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되기 전엔 알 수 없는 것들
Things unknown before being recorded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7, 2021년, pp.107 - 150  

이경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김익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재현은 존재를 인식하는 것부터 시작하고, 기록은 존재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상호 순환적이다. 인식되지 못하는 존재는 기록이 없고, 그나마의 기록은 왜곡되며, 왜곡된 표상이 대상을 대표하면서 비가시성을 심화한다. 말하지 못하고 재현되지 못하는 존재를 스피박(Spivak)은 서발턴(Subaltern)으로 명명한다. 이 글은 식당여성노동자에 대한 공공기록과 언론보도, 연구물 등을 살펴 그들 기록이 가진 서발턴적 특징과 한계를 밝히고, 서발턴의 기록화를 위해서 고민해야할 지점과 구체적인 역할을 제안한다. 시대와 사회를 담지한 개체이자, 차이적 존재로서 사람 자체가 온전히 기록되어 재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면, 기록이 가지는 설명책임성은 기관을 넘어 시대와 사회로 확장되고, 개인과 공동체는 정치적 주체로 세워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presentation of an entity starts with recognition of its existence, and recording is mutually circular in that it acts as a means to enable the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No record is left on an unrecognized entity, record is distorted if any, and the distorted reproduction represents the entit...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52)

  1. 강준만 (2014). 감정독재. 서울: 인물과사상 

  2. 고용노동부 (2020.9). 2019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보고서. 

  3. 고용노동부 (2020). 2020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보고서. 

  4. 김소연 (2019). 다양한 노동기억의 전승을 위한 지역노동자공동체 구술기록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5. 김수환 (2009). 정체성과 그 잉여들 : 문화기호학과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18, 71-98. 

  6. 김영. 설문원 (2015).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_밀양765kV 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4, 101-151. 

  7. 김원 (2011).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 서울: 현실문화 

  8. 김원정 (2011). 식당여성노동자 인권적 노동환경 만들기 : 문제 진단과 정책.설천과제. 한국여성민우회 발간자료, Vol.2011. 

  9. 김익한. 장대환 (2018).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 기록학연구, 59, 277-320. 

  10. 김창래 (2012). 상, 재현, 언어, 가다머의 언어개념. 철학, 제10집, 49-82. 

  11. 김효정 (2009).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노동의 의미에 관한 연구 : 소규모 식당노동종사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12. 농림축산식품부 (2019). 2019 국내 외식 트렌드 조사보고. 

  13. 류한조 (2008). 재현을 위한 기록콘텐츠 개발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14. 박성수 (2000). 재현, 시뮬라르크, 배치. 문학과학, 24호. 

  15. 백선기 (2006). 한국 언론의 소수자.약자 보도 경향과 사회문화적 함축의미. 저널리즘평론, 2005년 2호 통권 21호, 10-62. 

  1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5). 서비스업 종사자 보호를 위한 산업안전보건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17. 서울노동권익센터 (2017). 서울지역 여성 비정규직 노동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18. 설문원 (2019). 기록이란 무엇인가 : 활동의 고정적 재현물로서의 개념 탐구. 기록학연구, 59, 5-46. 

  19. 송기역 기획 (2015). 숨은 노동찾기. 파주: 오월의봄. 

  20. 송지수 (2019). 다큐멘터리 노동기록 재현과 사회적 함의 : 영화 의 기록활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21. 신경아. 박기남 (2006). 소규모 서비스업 여성노동자 실태조사 및 정책연구_10인미만 음식점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소규모 음식점업 여성노동자 실태와 정책 과제 토론회 자료집. 민주노동당.국회의원 단병호. 

  22. 신승환 (2017). 생명정치학의 철학적 지평. 철학논집, 제51집. 155-181 

  23. 안미선 (2019). 여성 목소리들. 파주: 오월의봄. 

  24. 안수찬. 임인택. 임지선. 전종휘 (2012). 4천원 인생. 서울: 한겨레출판. 

  25. 안채영. 김지현 (2020).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 평가 개선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66. 105-155. 

  26. 여성노동자글쓰기모임 (2016). 기록되지 않은 노동. 서울: 삶창. 

  27. 윤은하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28. 이문영 (2017). 웅크린 말들. 서울: 후마니타스. 

  29. 이승원. 정경원 (2011). 우리가 보이나요?. 고양: 한내. 

  30. 이윤재 (2017). 여성인권기록화 전략연구: 성차별 기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31. 진태원 (2018). 을의 민주주의. 서울: 그린비. 

  32. 질병관리본부 (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조사결과. 

  33. 천정환 (2011). 서발턴은 쓸 수 있는가: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과 민중문학의 재평가를 위한 일고. 민족문학사연구, 47호, 224-254. 

  34. 통계청 (2019.11). 2019년 10월 고용동향. 

  35. 통계청 (2020).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지업별 특성'. 

  36. 한국노동연구원 (2016). 음식점 및 주점업의 산업특성과 고용구조 변화. 월간 노동리뷰, 2016년 6월호, 65-75. 

  3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2017년 서비스업 조사 외식업 주요 동향 및 특징. 

  38. 한국여성민우회 (2011.9). 식당여성노동자 노동인권 실태조사 '식당여성노동자의 인권적 노동환경만들기' 토론회 자료집. 

  39. Berger, J. (2019). Confabulation. 김현우 옮김 (2019). 우리가 아는 모든 언어, 파주: 열화당 

  40. Jalbert, P. L. (1983), Some Constructs for Analysing News. In Howard Davis & Paul Warton(eds.), Language, Image, Media, Newyork : St. Martin's Press. 

  41. Jimerson, R. C. (2009). Archives Power :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옮김 (2016). 기록의 힘 :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2. Ranciere, J. (1998). Aux boreds du politique. 양창렬 옮김 (2016).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서울: 도서출판 길. 

  43. Fly, D. L. (1985), Differential Ideology and Languafe Use : Reader's Reconstruction and Edscriptions of News Events,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2(4). 

  44. Spivak, Gayatri Chakravorty (1988), Can the Subaltern speak?, Maxism and interpretation of cultu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5. Yeo, Geoffrey. (2007), Concepts of record (1) : Evidence, information, and persistent representations. The American Archivist 70(Fall/Winter 2007). 315-343. 

  46.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http://www.kinds.or.kr 

  47. 영국 영파운데이션, https://www.youngfoundation.org/publications/rough-nights-thegrowing-dangers-of-working-at-night/ 

  48. 한국 여성노동자 '37년의 기록' 투쟁, 그 이후. (2019.10.12).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10120600025&code940100 

  49. 머리가 하는 노동, 손이 하는 노동. (2017.7.27). 한국일보, http://hankookilbo.com/v/f7ff09cc4af3477e9218a5c83286815f 

  50. 가난한 청년 뒤엔 가난한 부모 있다. (2016.1.26).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1262259135&code940100 

  51. 여성 노동력, 불안정 직업군에 쏠려 있다. (2018.4.11).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40197.html 

  52. 식당.술집서 등 떠밀린 이직자 사상최대. (2018.8.12). 한국일보, http://hankookilbo.com/v/e0ceab58f0f3469ca566df44978935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