압력에 따른 식각 특성을 확인하였다. 식각 속도는 surface profilometer (Tencor P-1)와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U 8010)를 이용하여 측정되었고 식각 프로파일은 FESEM 을 이용하여 관찰되었다. 챔버 내부의 플라즈마 상태를 OES로 측정하여 활성 물질들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식각된 구리박막들의 표면을 XPS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구리 박막의 식각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 2(a)는 EDA 농도에 따른 구리 박막과 SiO2 마스크의 식각 속도와 SiO2 마스크에 대한 구리 박막의 식각 선택도를 나타낸 것이다. 식각은 500W의 ICP 소스파워, 300V의 dc-바이어스 전압, 그리고 0.67Pa의 공정압력을 포함하는 표준 식각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구리 박막과 SiO2 마스크의 식각 속도는 ED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순수 아르곤에서 128.
  • 식각 속도는 surface profilometer (Tencor P-1)와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U 8010)를 이용하여 측정되었고 식각 프로파일은 FESEM 을 이용하여 관찰되었다. 챔버 내부의 플라즈마 상태를 OES로 측정하여 활성 물질들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식각된 구리박막들의 표면을 XPS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구리 박막의 식각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구리 박막은 티타늄 박막이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 위에 DC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 증착되었다. 그 위에 SiO2 하드 마스크가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을 이용하여 증착되었다.
  • 그 위에 SiO2 하드 마스크가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을 이용하여 증착되었다. 구리, 티타늄, SiO2 박막의 두께는 각각 150nm, 30nm, 300nm이다. 시료는 photolithography을 이용하여 패턴 되었으며 패턴은 150nm의 라인과 300nm의 스페이스로 이루어져 있는 피치의 크기가 450nm인 라인 array로 형성되어 있다.
  • 구리, 티타늄, SiO2 박막의 두께는 각각 150nm, 30nm, 300nm이다. 시료는 photolithography을 이용하여 패턴 되었으며 패턴은 150nm의 라인과 300nm의 스페이스로 이루어져 있는 피치의 크기가 450nm인 라인 array로 형성되어 있다. SiO2 하드 마스크는 C2F6/Ar 가스를 이용하여 식각되었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 SiO2와 구리 박막은 Fig. 1의 ICPRIE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각되었다. ICP 소스는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 Rosenberg, D. C. Edelstein, C.-K. Hu and K. P. Rodbell, Annu. Rev. Mater. Sci., 30, 229 (2000). 

  2. S. P. Murarka and S. W. Hymes, Crit. Rev. Solid State Mater. Sci., 20, 87 (1995). 

  3. F. Chen and D. Gardner, IEEE Electron Device Lett., 19, 508 (1998). 

  4. S. M. Rossnagel and T. S. Kuan, J. Vac. Sci. Technol., B: Nanotechnol. Microelectron.: Mater., Process., Meas., Phenom., 22, 240 (2004). 

  5. W. Zhang, S. H. Brongersma, N. Heylen, G. Beyer, W. Vandervorst and K. Maex, J. Electrochem. Soc., 152, C832 (2005). 

  6. M. Traving, G. Schindler and M. Engelhardt, J. Appl. Phys., 100, 094325 (2006). 

  7. S. H. Lee and Y. Kuo, J. Electrochem. Soc., 148, G524 (2001). 

  8. S. H. Lee and Y. Kuo, Thin Solid Films, 457, 326 (2004). 

  9. S. K. Lee, S. S. Chun, C. Y. Hwang and W. J. Lee, Jpn. J. Appl. Phys., 36, 50 (1997). 

  10. F. Wu, G. Levitin and D. W. Hess, J. Vac. Sci. Technol., B: Nanotechnol. Microelectron.: Mater., Process., Meas., Phenom., 29, 011013 (2011). 

  11. S. W. Kang, H. U. Kim and S. W. Rhee, J. Vac. Sci. Technol., B: Nanotechnol. Microelectron.: Mater., Process., Meas., Phenom., 17, 154 (1999). 

  12. E. T. Lim, J. S. Ryu and C. W. Chung, Thin Solid Films, 665, 51 (2018). 

  13. E. T. Lim, J. S. Ryu, J. S. Choi and C. W. Chung, Vacuum, 167, 145 (2019). 

  14. J. S. Ryu, E. T. Lim, J. S. Choi and C. W. Chung, Thin Solid Films, 672, 55 (2019). 

  15. M. H. Cha, E. T. Lim, S. Y. Park, J. S. Lee and C. W. Chung, Vacuum, 181, 109421 (2020). 

  16. K. J. Clay, S. P. Speakman, G. A. J. Amaratunga and S. R. P. Silva, J. Appl. Phys., 79, 7227 (1996). 

  17. S. Zimmermann, N. Ahner, F. Blaschta, M. Schaller, H. Rulke, S. E. Schulz and T. Gessner, Microelectron. Eng., 87, 337 (2010). 

  18. S. Poulston, P. M. Parlett, P. Stone and M. Bowker, Surf. Interface Anal., 24, 811 (1996). 

  19. A. Cano, Y. Avila, M. Avila and E. Reguera, J. Solid State Chem., 276, 339 (2019). 

  20. E. Cano, J. M. Bastidas, J. L. Polo and N. Mora, J. Electrochem. Soc., 148, B431 (2001). 

  21. G. Beamson and D. Briggs, High Resolution XPS of Organic Polymers : The Scienta ESCA300 Database, p.182,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2). 

  22. M. Furukawa, H. Fujisawa, S. Katano, H. Ogasawara, Y. Kim, T. Komeda, A. Nilsson and M. Kawai, Surf. Sci., 532, 261 (2003). 

  23. G. C. Allen, F. Sorbello, C. Altavilla, A. Castorina and E. Ciliberto, Thin Solid Films, 483, 306 (2005). 

  24. H. W. Kim and N. E. Lee, J. Vac. Sci. Technol., B: Nanotechnol. Microelectron.: Mater., Process., Meas., Phenom., 28, 71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