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중공간중심을 활용한 한국 남동해역의 표층수온 분포 패턴 분석
Pattern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Using a Weighted Mean Center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3, 2020년, pp.263 - 274  

김범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윤홍주 (국립부경대학교) ,  김태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최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남동해역은 매년 하계에 집중적으로 냉수대가 형성되어 빈번한 이상해황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해역에서 발생하는 표층수온 분포의 공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6월에서 9월까지 고리와 정자 부이에서 관측한 해양현장 수온 데이터와 GHRSST Level 4 재분석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 자료를 이용하였다. 부이 자료는 두 지점의 시계열적 수온 변동 분석에, GHRSST 자료는 연구해역 전반에 걸친 일별 SST의 분산과 가중공간중심(weighted mean center: WMC)을 계산하는데 이용하였다. 부이의 수온이 낮아지면 연구해역 SST의 분산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 기간 일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는 GHRSST가 재분석 자료로 연안의 민감한 수온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전 해역의 SST 변화를 대표하는 통계적 분산만으로는 연안의 국지적인 소규모의 수온변화를 파악하거나, 냉수대 발생해역의 위치 및 범위를 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가운 수괴가 발생하는 공간적인 위치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WMC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냉수대가 발생했을 때, WMC가 연구해역의 공간중심(mean center: MC)으로부터 북서 해역 쪽에 위치하였다. 이는 SST의 WMC 위치 정보를 통해 차가운 표층수온의 분포가 어디에서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향후 냉수대 규모 및 지역 확산 범위 탐지에 WMC의 활용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a cold water mass is formed intensively in summer every year, causing frequent abnormal sea condi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n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is area, ocean fields buoy data observed at Gori and Jeongja and reanalyzed sea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남동해역의 수온 관측 부이 자료,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에서 제공하는 GHRSST(Group for 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Level 4의 분산과 WMC(weighted mean center)를 활용하여 냉수대의 분포패턴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연안에서 발생하는 냉수대는 어떤 현상인가? 한반도 연안에서 발생하는 냉수대는 수온이 주변해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5℃ 이상 급격하게 낮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하계 6월에서 8월경에 동해안에서 주로 발생한다(Oh et al., 2004; Kim et al.
연안에서 냉수대가 발생하는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연안에서 냉수대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바람에 의한 혼합 및 용승, 조류에 의한 해저마찰 및 혼합, 기온 하강, 담수유입에 의한 이류에 의해서 발생한다(Oh et al., 2005).
부이의 수온이 낮아지면 연구해역 SST의 분산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 기간 일치하게 나타나지는 않는 이유는? 부이의 수온이 낮아지면 연구해역 SST의 분산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 기간 일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는 GHRSST가 재분석 자료로 연안의 민감한 수온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전 해역의 SST 변화를 대표하는 통계적 분산만으로는 연안의 국지적인 소규모의 수온변화를 파악하거나, 냉수대 발생해역의 위치 및 범위를 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i, H.E., Lee, S.H., Park, C.H. and Lee, H.W. 2014. A case study on sea breeze circulation and ozone concentration due to the effect of Cold Water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of Korea. 23(2):261-274. 

  2. Kim, A.R. 2014. The influences of coastal upwelling on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rn of East Sea, Korea.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85pp. 

  3. Kim, B.K. 2019.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pwelling Cold Waters and the Red Tide in the Southeast Sea.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61pp. 

  4. Kim, B.K., Hwang, D.H., Bak, S.H., Kim, H.M., Unuzaya, E., Kim, D.H. and Yoon, H.J. 2019.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pwelling Cold Waters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 Science. 14(3):559-572. 

  5. Kim, S.W., Go, W.J., Jang, L.H., Lim J.W. and Yamada, K. 2008. Short-Term variability of a Summer Cold Water Mass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using satellite and shipboard data. The 2008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69-171. 

  6. Kim, T.H., Choi, H.W., Kim, M.K. and Shim, W.J. 2012. A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oiling status using spatial analysis in Mallipo Beach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90-103. 

  7. Lee, J.C., Kim, D.H. and Kim, J.C. 2003. Observations of Coastal Upwelling at Ulsan in summer 1997.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8(3):122-134. 

  8. Oh, H.J., Kim, S.H. and Moon, S.Y. 2005.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of Cold Water in the around Sea of Wando in Summer, 2005.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9):949-956. 

  9. Oh, H.J., Suh Y.S. and Heo, S.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upwelling cold water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4):166-173. 

  10. Smith, M., Goodchild, M. and Longley, P. 2007. Geospatial Analysis. Matador. :79-80. 

  11. Suh, Y.S., Jang, L.H. and Hwang, J.D. 200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Cold Waters occurring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Season.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4(5):435-444. 

  12. Suh, Y.S. and Hwang, J.D. 2005. Study on the Cold Mass occurrence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4(10):945-953. 

  13. Suh, Y.S., Jang, L.H. and Hwang, J.D. 200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Cold Waters occurring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Season. Journal Korean Fish Society. 34(5):435-444. 

  14. The recommended GHRSST data specification (GDS) 2.0 document revision 5, 2011. GHRSST International Project Office. https://www.ghrsst.org/about-ghrsst/governance-documents. (Accessed October 9, 2012). 

  15. Yoon, D.Y. and Choi, H.W. 2011. A Comparison of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sea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egional scale in the South S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182-193. 

  16. Yoon, S. and Yang, H. 2016.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Cold Water Zone in the East Sea using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6):703-7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