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약연구소의 인삼연구와 약도개성
Ginseng Research in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NPRI)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Complex in Gaesong 원문보기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3, 2021년, pp.54 - 73  

박주영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역사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성제국대학의 부속기관인 생약연구소는 현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천연물 과학연구소의 전신으로, 일제강점기 인삼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였던 종합연구기관이었다. 생약연구소는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약리학 제2강좌의 교수 스기하라 노리유키의 주도로 설립되게 되는데, 스기하라는 약리학 제2강좌가 설치되었던 1926년부터 고려인삼 및 한약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약리학 제2강좌에는 의학 및 약물학 전공인 스기하라 외에도 조교수로 약학을 전공한 카쿠 텐민, 강사로 농학 및 임학을 전공한 이시도야 츠토무가 있었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1939년 생약연구소 설립 이전까지 약 36명의 연구자가 활동하였다. 이 중에서는 약 14명의 조선인 연구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대체로 경성의전, 경성치전, 경성약전 등 전문학교 출신들로 기본적인 의약학 지식을 갖추고 한의학, 본초학 등 독자적인 의약체계를 활용하는 조선의 한약재 연구에 임하였다. 1927년부터 민병기, 김하식 등이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30년 이후 조선인 연구자는 증가하였다. 약리학 제2강좌는 조선의 약용식물 조사 및 한약재에 대한 약리학적 작용, 성분분석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며, 또한 경성의전, 경성치전, 경성마약류중독자치료소, 지방도립의원 등의 기관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1935년, 국내 최대의 인삼 산지인 개성에서는 "약도개성"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는 전시용 약품의 연구 및 양산화, 인삼 산업개편을 통한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민간단체, 개성부, 관동군, 경성제국대학 등이 참여한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1936년에 경기도립 약용식물연구소, 1938년에 경성제국대학 부속 약초원 및 병참 제약공장이 설치되었으며, 1939년, 약용식물연구소와 약초원이 결합하여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가 설립되었고 스기하라는 생약연구소 소장이 되었다. 생약연구소에서는 인삼에 관한 약리학적 연구에서 더욱 나아가, 선려삼 등 인삼을 이용한 제품개발 및 판매, 그리고 인삼재배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1941년 제주도시험장을 설립하여, 제주도산 약재를 사용한 구충제 판시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1945년 일제의 항복과 광복으로 스기하라를 포함한 일본인 연구자들은 급히 귀국하였다. 이후 생약연구소는 서울대학교에 인계되어,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출신 오진섭을 소장으로 우린근, 석주명 등의 학자들이 활동하며 한국 과학계의 선도적 역할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NPRI, 生藥硏究所), an institution affiliated with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was the predecessor of the NPRI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 comprehensive research institute t...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68)

  1. 조선약학회잡지 

  2. 조선의학회잡지 

  3. 조선총독부관보 

  4. 기창덕, 京城帝國大學 醫學部, 대한의사학회지 Vol. 1(대한의사학회, 1992). 

  5. 박주영 이상국,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본 광복 전후의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약학사회지 제3권 제1호(대한약학회 약학사분과학회, 2020). 

  6. 석주명, 京城大學附屬生藥硏究所濟州島試驗場附近의 蝶相, 國立科學博物館動物學部硏究報告(國立科學博物館, 1946). 

  7. 신동원,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 : 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의학사 제12권 제2호(대한의사학회, 2003). 

  8. 신창건, 경성제국대학에 있어서 한약연구의 성립, 사회와 역사 76권(한국사회사학회, 2007) 

  9. 신창건, 식민지기 전통의학의 전개와 한의학의 재편성, 근대지식과 식민권력 : 경성제대 연구워크숍(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6). 

  10. 윤선자, 일제의 경제수탈과 개성의 삼업, 한국근현대사 연구 Vol. 35(한국근현대사학회,2005). 

  11. 木村雄四郞, 石戶谷勉氏の逝去を悼む, 植物硏究雜誌, vol,33, no,10(植物硏究雜誌社, 1958). 

  12. 加來天民, 朝鮮藥學會の回顧 在鮮日本人藥業回顧史 (在鮮日本人藥業回顧史編纂會, 1961). 

  13. 杉原德行, 特講: 日本藥理學界의 最近動向(日本岐阜縣立醫大, 1961). 

  14. 杉原德行, 生藥硏究所と濟州島試驗場, 紺碧遙かに : 京城帝國大學創立五十周年記念誌(京城帝國大學同窓會, 1974). 

  15. 杉原德行, 藥理學敎室第二講座, 紺碧遙かに : 京城帝國大學創立五十周年記念誌(京城帝國大學同窓會, 1974). 

  16. 森田芳夫, 朝鮮終戰の記錄: 米ソ兩軍の進駐と日本人の引揚(巖南堂書店, 1964). 

  17. 渡?晴香 金善珉 丁宗鐵, 日韓生藥學交流史 : 杉原德行の業績と評?,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Medical History vol.48 no.2(日本?史學會, 2002). 

  18.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京城帝國大學醫學部杉原藥理學敎室業蹟集, 京城帝國大學, Vol,3(1930), Vol,4(1931), Vol,5(1932), Vol, 7-10(1934-1937). 

  19. 대한민국학술원, 한국의 학술연구 : 약학(대한민국학술원, 2008). 

  20. 대한약리학회50년사편찬위원회, 大韓藥理學會五十年史, 1947-1997(대한약리학회, 1997). 

  21. 서울대학교7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역사(1946-2016)(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2. 서울대학교가산약학역사관, 한국 약학의 아버지 녹암한구동(서울대학교 약학대학, 2016). 

