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도박문제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s of Problem Gambling 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School Adolescents and Out-of-School Adolesc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1, 2021년, pp.465 - 474  

김지혜 (남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 도박문제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 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2018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3개월 이내에 돈내기 게임을 경험한 학교청소년 4,982명과 학교밖 청소년 518명의 실태조사 자료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박문제수준과 지인이나 업체에서 돈을 빌린 경험, 학업성적 저하경험, 자살생각이나 자살시도 모두 학교 청소년에 비해 학교밖 청소년이 더 심각하였다. 둘째, 돈내기 게임 때문에 업체에서 돈을 빌린 경험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도박문제수준과 돈내기 게임 때문에 친구나 선후배에게 돈을 빌린 경험, 학업 성적 저하 경험은 학교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토대로 도박으로 인한 청소년의 자살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roblem gambling 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school adolescents and out-of-school adolescent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8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and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3)

  1. S. M. Kwon. (2020. 8. 2). Yonhapnews. https://www.yna.co.kr/view/AKR20200709120700501?input1195m 

  2. Korea Center on Gambling Problems. (2018). 2018 Research Report on Youth Gambling Problems. https://www.kcgp.or.kr/pcMain.do 

  3. Supreme Prosecutors' Office(2019). 2019 Crime Analysis. https://www.spo.go.kr/site/spo/crimeAnalysis.do 

  4. M. Gori., R. Potente., A. Pitino. M. Scalese., L. Bastiani & S. Molinaro. (2015). Relationship between gambling severity and attitudes in adolescents: findings from a poplation-based study. Journal of Gambling Studies, 31, 717-740. DOI 10.1007/s10899-014-9481-2 

  5. H. L. Chang., J. K. Lee & R. H. Lee. (2018). The Influenc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etting Games on Problem Gambling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0), 558-567. 

  6. R. H. Lee., H. L. Chang & J. K. Lee.(2018). The Influences of Winning Money and Gambling Environments on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9), 284-293. 

  7. J. F. Moghaddam., G. Yoon., D. L. Dickerson, S. W. Kim & J. Westermeyer. (2015).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s in five groups with different severities of gambling: finding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al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 24, 292-298. DOI: 10.1111/ajad.12197 

  8. G. Livazovic & K. Bojcic. (2019). Problem gambling in adolescents: what are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financial cosequences?. BMC Psychiatry, 19, 308. https://doi.org/10.1186/s12888-019-2293-2 

  9. S. Ellenbogen., J. Derevensky & R. Gupta. (2007). Gender differences among adolescents with gambling related problem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3, 133-143. 

  10. F. V. Rossen., T. Clark., S. J. Denny., T. M. Fleming., R. P. John., E. Robinson & M. F. G. Lucassen. (2016). Unhealthy gambling amongst New Zeal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 exploration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4, 95-110. DOI 10.1007/s11469-015-9562-1 

  11. K. C. Winters., R. D. Stinchfield., A. Botzet & W. S. Slutske (2005). Pathways of youth gambling severity.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9(1), 104-107. 

  12. N. A. Dowling., S. S. Merkoursis., C. J. Greenwood., E. Oldenhof., J. W. Toumbourou & G. J. Youssef. (2017). Early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problem gaml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Clinic Psychology Review, http://doi.org/10.1016/j.cpr.2016.10.008. 

  13. J. D. Edgerton., T. S. Melnyk & L. W. Roberts.(2015). Problem gambling and the youth-to-adulthood transition: assessing problem gambling severity trajectories in a sample of young adult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31, 1463-1485. DOI : 10.1007/s10899-014-9501-2 

  14. S. Raisamo., J. Halme., A. Murto & T. Lintonen. (2013). Gambling-related harms among adolescents: a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3, 151-159. DOI 10.1007/s10899-012-9298-9 

  15. K. Splevins., S. Mireskandari., K. Clayton & A. Blaszczynski. (2010). Prevalence of adolescent problem gambling, related harms and help-seeking behaviours among an Australian population.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6(2), 189-204. 

  16. E. E. Fortune., J. MacKillop., J. D. Miller., W. K. Capbell., A. D. Clifton & A. S. Goodie. (2013). Social density of gambling and its association with gambling problems: an initial investigation.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9, 329-342. 

  17. R. Gupta & J. Derevensky. (2000). Adolescents with gambling problems: from research to treatment.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6, 315-342. 

  18. I. J. Chung., J. Y. Park & E. Y. Kim. (2010). Factors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School Youth and Out-of-School Youth. Mental Health & Social Work, 34, 222-251. 

  19. Y. S. Kwon., H. J. Kim., S. R. Kim & M. H . Hyun. (2014).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Gambling Behavior and Suicidal Ideation in Gamblers :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Pressure in Debt related to Gambl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s Emotion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2), 603-618. 

  20. H. K. Kim & S. H. Kim. (2019). The effect of adolescents' subjective self-awareness and sleep states on suicidal ideation. Studies on Korean Youth, 30(2), 33-57. DOI : 10.14816/sky.2019.30.2.33 

  21. H. S. Kim. (2002).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amily Dynamic Environment and Suicidal attempt among Korean Adolescents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2), 231-242. 

  22. J. Y. Kim., J. B. Kim & E. J. Jang. (2020). Effect of Child Abuse on Binge Drinking and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7(5), 119-145. DOI : 10.21509/KJYS.2020.05.27.5.119 

  23. J. Y. Kim., S. Y. Chung & S. C. Choi. (2017). A Study of Status Analysis and Improvement Alternatives of Current Juvenile Protection Policie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36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