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MS 기반의 대학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 탐색
Exploration of Quality Management Model for University Major Curriculum Based on CM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5 no.1, 2021년, pp.165 - 174  

박상훈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 교육과정 혁신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및 전공 교육 질 관리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4단계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구안하였고, 인문·사회계열, 이공계열 전공 교수 및 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연구 결과,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는 1단계 학부(과) 교육과정 자체 진단, 2단계 교육과정 개선 계획 수립, 3단계 교육과정 개편, 4단계 교육과정 평가의 체계를 갖추고, 대학 내·외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질 관리를 강화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더불어 모형의 단계별로 산출되는 다양한 교육과정 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교육과정 질 관리 시스템(CMS)의 구축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CMS 기반의 대학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atabase-based major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model in University. To this en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university curriculum innovation, problems in curriculum operation and key elements of major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were deriv...

주제어

참고문헌 (23)

  1. Choi, H.S.(2018). A Study on the Contents Model Design for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Universit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1), 531-539. 

  2. Choi, M.L.(2013). A Historical Comparative Study of Curriculum and Academic Policy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4), 275-303. 

  3. Gordon B. Arnold(2004). Symbolic Politics in Curriculum Reform.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5(5), 572-593. 

  4. Herbert. S(1894). Educatio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CW Bardeen. 

  5. Hong, H.J.(2004). Problem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 in 4-Year Colleg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2(3), 267-295. 

  6. Jeon, Y.K., Oh, E.J., Kim, H.S., Lee, J.M., Hong, S.R.(2019). Quality Monitoring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a Curriculum Mapping System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3(2), 437-466. 

  7. Kim, H.S.(2004).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in School Life Resulted by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Prospect. Korean J ournal of Youth Studies, 11(3), 199-215. 

  8. Kim, M.R.(2017). Policy Diagnosis and Strategies for Higher Education Innovation(I): Focusing on the Curriculum Innovation. RR 2017-08, Chungcheongbuk-do: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9. Kim, M.S., Song, Y.S., Park, Y.K.(2019). The Effects of Learn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Programs on Core Competency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9(1), 83-100. 

  10. Kim, S.I., Min, C.G.(2013). A Curriculum Model for General Education Aligned with Major.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3), 11-60. 

  11. Lee, J.O.(2017). A Study on the status Operating System of General Education and Improvement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5), 481-517. 

  12. Lee, M.J., Kim, D.S.(2019). A Study on the CQI System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 Focusing on D University in Korea. Culture and Convergence, 41(3), 35-48. 

  13. Lee, S.J., Lee, S.J.(2012). A New Direction of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Through a Case Stud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2), 11-42. 

  14. Nam, M.W., Lee, H.D.(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Criteria in Maj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University : Based on the PDCA Model.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1(3), 289-317. 

  15. Park, I.W.(2009). Educational Status Analysis and Support Policy in Higher Education, RR 2009-02, Seoul: Higher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 

  16. Park, J.H., Choi, H.S., Lee, S.B.(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in Universiti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 1383-1402. 

  17. Park, M.J.(2018). Applying Grounded Theory to Study the Problems and Issues in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University Level.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5(2), 31-55. 

  18. Park, S.H.(2018). Improvement of Students' Satisfaction through Learner-Centered Extracurricular Programs: Focusing on S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3), 1-20. 

  19. Seo, K.T., Yun, Y.K.(2020).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and Departm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7), 163-173. 

  20. Shim, J.C., Youn, S.J., Jung, J.S., Lee, S.Y., Jung, H.J.(2011).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Subject Major Curriculum in Korea. Asian Journal of Education, 12(1), 69-91. 

  21.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University Competency Diagnosis Center. https://uce.kedi.re.kr/introduce1.do 

  22.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 Blog.https://if-blog.tistory.com/4573 

  2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https://www.law.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