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자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인지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on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tres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8 no.1, 2021년, pp.61 - 69  

진혜경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This secondary analys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주관적 건강, 스트레스 인지,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각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인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인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관상동맥질환자의 11.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인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주관적 건강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주관적 건강이 부정적일수록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2016~2018년)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질환자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인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는 관상동맥 질환자의 주관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인지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정하여 추후 관상동맥질환자의 우울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으로써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 관상동맥질환자의 우울의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있어 전국의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한 국가적 대표성이 확보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은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2017; Hammen, 2005; Shin & Kim, 2003), 건강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므로(Kim, 2020), 질병의 부담이 있는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근거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표본의 대표성을 가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관상동맥질환자의 주관적 건강이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인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관상동맥질환자의우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우울을 관리하기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 Baumeister, H., Haschke, A., Munzinger, M., Hutter, N., & Tully, P. J. (2015). Inpatient and outpatient cost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nd men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BioPsychoSocial Medicine, 9(1), 1-16. https://doi.org/10.1186/s13030-015-0039-z 

  3. Blumenthal, J. A., Sherwood, A., Smith, P. J., Watkins, L., Mabe, S., Kraus, W. E., et al. (2016). Enhancing cardiac rehabilitation with stress management training: A randomized, clinical efficacy trial. Circulation, 133(14), 1341-1350.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15.018926 

  4. Chang-Quan, H., Xue-Mei, Z., Bi-Rong, D., Zhen-Chan, L., Ji-Rong, Y., & Qing-Xiu, L. (2010). Health status and risk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 meta-analysis of published literature. Age and Ageing, 39(1), 23-30. https://doi.org/10.1093/ageing/afp187 

  5. Cristobal-Narvaez, P., Haro, J. M., & Koyanagi, A. (2020).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in 45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74(1), 799-805. https://doi.org/10.1016/j.jad.2020.04.020 

  6. Cullati, S., Bochatay, N., Rossier, C., Guessous, I., Burton-Jeangros, C., & Courvoisier, D. S. (2020). Does the single-item self-rated health measure the same thing across different wordings? Construct validity study. Quality of Life Research, 29(9), 2593-2604. https://doi.org/10.1007/s11136-020-02533-2 

  7. DeSalvo, K. B., Bloser, N., Reynolds, K., He, J., & Muntner, P. (2006). Mortality prediction with a single general self-rated health questio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3), 267-275. https://doi.org/10.1111/j.1525-1497.2005.00291.x 

  8. DiMatteo, M. R., Lepper, H. S., & Croghan, T. W. (2000). De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noncompliance with medical treatment: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patient adherenc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0(14), 2101-2107. https://doi.org/10.1001/archinte.160.14.2101 

  9. Farooqui, F., Jha, M., Kaur, H., Agarwal, A., Hote, M., Devagourou, V., et al. (2020).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activity in South Asia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uthorea, 1-8. https://doi.org/10.22541/au.159969613.31780867 

  10. Gotlib, I. H., & Joormann, J. (2010). Cognition and depress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6, 285-312. https://doi.org/10.1146/annurev.clinpsy.121208.131305 

  11. Hammen, C. (2005). Stress and depression.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1(1), 293-319. https://doi.org/10.1146/annurev.clinpsy.1.102803.143938 

  12. Jha, M. K., Qamar, A., Vaduganathan, M., Charney, D. S., & Murrough, J. W. (2019). Screening and management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JACC state-of-the-art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73(14), 1827-1845. https://doi.org/10.1016/j.jacc.2019.01.041 

  13. Jun, E. M., Ham K. K., & Lee, Y, A. (2010).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health behavior and biological factor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4), 1951-1963. 

  14. Kim D. J. (2020). Influence of health-related perception on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9(1), 73-81. https://doi.org/10.12934/jkpmhn.2020.29.1.73 

  15.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6. Lett, H. S., Blumenthal, J. A., Babyak, M. A., Sherwood, A., Strauman, T., Robins, C., et al. (2004).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coronary artery disease: Evidence, mechanisms, and treatment. Psychosomatic Medicine, 66(3), 305-315. 

  17. Liang, J. (1986). Self-reported physical health among aged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41(2), 248-260. https://doi.org/10.1093/geronj/41.2.248 

  18. Lichtman, J. H., Froelicher, E. S., Blumenthal, J. A., Carney, R. M., Doering, L. V., Frasure-Smith, N., et al. (2014).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poor prognosis among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9(12), 1350-1369. https://doi.org/10.1161/CIR.0000000000000019 

  19. Monroe, S. M., & Harkness, K. L. (2005). Life stress, the "kindling" hypothesis, and the recurrence of depression: considerations from a life stress perspective. Psychological Review, 112(2), 417-445. https://doi.org/10.1037/0033-295X.112.2.417 

  20. Monroe, S. M., & Harkness, K. L. (2011). 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A conceptual analysis. Psychological Review, 118(4), 655-674. https://doi.org/10.1037/a0025190 

  21. Park, J. I., Park, T. W., Yang, J. C., & Chung, S. K. (2016).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s: The role of chronic illnes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ognitive impairment. Psychogeriatrics, 16(1), 62-69. https://doi.org/10.1111/psyg.12160 

  22. Perez, M. H., Medina, D. C. L., Hoyos, M. L., & Zapata, P. R. (2020). Depression and the risk of adverse outcomes at 5 years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Heliyon, 6(11), e05425. https://doi.org/10.1016/j.heliyon.2020.e05425 

  23. Richards, S. H., Anderson, L., Jenkinson, C. E., Whalley, B., Rees, K., Davies, P., et al. (2017).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oronary heart diseas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4), CD002902.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2902.pub4 

  24. Shafti, S. S. (2014). Prevalence of psychiatric morbidities in acute coronary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Psychiatry and Neurology, 2014, 407808. https://doi.org/10.1155/2014/407808 

  25. Shanmugasegaram, S., Russell, K. L., Kovacs, A. H., Stewart, D. E., & Grace, S. L. (2012). Gender and sex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major depression in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A meta-analysis. Maturitas, 73(4), 305-311.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12.09.005 

  26. Sharma Dhital, P., Sharma, K., Poudel, P., & Dhital, P. R. (2018).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ttending at a cardiac center, Kathmandu, Nepal.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2018, 4181952. https://doi.org/10.1155/2018/4181952 

  27. Shields, M., & Shooshtari, S. (2001). Determinants of self-perceived health. Health Reports, 13(1), 35-52. 

  28. Shin, C., Kim, Y., Park, S., Yoon, S., Ko, Y. H., Kim, Y. K., et al. (2017).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in general population of Korea: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2(11), 1861-1869. https://doi.org/10.3346/jkms.2017.32.11.1861 

  29. Shin, K. R., & Kim, J. S.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10), 29-37.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December 9). The top 10 causes of death. Retrieved March 9, 2021,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0/e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