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4차 산업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4th Industry on Local Econom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375 - 389  

주미진 (중앙대학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는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책들이 수립되고 있으나 실제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의 집적수준의 변화가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공간통계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차 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의 생산성 측면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지역의 소득에 대해서는 영향을 준다는 근거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4차 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4차 산업 유형별로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으며, 지역경제 영향을 주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은 제조업과 금융 및 보험업의 집적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years have seen a rapid boom of the 4th industry and relevant policies in region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4th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by using a spatial statistic...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6)

  1. 박승빈, 4차 산업혁명 주요 테마분석-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통계청 연구보고서, 2017. 

  2. 오호영, "제 4 차 산업혁명과 한국경제의 일자리 충격. 한국경제포럼," 제11권, 제2호, pp.93-115, 2018. 

  3. M. Purdy and P. Daugherty, "Why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future of growth," Remarks at AI Now: The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in the Near Term, pp.1-72, 2016. 

  4. A. McKinsey, Future that Works: Automation, Employment and Productivity, Global Institute, 2017. 

  5. 산업연구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 지역혁신 전략, 2019. 

  6. 김경희, 한수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지자체별 산업 경쟁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8권, 제4호, pp.117-131, 2017. 

  7.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nguin Books, 2017. 

  8. 이민화, 김애선,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모델, AI+12 Tech," 정보와 통신, 제34권, 제8호, pp.13-8, 2017. 

  9. 배영임, 신혜리, 경기도 4 차 산업혁명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7. 

  10. 김희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 동력과 포용적 성장," 한국경제포럼, 제11권, 제2호, pp.59-92, 2018. 

  11. 주재욱, 이지연, 4차 산업혁명과 서울시 산업정책, 서울연구원, 2018. 

  12. 장철순, 문정호, 류승환, 장은교, 이승옥, 정우성, 조성철, 유현아, 4차 산업혁명시대의 新산업입지정책연구, 국토연구원, 2017, 

  13. 현대경제연구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촉진자와 수용, 2017. 

  14. 김형만, 강홍렬, 김창환, 김영생, 한애리, 김호진,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역인적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5. 김은영, "4차 산업혁명시대 지역의 신산업육성을 위한 지식산업센터 건립에 관한 연구: 포항지역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2권, 제3호, pp.461-480, 2018. 

  16. 강호제, 류승한, 서연미, 표한형,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기업을 위한 입지정책방안, 국토연구원, 2019. 

  17. 박성호, 김진열, 정문기, "창조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행정연구, 제26권, 제2호, pp.173-206, 2012. 

  18. 배수현,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산업 육성 방향의 전환,"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7-54, 2017. 

  19. 산업연구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 지역혁신 전략, 2019. 

  20. 산업연구원, (특집) 4차 산업혁명과 지역산업 육성방향, 2017. 

  21. 한표환, "첨단산업의 집적과 지역경제발전," 국토계획, 제25권, 제3호, pp.55-73, 1990. 

  22. 이번송, 장수명, "제조업체의 도시별 생산성 차이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제49권, 제3호, pp.165-188, 2001. 

  23. 김계숙, 민인식, "직접경제가 지역-산업 고용성장에 미친 영향: System GMM 추정방법의 활용," 국토계획, 제45권, 제2호, pp.227-246, 2010. 

  24. 이종하, 박성훈, "산업집적 외부성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제12권, 제2호, pp.147-170, 2010. 

  25. 박성호, 김진열, 정문기, "창조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행정연구, 제26권, 제2호, pp.173-206, 2012. 

  26. 문동진,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경기도 시. 군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제33권, 제4호, pp.79-118, 2019. 

  27. 신학철, 우명제,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입지특성이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2권, 제2호, pp.91-117, 2020. 

  28. 장철순, 문정호, 류승환, 장은교, 이승옥, 정우성, 조성철, 유현아, 4차 산업혁명시대의 新산업입지정책연구, 국토연구원, 2017. 

  29. 사호석,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25-146, 2020. 

  30. 오병기, "우리나라 지역별 4 차 산업혁명 대응지수 격차에 관한 분석과 거시정책적 시사점,"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1호, pp.275-292, 2018. 

  31. 김은경, 문영민,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 경기개발연구원, 2016. 

  32. 김동수, 조정환,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산업연관분석," 경제발전연구, 제26권, pp.1-26, 2020. 

  33. 정의철, 이번송, 조찬호, "우리나라 제조업 집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경제연구, 제11권, 제1호, pp.73-110, 2005. 

  34. 박종구, 고태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재정분석과 신용평가 결과의 비교: 지역경제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제7권, 제2호, pp.143-165, 2002. 

  35. 조연상, "지방재정과 지역균형발전; 지역경제와 발전의 측정지표," 지방재정, 제4권, pp.37-51, 2007. 

  36. 이연호, 김광민, "인구변화가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충북의 경우,"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4호, pp.1493-1513, 2015. 

  37. 이남철, "한국의 인적자본 스톡 (1963-2004)," 국제지역연구, 제10권, 제3호, pp.154-175, 2006. 

  38. 김의준, 이성수, "서울 IT 산업의 공간적 집적경제 효과 추정," 재정논집, 제21권, 제1호, pp.149-165, 2006 

  39. P. A. P. Moran, "Notes on continuous stochastic phenomena," Biometrika, Vol.37, pp.17-23, 1950. 

  40. 이희연, 노승철, 고급통계분석론, 서울: 법문사, 2012. 

  41. 이창효, "공간계량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읍면동의 산업별 집적의 영향요인 분석," GRI 연구논총, 제18권, 제1호, pp.1-33, 2016. 

  42. L. Anselin, "Lagrange multiplier test diagnostics for spatial dependence and spatial heterogeneity," Geographical analysis, Vol.20, No.1, pp.1-17, 1988. 

  43. 최열, 이재송, 김성,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용도지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8권, 제4호, pp.5-17, 2018. 

  44. 양준모, 최기산, 이장연, 조인숙, "지역경제발전과 금융시스템의 역할", 지역발전연구, 제23권, 제1호, pp.31-58, 2014. 

  45. 권오혁,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산업생태계 조성방안," 국토, pp.14-21, 2013. 

  46. 김방룡, 홍재표, "우리나라 지식서비스 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7권, 제2호, pp.635-657, 201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