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순간평가(EMA) 일기법을 활용한 비자살적 자해경험 분석
Exploration of Non-suicidal Self-injury based on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EM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720 - 729  

우정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권호인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태순간평가(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일기법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경험자의 개인 내 변화과정을 반복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9세 이상 만 29세 이하의 성인 17명으로, 휴대폰 문자로 전송된 링크에 접속하여 2주간 하루에 한 번씩 그날의 정서, 대인관계갈등, 자해사고 및 행동에 대한 전자일기를 기록하였다. 총 238건의 엔트리를 활용하여 비자살적 자해의 맥락요인을 살펴보고, 정서와 대인관계갈등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 수준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 날의 부정정서는 개인 내 수준에서 자해행동과 관련성이 유의하였고, 긍정정서는 개인 간 수준에서 자해행동과 관련성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긍정정서가 낮은 개인이 높은 개인에 비해 자해행동 위험성이 높고, 한 개인 내에서 그 날 부정정서가 증가하는 것이 그 날의 자해행동 위험성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비자살적 자해경험자의 정서조절 개입에 있어 그 날의 부정정서 관리와 전반적 긍정정서 강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단기 종단적 방법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요인을 탐색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repeated the process of non-suicidal self-injury individuals change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EMA) daily diary. The study subjects of were 17 adults aged 19 to 29, accessed a link sent by text message on a cell phone and re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된 기초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생태순간평가를 활용해서 일상생활에 서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위험요인을 연구한 바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복적인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일상생활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 예방 및 개입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경험 자의 비자살적 자해행동)과 관련된 맥락요인, 대인관계, 정서, 동기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생태 순간평가 일기법을 활용하여 2주간 반복 측정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 Bresin and K. H. Gordon, "Endogenous opioids and nonsuicidal self-injury: A mechanism of affect regulation,"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Vol.37, No.3, pp.374-383, 2013. 

  2. M. K. Nock, M. J. Prinstein, and S. K. Sterba, "Revealing the form and function of self-injurious thoughts and behaviors: A real-time ecological assessment study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8, No.3, pp.816-827, 2009.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5. 

  4. M. K. Nock(Ed), Understanding nonsuicidal self-injury: Origins, assessment, and treat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9. 

  5. J. Whitlock, J. Muehlenkamp, A. Purington, J. Eckenrode, P. Barreira, G. Baral Abrams, and K. Knox, "Nonsuicidal Self-injury in a College Population: General Trends and Sex Difference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9, No.8, pp.691-698, 2011. 

  6. E. D. Klonsky and J. J. Muehlenkamp, "Self-injury: A research review for the practition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3, No.11, pp.1045-1056, 2007. 

  7. 권혁진, 권석만, "한국판 자해기능 평가지(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제3권, 제1호, pp.187-205, 2017. 

  8. A. R. Favazza, Bodies under siege: Self mutilation and body modification in culture and psychiatry (2nd ed.), Baltimor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9. 한겨레, "'코로나 블루' 앓는 청년들...2030 자해.우울증 확 늘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61983.html, 2020.09.14. 

  10. J. J. Muehlenkamp, Distinguishing between suicidal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M. K. Nock (Ed.), The Oxford handbook of suicide and self-injur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1. N. L. Heath, S. Ross, J. R. Toste, A. Charlebois, and T. Nedecheva, "Retrospective analysis of social factors and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young adults,"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Revue Canadienne Des Sciences Du Comportement, Vol.41, No.3, pp.180-186, 2009. 

  12. K. Rodham, J. Gavin, S. Lewis, P. Bandalli, and J. St. Denis, "The NSSI paradox: discussing and displaying NSSI in an online environment," Deviant behavior, Vol.37, No.10, pp.1110-1117, 2016. 

  13. M. J. Nock and M. J. Prinstein, "A functional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self mutilative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2, No.5, pp.885-890, 2004. 

  14. E. D. Klonsky, "Non-suicidal self-injury: An introduc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3, No.11, pp.1039-1043, 2007. 

  15. P. M. Rosen, B. W. Walsh, and S. A. Rode, "Interpersonal loss and self- mutila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ur, Vol.20, No.2, pp.177-184, 1990. 

  16. D. Simeon, B. Stanley, A. Frances, J. J. Mann, R. Winchel, and M. Stanley, "Self-mutilation inpersonality disorders: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correlate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49, pp.221-226, 1992. 

  17. M. F. Armey, J. H. Crowther, and I. W. Miller, "Changes in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reported affect associated with episodes of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Therapy, Vol.42, pp.579-588, 2011. 

