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성인의 구강건강 지식이 구강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knowledge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adult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21 no.2, 2021년, pp.141 - 150  

김광희 (수성대학교 치위생과) ,  정윤숙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oral health-related knowledge in adult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al health knowledge on correct brushing and use of dental care produc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2 adults who visited dental clinic,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 연구의 기준에 따라 0~59점을 구강건강 지식수준이 ‘부족’한 집단, 60~74점 까지가 ‘경계’ 집단, 75~100점을 ‘충분’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구강건강 증진 행위는 올바른 칫솔질과 구강위생용품 사용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올바른 칫솔질의 경우 자기전 칫솔질 시행, 음식물 섭취 후 칫솔질 시행 여부, 혀를 닦는지와 회전법을 시행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고 구강위생 용품 사용은 불소 함유 치약 사용과 치실 및 치간칫솔 사용에 대하여 질문 하였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그렇다’ 3점, ‘매우 그렇다’ 4점으로 조사하여 각 문항의 점수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 같은 사진을 통해 구강건강 지식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구강건강 지식이 구강건강 증진 행위인 올바른 칫솔질, 구강위생용품 사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높임으로써 구강건강 증진행위를 촉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국민들의 구강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 구강건강 지식 수준을 고려한 교육자료 및 매체를 활용하여 구강건강 지식 수준을 높이도록 하며, 구강건강 실천 행태가 충분히 고려된 맞춤식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방법 개발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바이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치과에서 또는 구강건강 교육자료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구강건강 상태와 개념적 지식을 연결할 수 있는 검사로 Sabbahi 등[11]이 제안한 방법인 구강의 구조, 구강 질환, 충전물 및 보철물과 구강위생 용품과 같은 사진을 통해 구강건강 지식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구강건강 지식이 구강건강 증진 행위인 올바른 칫솔질, 구강위생용품 사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구강건강 지식에 대한 중요성이 인지됨에 따라 관련 연구도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대도시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련 지식을 조사하고, 구강건강 지식이 올바른 칫솔질, 구강위생용품 사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강건강 지식수준의 역할과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대도시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련 지식을 조사하였고, 구강건강 지식이 구강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ang HK, Yoon YS, Park JH. Awareness of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under treatments at initial and maintenance phase.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5;3(3):271-9. 

  2. Song JS, Nam GH. An analysis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satisfaction degree of dental care patients. J Korean Acad Oral Health 1997;7(1):82-100. 

  3. Lee CS, Lee SM. The analysis of the oral health awareness, knowledge and actual oral health care of middle schoolers in some regions. J Dent Hyg Sci 2008;8(3):117-22. 

  4. Lim KO, Choi JH. Survey on oral health behavior and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1;11(2):243-50. 

  5. Kim YH. Comparative study of the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s with or without dental clinic. J Korean Cont Assoc 2012;12(1):361-8.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361 

  6. Kim HR, Kim DY, Moon DH. Comparison of knowledge, cognition and practice level on oral health care of the clients visiting dental clinic in Pusan area. J Korean Soc Dent Hyg 2012;12(4):647-54.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647 

  7. Shin BM, Jung SH.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tooth loss and chewing difficulty in the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3):195-202. 

  8.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4. 

  9. Alexander RE. Readability of published dental educational materials. JADA 2000;131(7):937-42.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2000.0312 

  10. Kwon MW, Rhee KC. Variables affecting on the rationality of consumption behavior of adolescent consumers. J Korean Home Manage Assoc 2000;18(2):175-90. 

  11. Sabbahi DA, Lawrence HP, Limeback H, Rootman I.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oral health literacy instrument for adults. Community Dentistry Oral Epidemiol 2009;37:451-62.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9.00490.x 

  12.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175-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3. Kim KH, Jung YS, Hwang TY, Kim CY. The influence of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o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9;43(1):3-7. https://doi.org/10.11149/jkaoh.2019.43.1.3 

  14. Yeo AN, Lee SY. The influences of dental health behaviors on the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and knowledge i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8;18(4):585-95.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44 

  15. Lee HO, Chun JY. Influence of subjective oral health interest and recognition in academic boys' high school students upon oral health practice in some regions. J Dent Hyg Sci 2011;11(1):1-6. 

  16. Lee JD, Shin DM, Park JT. Oral hygiene knowledg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for the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and non-public health departments. J Korean Acad Dent Tech 2012;4:447-55. https://doi.org/10.14347/kadt.2012.34.4.447 

  17. Choi HS, Hwang SH. Impa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Sch Health 2010;11(1):7-15. 

  18. Lee KH, Jung ES. Effects of edcuation about dental hygiene devices on their use. J Digit Converg 2015;13(2):245-56.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45 

  19. Choi ES, Jeong SR, Cho HA.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 adults. J Dent Hyg Sci 2015;15(6):775-8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6.775 

  20. Seo EJ, Shin SC, Seo HS, Kim EJ, Chang YS. A survey on Koreans' behavior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3;27:177-9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