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적인 10~20 전극시스템의 실용적인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Practical Method for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3 no.1, 2021년, pp.60 - 67  

김성희 (대전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이옥경 (대전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김대진 (경복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파검사는 뇌전증의 진단과 뇌 기능을 검사하는 것으로 이용된다. 임상병리사는 뇌파검뇌파 시행할 때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따라 정확하게 전극을 부착하고 인공산물 없이 의사들이 정확한 판독을 할 수 있게 뇌파를 기록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러한 뇌파검사를 시행하는 임상병리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실습시간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하게 되는데, 뇌파검사의 경우 정확한 전극 부착위치를 찾는 것이 학생들의 애로사항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부착위치를 쉽고 신속하게 찾아 학생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위치밴드를 제작하여 교과서에 기재된 줄자법과 전극 부착위치 찾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피검자의 자세(앉은 자세 vs 누운 자세)에 따라 밴드법은 (196.7±61.8초 vs 200.2±49.3초), 줄자법은 (1281.0±457.4초 vs 1417.9±482.3초)로 앉은 자세일 때는 1084.3초(18.1분), 누운 자세일때는 1217.7초(20.3분)의 차이를 보여 줄자법보다 밴드법의 사용이 신속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극 부착위치를 찾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과정 내의 뇌파 검사실습의 경험 유무와 피검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도 밴드법은 줄자법보다 시간적인 차이가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위치밴드를 사용한 줄자법을 사용하게 되면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뇌파검사 실습시 애로사항이었던 전극 부착위치 찾는법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임상에서 신규 임상병리사들에게 교육하는데 적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의 줄자법과 마찬가지로 전극 부착위치에 대한 정확성을 판정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ctroencephalography (EEG) is used for the diagnosis of epilepsy and testing the brain function. Clinical technologists are responsible for recording EEG without artifacts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 Training on these techniques requires practical education. In th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애로사항을 개선시키고자 뇌파검사 실습시 학생들의 전극 부착위치를 찾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위치밴드를 제작하여 밴드법을 통해 교과서에 기재된 줄자 법과 실용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Table 2) 줄자법이 앉은 자세에서 108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부합하는 전극 부착위치를 찾는 방법을 새롭게 고안하고 방법론을 작성하여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부착 위치를 쉽게 찾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Rojas GM, Fuentes JA, Galvez M. Mobile device applications for the visualization of functional connectivity networks and EEG electrodes: iBraiN and iBraiN EEG. Can J Neurol Sci. 2016;10:1-6. https://doi.org/10.3389/fninf.2016.00040 

  2. Lenartowicz A, Loo SK. Use of EEG to diagnose ADHD. Curr Psychiatry Rep. 2014;16:498. http://doi.org/10.1007/s11920-014-0498-0 

  3. Yoon JS, Song WH, Choi HW. A characteristic EEG pattern of angelman syndrome. Korean J Clin Lab Sci. 2010;42:97-102. 

  4. Horvath A, Szucs A, Csukly G, Sakovic A, Stefanics G, Kamondi A. EEG and ERP biomarkers of alzheimer's disease: a critical review. Front Biosci(Landmark Ed). 2018;1:183-220. http://doi.org/10.2741/4587 

  5. Gillinder L, Warren N, Hartel G, Dionisio S, O'gorman C. EEG findings in NMDA encephalitis - A systematic review. Seizure. 2019;65:20-24. http://doi.org/10.1016/j.seizure.2018.12.015 

  6. Jasper HH. The ten 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58;10:371-375. 

  7. American electroencephalographic society guidelines for standard electrode position nomenclature. J Clin Neurophysiol. 1991;8:200-2. 

  8. Nuwer MR. 10-10 electrode system for EEG recordeing. Clin Neurophysiol. 2018;129:1103. http://doi.org/10.1016/j.clinph.2018.01.065 

  9. Nuwer MR, Comi G, Emerson R, Fuglsang-Frederiksen A, Guerit J, Hinrichs H, et al. IFCN standards for digital recording of clinical EEG.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8;106:259-61. http://doi.org/10.1016/S0013-4694(97)00106-5 

  10. Seeck M, Koessler L, Bast T, Leijten F, Michel C, Baumgartner C, et al. The standardized EEG electrode array of the IFCN. Clin Neurophysiol. 2017;128:2070-2077. http://doi.org/10.1016/j.clinph.2017.06.254 

  11. Kang JH, Yoon JS, et al. Clinical neurophysiology. 1st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2017. p59-70 

  12. Lee CH, Kim DJ, Choi JS, Lee JW, Lee MW, Cho JW, et al. An estimation of the efficiency and satisfaction for EEG practice using the Tranining 10-20 electrode system: a questionnaire survey. Korean J Clin Lab Sci. 2017;49:300-307. https://doi.org/10.15324/kjcls.2017.49.3.300 

  13. Kim DS, Ko TS, Ra YS, Choi CG. Postoperative electroencephalogram for follow up of pediatric Moyamoya disease. J Korean Med Sci. 2006;21:495-9. http://doi.org/10.3346/jkms.2006.21.3.495 

  14. Whang SC, Park EB, Song JO. Revis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model curriculum for the future use. Korean J Med Technol. 1987;19:7-42 

  15. Shin HY, Chung KM. Effects of behavioral parent training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mparison of theory-based training and practice-based training. Kor J Psychol Gen. 2014;33:221-242. http://doi.org/10.15842/kjcp.2014.33.2.001 

  16. Yang BS, Choi SM, Shim MJ, Kim CH, Bae HJ, Yook KD, et al. Study o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of medical technologists. Korean J Clin Lab Sci. 2018;50:320-330. https://doi.org/10.15324/kjcls.2018.50.3.320 

  17. Kang JY. Simulated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the ontact age: a mixed methods case stud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0;20:937-957.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18.937 

  18. Lim SJ, Jun JK, Youn YA, Moon CJ, Kim SJ, Lee JY, et al. Follow-up of full-term neonatal seizures: Prognostic factors forneuro developmental sequelae. Neonatal Med. 2013;20:97-105. https://doi.org/10.5385/nm.2013.20.1.97 

  19. Kim MJ, Nam SO. Change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after antiepileptic drug treatment in childhood epilepsy. Clin Exp Pediatr. 2010;53:560-564. https://doi.org/10.3345/kjp.2010.53.4.56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