  18. E. D. Klonsky and C. R. Glenn, "Assessing the functions of non-suicidal self-inju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ventory of Statements About Self-injury (ISA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31, pp.215-219, 2009. 

  19. K. Bresin, "Five indices of emotion regulation in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nonsuicidal self-injury: A daily diary study," Behavior Therapy, Vol.45, pp.56-66, 2014. 

  20. S. Shiffman, A. A. Stone, and M. R. Hufford,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Vol.4, pp.1-32, 2008. 

  21. J. Fahrenberg, M. Myrtek, K. Pawlik, and M. Perrez, "Ambulatory assessment-Monitoring behavior in daily life settings: A behavioral-scientific challenge for psychology,"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ol.23, No.4, pp.206-213, 2007. 

  22. E. D. Klonsky, "Non-suicidal self-injury in United States adults: prevalence, sociodemographics, topography and functions," Psychological Medicine, Vol.41, No.9, pp.1981-1986, 2011. 

  23. S. J. Wenze and I. W. Miller, "Use of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in mood disorders research,"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0, No.6, pp.794-804, 2010. 

  24. B. J. Turner, "Untangling the Impact of Social Context on Non-suicidal Self-injury," Psychology Faculty of Arts and Social Science, 2014. 

  25. M. K. Nock, E. B. Holmberg, V. I. Photos, and B. D. Michel, "Self-Injurious Thoughts and Behaviors Interview: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n Adolescent Sample,"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19, No.3, pp.309-317, 2007. 

  26. J. Whitlock, D. Exner-Cortens, and A. Purington, "Assessment of Nonsuicidal Self-Inju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Assessment Tool (NSSI-AT)," Psychological Assessment. Vol.26, No.3, pp.935-946, 2014. 

  27. 서종한, 조병철, 이가애, 김경일, "생태순간평가(EMA) 일기법 기반 자살패턴 분석: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9권, 제3호, pp.1535-1556, 2017. 

  28. E. E. Lloyd, M. L. Kelley, and T. Hope, "Self-mutilation in a community sample of adolescents: Descriptive characteristics and provisional prevalence rates," In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Behavioral Medicine, New Orleans, LA, 1997. 

  29. L. S. Ruehlman and P. Karoly, "With a little flak from my friends: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Test of Negative Social Exchange (TENSE)," Psychological Assessment: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3, No.1, pp.97-104, 1991. 

  30. J. F. Finch, M. A. Okun, G. J. Pool, and L. S. Ruehlman, "A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conflictual and supportive social interactions on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Vol.67, No.4, pp.581-621, 1999. 

  31. 최정원, 대인관계에서의 부정적 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용서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2. D. Watson, L. A. Clark, and G. Carey,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their relation to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7, pp.346-353, 1988. 

  33.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2권, 제4호, p.935, 2003 

  34. 박홍석, 이정미, "정적정서 부적정서 척도(PANAS)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5권, 제4호, pp.617-641, 2016. 

  35. 장승민, "생태순간평가와 다층모형을 이용한 정서불안정성의 측정과 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9, No.2, pp.234-235, 2009. 

  36. 백영민, R을 이용한 다층모형,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8. 

  37. 장승민, "생태순간평가를 이용한 일상의 탐색,"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2, No.1, pp.100, 2012. 

  38. B. M. Bolger and J. Laurenceau, longitudinal methods, New York, NY: Guilford, 2013. 

  39. B. M. Bolker, M. E. Brooks, C. J. Clark, S. W. Geange, J. R. Poulsen, M. H. H. Stevens, and J. S. S. Whit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a practical guide for ecology and evolution,"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Vol.24, No.3, pp.127-135, 2009. 

  40. T. E. Joiner, Why People Die by Suicide,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2005. 

  41. P. Hasking, C. S. Martin, and J. Quigley, "What happens when you tell someone you self-injure? The effect of disclosing NSSI to adults and peers," BMC Public Health, Vol.15, No.1039, 2015. 

  42. K. L. Gratz and L. Roemer,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26, No,1, pp.41-54, 2004. 

  43. J. J. Muehlenkamp, S. G. Engel, A. Wadeson, R. D. Crosby, S. A. Wonderlich, and H. Simonich, "Emotional states preceding and following acts of non-suicidal selfinjury in bulimia nervosa patie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7, No.1, pp.83-87, 2009. 

  44. B. L. Hankin, R. C. Fraley, and J. R. Z. Abela, "Daily Depression and Cognitions About Stress: Evidence for a Traitlike Depressogenic Cognitive Style and the Predic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a Prospective Daily Diary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8, No.4, pp.673-85,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