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권리적 초등돌봄서비스 발전방안 탐색 -다함께돌봄정책 공공의 역할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Afterschool-care Service Improvement : Focusing on Public Duty for Elementary Aftercare Poli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761 - 770  

최현임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손가현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아동을 위해 학교 정규교육시간 이외의 시간에 마을에서 제공하는 돌봄서비스가 아동이 행복한 일상생활을 보장하는 돌봄, 즉 아동권리가 실현되는 정책으로 실현되고 있는지 현황과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과후 돌봄은 생존권과 보호권은 물론 창의적인 교육활동과 주체적인 시민성장을 지원하는 통합적 방법으로서 중요하며, 코로나 상황을 맞아 공공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온종일돌봄 정책 중학교밖 돌봄의 주축이 되는 다함께돌봄 정책을 아동권리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호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보호권에 초점이 맞추어져 아동의 4대 권리를 충분히 보장하는 포괄적 정책으로서 한계점이 있었다. 안전한 돌봄공간 마련도 중요하지만 마을의 다양한 자원을 돌봄 콘텐츠로 적극 활용하여 놀면서 배우는 아동의 선택권 확대를 위한 정책설계가 부족하다. 이를 위한 공공의 역할은 서비스의 양적확대와 더불어 내용적 공공성인 책임성, 공정성, 민주성, 공익성을 담보하기 위한 보완이 요청된다. 다함께 돌봄 정책은 아직 실행초기인 정책으로, 아동권리 관점을 반영하여 유연한 공적돌봄 체계로 발전할 수 있는 정책 개선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rovements of after-school care policy for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based on children's rights in the community. After-school care is important to support children right of survive and protect, as well as the right to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To ...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45)

  1. 김은정, 장수정, "초등 대상의 공적 돌봄 서비스 이용 분석-보편적 서비스 관점에서," 한국가족복지학, 제67권, 제2호, pp.31-59, 2020. 

  2. 관계부처합동,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운영을 위한 현장정책토론회 자료집, 2017. 

  3. 김수정, "보육서비스의 트릴레마 구조와 한국 보육정책의 선택: 민간의존과 비용중심의 정책," 경제와사회, 제105권, pp.64-93, 2015. 

  4. 송다영, "돌봄의 사회화와 복지국가의 지연(遲延)," 한국여성학, 제30권, 제4호, pp.119-152, 2014. 

  5. 관계부처합동,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운영 실행계획(2018.4.). 

  6. 조흥식, 남찬섭, 박연란, 최은영, 돌봄서비스 정책 비교연구,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7. 김선혜, "초등학교 돌봄서비스의 목적 논의: 공공성과 아동 자기결정의 자유에 근거하여," 한국초등교육, 제26권, 제4호, pp.515-535, 2015. 

  8. 임혜정,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과 교육적 함의," 교육사회학연구, 제27권, 제4호, pp.137-169, 2017. 

  9. 보건복지부, 다함께돌봄 4개년 계획 수립을 위한 권역별 설명회(2018.7.) 자료집, 2018. 

  10. 보건복지부, 다함께돌봄사업 안내, 2020. 

  11. 이명승, "초등 방과후 돌봄정책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월간 복지동향, 제252호, pp.30-35, 2019. 

  12. 서울특별시, 2020년 키움센터 자치구설명회 자료집, 2020. 

  13. 이현주, 정익중, "아동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복지혼합과 공공의 역할 재구축," 한국사회정책, 제19권, 제1호, pp.65-94, 2012. 

  14. 조영희.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 서비스 분석과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41-162, 2014. 

  15. 조흥식, 남찬섭, 박연란, 최은영, 돌봄서비스 정책 비교연구,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16. 김근진, 온종일 아동돌봄 정책과 지자체의 대응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충남여성정책개발원 토론회 자료집, 2019. 

  17. 김진석, 백선희, 정영모, 김소영,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운영을 위한 표준모델 개발 및 제도화 방안, 범정부공동추진단 연구보고서, 2018. 

  18. 장수정, 송다영, 백경흔, "초등돌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공동육아 방과후 참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제62권, pp.251-287, 2019. 

  19. 보건복지부,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 2019. 

  20. 이봉주, 장희선, "한국 아동의 권리경험과 발달결과와의 관계: 아동권리지수의 영향 검증과 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아동과권리, 제23권, pp.339-361, 2019. 

  21. 관계부처합동, 포용국가 아동정책(2019.5.23.). 

  22. 김사현, "사회복지 공공성: 새로운 복지정치 담론의 제안," 사회복지정책, 제46권, 제2호, pp.159-186, 2019. 

  23. 윤홍식, 류연규, 송다영, 신경아, 윤성호, 이숙진, 안세아, 최동국, 국내외 가족정책의 쟁점과 가족환경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24. Lewis, J. Gender, Social Care and Welfare State Restructuring in Europe, Routledge, 1998. 

  25. G. Esping-Anderson,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usm, Polity Press, 1990. 

  26. 윤승희, "돌봄을 통해 본 복지국가 유형화 연구: 돌봄의 제도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36권, pp.31-59, 2012. 

  27. 류연규, "복지국가 아동 돌봄 서비스 공공성 강화의 사회경제적 조건," 한국가족복지학, 제39권, pp.177-204, 2013. 

  28. 김진석, 민소영, 유동철, 홍영준, 서울시 공공복지인프라 공공성 강화방안, 서울: 서울복지재단, 2015. 

  29. 정익중, 홍나미, 강지원,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이화여자대학교, 2018. 

  30. 조대엽, 홍성태,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과 공공성 프레임의 역사적 유형," 아세아연구, 제56권, 제2호, pp.7-41, 2013. 

  31. 조희연, "새로운 사회운동적 화두, 공공성의 성격과 위상," 시민과세계, 제11호, pp.54-69, 2007. 

  32. 신진욱, "공공성과 한국사회," 시민과세계, 제11호, pp.18-39, 2007. 

  33. 임의영, "공공성의 철학적 기초," 정부학연구, 제23권, 제2호, pp.1-29, 2017. 

  34. 이병량, "문화정책과 공공성,"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8권, 제3호, pp.119-146, 2011. 

  35. 이윤진, "저출산 대응 법제 분석과 향후 과제," 사회복지법제연구, 제9권, pp.3-37, 2018. 

  36. Hsieh, Hsiu-Fang, Sarah E. Shannon,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5, No.9, pp.1277-1288, 2005. 

  37. 전미양, 최현임,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통한 초등돌봄서비스 탐색: 서울시 온마을돌봄정책의 보편성과 공공성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26권, 제3호, pp.185-208, 2020. 

  38. L. M. Salamon, Partners in Public Service: Government-nonprofit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JHU Press, 1995. 

  39. R. Rose, "Charging for public services," Public Administration, Vol.68, No.3, pp.297-313, 1990. 

  40. 서울특별시, 초등 마을돌봄 해답찾기, 지역아동센터 정책토론회(2019.4.25.) 자료집, 2019. 

  41. 이명진, "네트워크사회의 도래와 공공성의 특성 변화: 영역, 경계, 행위자, 배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제13권, 제1호, pp.63-85, 2012. 

  42. 김희강, "돌봄: 헌법적 가치," 한국사회정책, 제25권, 제2호, pp.3-29, 2018. 

  43. 정효정,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정책에 관한 논점 및 제언,"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13권, pp.229-251, 2018. 

  44. 김만준, 김재일, "사회복지서비스 시설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민간 위탁형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5권, 제1호, pp.193-211, 2013. 

  45. 이영철, 김소정, "사회복지서비스 위탁운영이 서비스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7권, pp.149-171, 20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