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Means Clustering을 활용한 냉수대 발생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Cold Water Occurrence using K-Means Clustering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6 no.2, 2021년, pp.371 - 378  

김범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윤홍주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이준호 (부경대학교 실습선 나라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남동해역에 발생하는 냉수대의 공간적인 분포를 구분하기 위해 2016 ~ 2018년의 고리, 양포의 해양 관측 부이 수온자료와 GHTSST Level 4 재분석 해수면 온도자료를 K-means clus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부이자료는 남동해역에서 고리와 양포 지점의 수온변화 및 냉수대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하였다. 그 결과 냉수대 발생 시점에 고리와 양포의 수온이 동일하게 감소하였다. 이에 냉수대 발생시 SST의 변화를 보기 위해 수온의 역수와 SST의 분산을 비교하였다. 수온이 변화하는 시점에 SST의 분산도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었는데 이를 통해 냉수대 발생시 해역의 SST의 수온분포에 변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냉수대 발생해역을 분류하기 위해 K-means clustering을 활용하였다. Elbow 기법을 활용하여 분류를 위한 최적의 K값을 찾아낸 후 분류를 진행한 결과 연안의 차가운 해수가 존재하는 지역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냉수대 발생해역의 공간적인 분포 및 확산범위를 추정하여 향후 냉수대로 인한 피해 파악 및 공간적인 확산 예측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ld water occurred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ocean observatory buoy of Gori and Yangpo and GHTSST Level 4 from 2016 to 2018. The buoy data was used to identify the change in se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한국 남동해역에서 SST를 활용하여 냉수대 발생해역을 공간적으로 분류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동해역의 냉수대를 현장관측 부이자료,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에서 제공하는 GHRSST(: Group for 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Level 4 자료에 K-means clus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냉수대 발생해역 및 범위를 공간적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Park, D. Kim, H. Yoon, and W. Seo,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for Submerged Marine Debris,"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 Science, vol. 11, no. 5, 2016, pp. 539-544. 

  2. B. Kim, D. Hwang, H. Yoon, and W. Seo, "A study on suitability selection of artificial reef by GIS,"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 Science, vol. 10, no. 5, 2015, pp. 629-636. 

  3. H. Oh, Y. Suh, and S. Heo, "The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upwelling cold water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7, no. 4, 2004, pp. 166-173. 

  4. B. Kim, D. Hwang, S. Bak, H. Kim, E. Unuzaya, D. Kim, and H. Yoon,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pwelling Cold Waters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 Science, vol. 14, no. 3, 2019, pp. 559-572. 

  5. S. Han, Y. Suh, and Y. Ahn, " Mapping cold water zone and water zone and warning service for aquaculture groups at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1995, pp. 67-74. 

  6. H. Oh, S. Kim, and S. Moon,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of Cold Water in the around Sea of Wando in Summer, 2005,"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7, no. 9, 2008, pp. 949-956. 

  7. A. Kim, "The influences of coastal upwelling on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rn of East Sea, Korea,"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4. 

  8. J. Lee, D. Kim, and J. Kim, "Observations of Coastal Upwelling at Ulsan in summer 1997,"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8, no. 3, 2003, pp. 122-134. 

  9. S. Kim, W. Go, L. Jang, J. Lim, and K. Yamada, "Short-Term Variability of a Summer Cold Water Mass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Using Satellite and Shipboard Data," J. of the Korean Socu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2008, pp. 169-171. 

  10. S. Yoon and H. Yang,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Cold Water Zone in the East Sea using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2, no. 6, 2016, pp. 703-719. 

  11. B. Kim, H. Yoon, T. Kim, and H. Choi, "Pattern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Using a Weighted Mean Center,"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23, no. 3, 2020, pp. 263-274. 

  12. GHRSST Science Team (2010), "The Recommended GHRSST Data Specification (GDS) 2.0," document revision 4," available from the GHRSST International Project Office, 2011, pp. 123. 

  13. J. MacQueen, "Some methods for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multivariate observations," In Proc. of the Fifth Berkeley Symposium on Mathematical Statistics and Probability, vol. 1, 1967, pp. 281-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