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안구건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by dry eyes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1, 2021년, pp.170 - 174  

정은자 (호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유미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안구건강에 대해 조사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들이 안구건조증을 진단받은 경우는 18.4%이며, 주관적 안구건조감 경험은 63.2%이다. NEI-VFQ 평균은 82.3점이었으며, 시각과 관련된 사회적 기능이 평균 94.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각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안경 착용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13.6%로 나타났다. 앞으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기간 및 안구건조 중증도 등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to quality of life by dry eyes experience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version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ing questionnaire (NEI-VFQ)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the study, 18.4% of the participant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연구는 대학생들의 안구 건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들의 NEI-VFQ-25평균점수는82.
  • 이것은간호학과학생중85%가졸업후임상근 무를희망하고있고학생때부터노출되어눈의피로와 안구건조가병원환경으로인해더욱심각해질위험이 크므로안구건조에대해미리자각하여관리하는것이 필요하다.이에, 본연구는간호학과재학생을대상으로주관적인안구관련건강과시각관련삶의질에미치 는영향을파악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ira.or.kr [Internet].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20 Feb 18.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IlnsInfo.do 

  2. Park J. S, Choi M. J, Ma J. E, Moon J. H, Moon H. J. (2014).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5(1), 12-23.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12 

  3. Hira.or.kr [Internet].The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2019 May 14.Available from: http://www.optic.or.kr/Cate_03/eOpticnews.asp?nmodeview&OnsSeq4785&search_type3 

  4. Lee SY,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Eye Syndrome and Vision-Specific Quality of Life[master's thesis].[Seoul]: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2016. 

  5. Cho MK, Ga JE, Kim DI, Kim MJ, Kim SY, Kim,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in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6;13(2):110-118. DOI: https://doi.org/10.16952/pns.2016.13.2.110 

  6. Kim JH, Song JS, Hyon JY, et al. A survey of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in Korea: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4;55:20-31. DOI: https://doi.org/10.3341/jkos.2014.55.1.20 

  7. Park HJ, Yi K.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computer using time and dry eye.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2;43(3):449-454. 

  8. Kim SH, Kim HJ.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Near Work and Eye Fatigu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16(10):531-536. DOI: https://doi.org/10.14400/JDC.2018.16.10.531 

  9. Yun CM, Kang SY, Kim HM, Song JS.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Opthalmol Soc, 2012;53(4):505-9. DOI: https://doi.org/10.3341/jkos.2012.53.4.505 

  10. Her S, Kim KH. Dry eye syndrome and ocular fatigue according to the status of contact lens wearing and management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4;25(4):259-69.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4.259 

  11. Kwon M, Kim SL.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in workplace in Korea.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0;19(2):159-69. 

  12. Carol M. M, Paul P. L, Jennifer P., Peter G., Sandra B, Ron D. H(1998).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NEI-VFQ). Archives of ophthalmol, 1998;116:1496-1504. 

  13. Heo JW, Yoon HS, Sin JP, Moon SW, Chin HS, Kwak HW.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25.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0;51(10):1354-1367. DOI: https://doi.org/10.3341/jkos.2010.51.10.1354 

  14. Swamy BN, Chia EM, Wang JJ, Rochtchina E, Mitchell P, Correlaton between vi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ores. Acta Ophthalmologica, 2009;87:335-339. DOI: https://doi.org/10.1111/j.1755-3768.2008.01203.x 

  15. Kim DH, Kim JS, Mun JH. The status of soft contact lens wear in colleg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4;9(2):233-9. 

  16. Lee JJ, Sung JY, Lee SB. Prevalence of Dry Eye Syndrome and Association with Life Behavior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7;58(4):387-394. DOI: 10.3341/jkos.2017.58.4.387 

  17. Kang SA, Kim JH. Evaluation of Vision-Specific Quality of Life between Spectaclesand Contact Lens Wearer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7;12(3):111-115. 

  18. Lee JH, Lee JM, Park KH, Jwa WB, Hong SJ, Cho WH, et al. Impact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Treatment on Qualityof Life in Myop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3;44(11):116-120. 

  19. Yoon GJ, Kim DB, Yang PJ, Kim K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Glaucoma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3;44(2):472-4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