  23. 서울대학교병원병원역사문화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 의료문화사 (1879-1960) (웅진지식하우스, 2009). 

  24. 서울대학교약학대학10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100년사(서울대학교 약학대학, 2016). 

  25.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한국의 천연물과학 연구:1946-1996(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26. 서울대학교한국의학인물사편찬위원회, 한국의학인물사(태학사, 2008). 

  27. 장일무, 한국인삼산업사(한국인삼공사, 2018). 

  28. 조선총독부, 白頭山植物調査書(조선총독부, 1918). 

  29.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과 기술 vol,314(금성출판사, 1995). 

  30. 한국약학교육협의회, 한국약학사(약업신문, 2017). 

  31.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2002). 

  32. 고려시보, 滿洲國關稅高率로 人蔘輸出에 大打擊, 고려시보(1934.01.16.). 

  33. 고려시보 全鮮에 呼令할 藥用植物硏究所, 경기도경영으로 금춘부터창설, 開城産業의 萬年大計, 고려시보(1935.05.01.). 

  34. 고려시보, 藥都化目標로 開城에 製藥工場新設 各界有志招致協議, 고려시보(1935.05.01.). 

  35. 고려시보, 城大藥草園落成과 함께 大製藥工場도設置, 本部, 軍部에서 積極的으로 後援, 明春부터 新設作業開始?, 고려시보(1938.10.16.). 

  36. 고려시보, 藥用植物硏究所 城大에 移管, 고려시보(1939.03.16.). 

  37. 고려시보, 人蔘의 全有?成分을 包含한 粉末劑鮮麗蔘出現, 간단히 더운 물에 타서 먹는 杉原博士十年間苦心의 創製品, 고려시보(1940.10.01.). 

  38. 동아일보, 藥都開城의 자랑인 藥草園落成, 6일 낙성식을 거행, 동아일보(1938.10.08.). 

  39. 대학신문 五百點의 生藥標本, ; 28日 國立 生藥硏究所展示, 대학신문(1955.03.30.). 

  40. 대학신문, 生藥硏究所 竣工, 대학신문(1968.08.26.). 

  41. 대학신문, 生藥硏究所 新館 建物서 執務, 대학신문(1968.09.02.). 

  42. 매일신보, 自作自給을 目標로 藥草栽培積極■勵 從來北支에서 每年百▩萬圓을 輸入해오는 것 '藥用植物硏究所'도 擴張, 매일신보(1938.03.04.). 

  43. 매일신보, 開城城大藥草園, 科學館서 見學團募集, 매일신보(1942.09.22.). 

  44. 매일신보, 野外科學講座 二十四日, 開城에서, 매일신보(1943.10.19.). 

  45. 부산일보, 開城藥用植物硏究所開所式, 부산일보(1936.06.18.). 

  46. 자유신문, 左翼轉向者續出 一年間에 勿慮五千名, 자유신문(1949.10.28.). 

  47. 조선신간, 藥用植物硏究所, 開城支局 安德生, 조선신간(1936.06.11.). 

  48. 조선중앙일보, 약의 都市開城府에 製藥工場新設置, 二十一萬圓資本으로 實現?進, 各界有力者網羅, 조선중앙일보(1935.09.13.). 

  4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조선총독부 직원록 

  50. 京城帝國大學醫學部杉原藥理學敎室業蹟集-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도서관 소장자료 

  51. 朝鮮醫學會雜誌-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자료 

  52. 朝鮮藥學會雜誌-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자료 

  53. 高麗時報, "開城을 藥草都市로 새로히 건설할 게획을 세우고 實地硏究次調査員派遣" 1934.01.16.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신문자료 

  54. 경기도립 약용식물연구소 전경 조선신간, "藥用植物硏究所" 1936.06.11.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신문자료 

  55. 경성제국대학 약초원 전경 - 高麗時報, "成大藥草園落成과 함께 大製藥工場도設置" 1938.10.16.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신문자료 

  56. 개성부전도(開城府全圖)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자료 

  57. 개성부전도 내 약용식물연구소 및 성대 약초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자료 

  58. 경성제국대학 약초원에서 이시도야와 학생들(1935) - 서울대학교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 의료문화사(1879-1960)(웅진지식하우스, 2009), p. 159. 

  59. 경성제국대학 약초원에서 이시도야와 학생들(1935) - 서울대학교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 의료문화사(1879-1960)(웅진지식하우스, 2009), p. 159. 

  60. 경성제국대학 약초원에서 이시도야와 학생들(1935) - 서울대학교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 의료문화사(1879-1960)(웅진지식하우스, 2009), p. 159. 

  61.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 약도(1940) - 서울대학교약학대학10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100년사(서울대학교 약학대학, 2016), p. 377. 

  62.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 전경 - 서울대학교약학대학10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100년사(서울대학교 약학대학, 2016), p. 377. 

  63. 高麗時報, "개성삼업주식회사 광고" 1939.05.16.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신문자료 

  64. 高麗時報, "人蔘의 全有?成分을 包含한 粉末劑鮮麗蔘 出現, 간단히 더운 물에 타서 먹는 杉原博士十年間苦心의 創製品" 1940.10.01.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신문자료 

  65. 제주도시험장 약도(1940) - 서울대학교약학대학10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100년사(서울대학교 약학대학, 2016), p. 377. 

  66. 시오노기제약주식회사 디기타민[ジギタミン] 광고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신문자료 

  67. 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 오진섭 소장 대한약리학회 소장자료 

  68. 유기원소분석기(1948) -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소장자료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