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자체교육인증제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al Accreditation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233 - 243  

임광현 (경기대학교 교육인증관리센터) ,  강지혜 (경기대학교 교육인증관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과 스스로 교육과정 전반을 점검할 수 있는 전공교육의 질관리 체계인 A대학교의 자체교육인증제도를 소개하고, 자체교육인증제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질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A대학교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핵심역량 진단도구, 전공과목 강의평가 점수 분석 결과를 인증학과와 비인증학과로 구분하여 학생과 교수자의 교육성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체교육인증제의 효과로 인증추진 학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과정 구성,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지원, 교육과정 개선의 만족도는 비인증 학과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 핵심역량은 자체교육인증을 취득하기 이전보다 취득한 이후에 보다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체교육인증제는 전공과목 강의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자체교육인증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of A University which i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curriculum that allows department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itsel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accreditation improved satisfaction of students in four areas: education goal...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체교육인증제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A대학교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핵심역량 진단도구, 전공과목 강의평가 점수 분석을 통해 학생 및 교수의 교육성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과 스스로 교육과정 전반을 점검할 수 있는 A대학교의 자체교육인증제도를 소개하고 역량기반 교육과정 질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향후 대학의 자체교육인증제를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A대학교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핵심역량 진단도구, 전공과목 강의평가 점수 분석 결과를 인증학과와 비인증학과로 구분하여 학생 및 교수의 교육성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 대학교의 자체교육인증제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예비인증 단계와 본인증 단계를 거친 학과를 대상으로 학생 및 교수의 교육성과를 분석하였 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대학교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 핵심역량 진단도구, 전공과목 강의평가 점수 총 3가지 평가도구를 활용하였으며, 각 평가도구별 점수에 대하여 인증학과와 비인증학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자체인증제도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증학과 및 비인증학과에 개설된 과목들을 대상으로 인증 이전과 이후의 강의평가 점수 추이를 분석하였다[표 9]. 분석은 각 학과의 교육과정 개설 현황을 고려하여 1학기와 2학기를 나누어 진행하였고, 인증이 진행된 2019년을 기준으로 2018년과 2019년의 강의평가 점수를 비교하였다.
  • A대학교는 2017학년도에 모든 학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였고, 모든 교과목에서 역량기반 수업계획서, 교과목 CQI와 학과에서 전공 및 교양 CQI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기초인증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기본체계를 갖추고 점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체교육인증제도의 단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해당 대학의 자체교육인증제는 다양한 학문분야별 외부인증 기준 분석을 통하여 대학 특성과 조건을 고려하여 전공, 교양,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정성적 및 정략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였다. 자체교육인증제도의 단계는 최초인증과 계속인증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초 인증에서 교수진, 공감 및 교육 기자재, 재정, 발전계획 등과 관련된 항목은 필수 평가 항목으로 포함되지 않지만, 학부·과 자율적으로 자체평가보고서에 포함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인증과정을 거친 학과들은 교육과정 운영의 충실성이 높아진 것을 보아 알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여러 선행연구(박민정, 홍성조, 2015; 주재현, 기정 훈, 임형백, 2010)의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맥락과 같이 인증과정을 거친 학과들은 대체적으로 교육과정 운영의 충실성이 높아졌다고 조사되었다[13][14]. 이는 인증제도가 교육목표, 내용선정, 내용조직 등 교육과정 개발부터 교육과정을 평가하여 개선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5]. 본 연구와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볼 때, 대학의 자체교육인증제도는 교육과정의 질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제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 일부 대학에서 자체교육인증 제를 도입하는 이유는? 이러한 맥락에서 국내 일부 대학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내실화 도모 및 질 제고를 위하여 자체교육인증 제를 도입하였다. 자체교육인증제도는 개별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인증대상, 적용범위, 인증단계, 인증영역, 평가기준 등을 개발되어 운영되기 때문에 대학 특성에 따라 운영 방식이 다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지혜, 이병길, 권승아,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설계 전략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제35권, 제2호, pp.527-549, 2019. 

  2. 김대중, 김소영,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핵심역량교육연구, 제2권, 제1호, pp.23-45, 2017. 

  3.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송경진 역, 클라우스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새로운 현재, 2018. 

  4. N. A. Jankowski and L. Giffin, Degree qualifications profile impact study: Framing and connecting initiatives to strengthen student learning, National Institute for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2016. 

  5. 서범종, 하정윤, 강지연, 박태양, "대학 자체교육인증제 개선 방안 모색: A대학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368-377, 2017. 

  6. 강소연, 홍성조, 최금진, 박선희, 조성희, "공학교육인증제도 효과 분석 연구," 공학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59-68, 2015. 

  7. 서울시립대학교 ACE사업, 교육인증체계, Retrieve from https://eduup.uos.ac.kr/eduup/program/edu_abe/intro/intro.do?epTicketLOG 

  8. 중앙대학교 커리큘럼혁신센터, 인증기준, Retrieve from http://ice.cau.ac.kr/model/sub01.asp 

  9. 충북대학교 교육혁신연구원, 인증기준, Retrieve from http://iea.cbnu.ac.kr/index.php/sub03/0301/030103.html 

  10. 박주호, 유기웅,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2호, pp.43-82, 2014. 

  11. 백평구,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A 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431-466, 2012. 

  12. 이태식, 전영준, 이동욱, 장병철, "공학대학 캡스톤디자인 (창의적 공학 설계)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공학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pp.36-50, 2009. 

  13. 박민정, 홍성조, "D대학교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운영성과 분석: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pp.57-65, 2015. 

  14. 주재현, 기정훈, 임형백,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효과성 평가: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졸업생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4권, 제3호, pp.55-78, 2010. 

  15. 조성희, 강소연, "공학교육인증평가가 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58-65, 2012. 

  16. 류태호, "미국 역량중심 교육정책 분석과 국내 역량중심교육에 대한 시사점," 교육공학연구, 제35권, 제2호, pp.289-311, 2019. 

  17. 이희원, 민혜리, "수업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 결과 활용 방안 탐색: S대학의 강의평가 결과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열린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257-283, 2013. 

  18. J. W. Prados, G. D. Peterson, and L. R. Lattuca, "Quality assuarance of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accreditation: The impact of engineering criteria 2000 and its global influen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Vol.94, No.1, pp.165-184, 2005. 

  19. 이은배, 강지혜, 이지연, "체제적 학교혁신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5권, 제2호, pp.325-346, 201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