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특별교통수단 만족도가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 of Special Transportation System of Disabled Person o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4, 2014년, pp.1963 - 1970  

고관우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  황경수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만족도와 장애인들의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의 차량을 이용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총81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이유로 휠체어 리프트 차량이라는 응답이 제일 많았으며, 특별교통수단 만족도의 수준에서도 휠체어와 관련된 안전성이 가장 높았다. 반면 이용절차와 관련된 편리성은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특별교통수단 만족도 중 안전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만족감과 의식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애인의 특별교통수단 만족도를 높이고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권 확보를 위한 휠체어 리프트 차량 추가 지원과 안전 운행 및 이용절차의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a research study to look at the satisfaction of disabled persons are using a specific transportation system, and displays to see what e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The survey of disabled persons in a moving vehicle assistance support Jeju vulnerable road user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교통약자를 위한 특별교통수단은 비교적 최근의 사회적 관심에서 시작된 것으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제도 도입과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연구와 실태조사[9-14]수준으로 대부분 실질적 이용대상자인 장애인들에게 특별교통수단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존재로서 이동권을 보장하고 장애인이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수단인 특별교통수단이 장애인들의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사회적 통합을 위해 필요한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이동권의 확보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특별교통수단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실질적으로 장애인들의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특별교통수단을 실제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만족도와 특별교통수단이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11월4일부터 16일까지였으며, 1대1 면접조사로 본 연구자와 교육된 연구보조원이 직접 특별교통이동지원차량에 동승하여 설문조사를 하거나 주요 이동경로인 도내 A장애인복지관과 B병원에서 특별 교통이동지원차량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조사하였다. 총90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그 중 주요 문항에 응답이 누락되거나 분석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9부를 제외하여 최종 분석에 총81부가 사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 복지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개인적 차원의 장애인식이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라는 시각에서 장애를 이해하고자하는 사회적 모델로 변화[1]하면서 장애인의 사회참여, 사회적 삶의 통합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장애인 복지 패러다임은 변화했다[2]. 하지만 장애인들에게 있어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은 장애가 사회적 생활을 방해하여 사회적 존재로서의 가치를 정상적으로 찾을 수 없게 한다.
장애인의 접근성을 권리로서 처음 구체화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장애인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권리로서 처음으로 구체화한 것은 1993년 개최된 세계인권대회의 「비엔나 선언 및 행동계획」 선언문에 포함되면서 장애인의 접근 권과 장애인의 접근권 보장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공식적으로 제시하였다[8]. 우리나라의 경우도 「장애인복지법」 제4조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제4조 등에서 장애인의 권리로서 접근권을 명시하고 있다.
장애인의 접근성에 대하여 우리 법은 어디에서 명시하고 있는가? 장애인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권리로서 처음으로 구체화한 것은 1993년 개최된 세계인권대회의 「비엔나 선언 및 행동계획」 선언문에 포함되면서 장애인의 접근 권과 장애인의 접근권 보장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공식적으로 제시하였다[8]. 우리나라의 경우도 「장애인복지법」 제4조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제4조 등에서 장애인의 권리로서 접근권을 명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 S. Ko., Status and Policy Directions of the Disabled Welfare Policy, Health-welfare Policy Forum, 153, pp.2-4, 2009. 

  2. Y. C. Byun., Prospect and Issues of The Disabled Long-term-care Insurance System. Sarangsaem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symposium, pp.12-32, 2009. 

  3. B. G. Gu., Education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pp.1-660, Seoul: Sigma Press, 2007. 

  4. C. D. Huh., & J. Y. Shin., The Current State of Mobility Rights for Disabled Persons in Korea and Its Direction for Improvem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3), pp.1-25, 2011. 

  5. S. J. Kw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all this Convenience-Evaluation and Challenges of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Welfare Trend, 46, pp20-23, 2002. 

  6. E. R. Paik.,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Focu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degree of social integration,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the Catholic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3. 

  7. E. G. Su., The Actual Condition of the Handicapped Home Visiting Service and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Handicapped,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aya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7. 

  8. M. S. Jung., H. T. Yang., S. J. Ko., S. H. Noh., H. C. An., N. Y. Sung., & J. C. Hyun.,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Gyeonggi: Hakhyunsa, 2007. 

  9. J. H. Sul., Y. S. Shin., & I. K. Park., Improvement Measures in the Welfare Transportation Service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Elderly Peopl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4. 

  10. S. H. Lee., A Study on the Transportation Policy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Satisfaction Level, Journal of Seoul/City Research, 10(1), pp.197-208, 2009. 

  11. K. S. Nam,. Introduction Policy of Special Transportation System for the Rural Area Chung-ju, Dept. of Urban Planning & Engineering, Graduate of Engineering, ChungJu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1. 

  12. S. G. Kim., & H. J. Cho.,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status of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Korean council of Physical & Health Disabilities, 55(3), pp.185-211, 2012. 

  13. S. A. Cha., A Study on Policy and Act Making Process History of The Act on Accommodation Promotion of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Journal of Law on Social Security, 2, pp.65-124, 2012. 

  14. Y. T. Kim., & Y. H. Jeon., A Study on the Status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Effect of Employment, Disability & Employment, 23(2), pp.141-163, 2013. 

  15. J. S. Jung., A Study on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the Efficacy of Short-Term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Dep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3. 

  16. B. J. Kaiser., S. B. Wingate., C. M. Freeman., & J. L. Chandler., Acceptance of Physical Disability and Attitudes Toward Personal Appearance, Rehabilitation Psychology, 32(1), pp.51, 1987. 

  17. A. R. Joh., A Study of the Influence of Self-Awareness on the Depression and Acceptance of Disability-Focusing on Physical Disabled, Dep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7. 

  18. H. G. You., Development of Scale to Measur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ies, Dep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3. 

  19. Yonhapnews, For Disabled Call Taxi in Jeju, Traffic Bridge, http://www.yonhapnews.co.kr, 2013. 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