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중 1920-193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 분석
An Analysis of Ginseng Advertisements in 1920-1930s Newspaper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4, 2022년, pp.103 - 127  

오훈일 (세종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세기 초반 근대 문물이 유입되면서 우리나라 인삼 산업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인삼 재배법과 상업의 발전으로 인삼의 생산과 소비가 늘어났고 근대적 제제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인삼 제품이 개발되었다. 자연히 이들 제품의 판매 경쟁도 치열해졌다. 당시 신문 광고에는 이러한 제품의 개발 동향과 판매 경쟁이 상세히 나타난다. 1920년 이전까지는 신문에 나타나는 인삼에 관한 광고는 매우 적었다. 아직 신문이 일반화되지 못했고 인삼 산업도 그만큼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920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창간되면서 인삼 광고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2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는 인삼의 전통 한방적 효능과 신비함을 강조하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인삼과 녹용을 복합 처방한 제품의 광고가 많은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제품이 큰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품을 복용한 사람들의 체험담도 이때 광고에 등장한다. 또한 당시 이미 통신판매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1925년에는 인삼제품을 매일 배달한다는 광고도 등장한다. 당시 뿌리삼은 그 크기와 품질에 따라 현재보다 훨씬 정교하게 분류되어 있었음이 광고에 여실히 드러난다. 1920년대 인삼 제품은 액제, 환제, 농축액 등 전통 한방 제형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30년대 인삼 광고는 더욱 활발해진다. 이 시기에는 대학의 교수, 의학박사, 약학박사 등의 직함을 가진 전문가가 광고에 등장한다. 이들이 인삼을 추천한다거나, 성분이나 약효를 설명하거나, 심지어 이들의 실험 노트까지 광고에 등장하여 과학적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인삼 제품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홍보가 강화된다. 1931년에는 현대적인 정제의 광고가 등장한다. 이후 비타민이나 다른 특정 성분을 강화한 인삼 제품이 등장하고, 병약자를 위한 인삼 미음도 등장한다. 1938년에는 최승희와 같은 무용수나 유명 영화배우를 모델로 사용하는 광고도 등장하게 되면서 인삼광고는 더욱 현대화되고 대중화 된다. 1920~1930년대 인삼광고는 당시 급변하는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x of modern cul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led to numerous changes in the country's ginseng industry. With the development of ginseng cultivation technology and commerc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inseng increased, and various ginseng products were developed using moder...

주제어

표/그림 (34)

참고문헌 (20)

  1. 「경성일보」 1930.01.10. 1933.12.14. 1934.08.11. 

  2. 「동아일보」 1920.04.18. 1920.06.06. 1920.06.16. 1920.08.24. 1920.09.10. 1920.09.15. 1920.09.25. 1921.02.27. 1922.03.24. 1922.10.09. 1923.04.18. 1925.06.05. 1925.06.07. 1925.06.09. 1925.06.12. 1925.06.15. 1925.07.14. 1927.08.18. 1927.11.03. 1930.11.30. 1931.07.18. 1931.11.19. 1932.02.28. 1932.12.24. 1933.09.22. 1933.11.22. 1934.10.17. 1934.12.05. 1935.09.11. 1936.02.02. 1936.02.26. 1937.07.04. 1938.06.09. 1939.01.17. 1939.07.08. 1939.10.04. 1939.11.26. 1939.12.17. 

  3. 「매일경제」 1983.08.29. 

  4. 「매일신보」 1918.01.01. 1920.06.10. 1920.08.18. 1920.09.03. 

  5. 「조선시보」 1920.04.26. 1939.03.15. 

  6. 「조선신문」 1926.01.29. 1935,03.10. 1939.03.24. 

  7. 「중앙일보」 1931.11.28. 

  8. 「조선제약합자회사 사보」, (조선제약합자회사, 1929). 

  9. 김선희, 「인삼에서 'Ginseng'으로 -Made in Choseon-의 '해피 드러그'」, 「日本思想」 40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1). 

  10. 김조형, 옥순종, 「인삼왕 손봉상의 업적을 통해 본 개성인삼 개척사」, 「인삼문화」 2 (고려인삼학회, 2020). 

  11. 박주영, 「생약연구소의 인삼연구와 약도개성」,,「인삼문화」 3 (고려인삼학회, 2021). 

  12. 이관호, 「증류주의 제조와 판매현황」, 「한국식문화학회지」 4 (한국식문화학회, 1989). 

  13. 이명화, 「식민지 체제의 개편과 문화통치」, 「한국독립운동역사」 제5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4. 정광중, 「일제시대 전매제하 인삼 생산의 전개 과정」, 「문화역사지리」 7 (한국문화역사학회, 1995). 

  15. 정지훈, 김도훈, 「일제 강점기 한의학술지에 실린 한약업자 광고 분석」, 「한국의사학회」 26 (한국의사학회, 2013). 

  16. 조선박람회 경성협찬회, 「(조선박람회)기념사진)」 (조선박람회 경성협찬회, 1929). 

  17. 조선제약합자회사 사보, 「만복한방제제대특매 카타로그」 (조선제약합자회사, 1929). 

  18. 황지혜, 김남일, 「일제 강점기 매약을 통해 본 제형 변화와 새로운 한약 처방의 경향성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33 (한국의사학회, 2020). 

  19. 김나라, 「1929년 조선박람회 경성협찬회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20. 차경환, 「근현대 1910-1945 한일관계②」, blog.naver.com/quixcha/222587542107 (검색일: 2021년 12월 10일).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