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예측 요인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on the Determinants Predicting Student Depature of Freshmen: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317 - 330  

이은정 (한림대학교 역량교육평가원) ,  이정훈 (서영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여, 대학 차원에서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대학교의 2018학번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이후 2년 동안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랜덤포레스트 중도탈락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예측모형에는 대학생활적응 요인 6개 변수, 교육만족요인 12개 변수, 총 18개 변수를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안정성, 경제적 여건, 전공진로에 대한 확신, 대학 선택 만족도, 교육방법(교육 내용의 체계성), 교육방법(전공 교육 내용의 효과성)이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중요도 상위 6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이 대학생활에 적응하고 안정적으로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설계의 방향과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main factors for predicting student departure of university freshmen and provide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prevent student departure at the institutional level. For this purpose, a random forest model is developed with the data observed for 2 years at a fou...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도탈락 위험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기인 대학생활 초기에 집중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대학에서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여,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좀 더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도탈락 위험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기인 대학생활 초기에 집중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대학에서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여,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좀 더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S 대학에 2018학년도에 입학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초반기인 입학 이후 2년 동안의 실제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정제영, 선민숙, 정민지,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수준 요인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57-76, 2015. 

  2. 김재웅. "미국 대학생 중도 탈락: 개인 사회구조 대학의 상대적 중요성," 한국교육행정학회, 제10권, 제10호, pp.17-48, 1992. 

  3. 한동욱, 강민채, "교육만족도 관점에서 학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3-71, 2016. 

  4. 반상진, 신현석, 노명순, 조영재, 박민정, 김영상,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 조정 및 대학구조개혁 대책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제20권, 제4호, pp.189-211, 2013. 

  5. https://news.joins.com/article/21674422 

  6. 김안나, 이병식, 장수명, 박남기, 생애능력 형성을 위한고등교육체제의 질관리 현황과 과제, 연구보고서 2002-19-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7. E.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o.7), New York: Norton & Company, 1968. 

  8. 강승호,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교욱평가연구, 제23권, pp.29-53, 2010. 

  9. 권균, "대학에서의 중도퇴학 원인과 그 억제방안," 교육학연구, 제29권, 제3호, pp.235-249, 1991. 

  10. 권혜진,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사이버대 재학생의 중도탈락의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404-412, 2010. 

  11. 박은선, 김광현, "학업중단요인 및 대학생활적응요인이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0호, pp.361-384, 2016. 

  12. 형정은, 김정섭,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중도탈락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7호, pp.189-220, 2016. 

  13. I. Ajzen, T. C. Brown, and F. Carvajal, "Explaining the discrepancy between intentions and actions: The case of hypothetical bias in contingent valu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30, No.9, pp.1108-1121, 2004. 

  14. 김수연,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경로 구조 분석," 교육과학연구, 제43권, 제3호, pp.131-163, 2012. 

  15. Ohio University Office of Institutional Research, Factors associated with first-year student attrition and retention at Ohio University athens campus. Ohio University Office of Institutional Research, 2002. 

  16. M. L. Upcraft, J. N. Gardner, and B. O. Barefoot, Challenging and supporting the first-year student: A handbook for improving the first year of college , Vol.254, San Francisco: Jossey-Bass, 2005. 

  17. T. Hastie, R. Tibshirani, and J. Friedman, "Model assessment and selection. In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Springer, New York, NY. pp.219-259, 2009. 

  18. Winter,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45, No.1, pp.89-125, 1975. 

  19. 이병식, "대학생의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기관 특성의 탐색적 분석," 교육학연구, 제41권, 제2호, pp.135-154, 2003. 

  20. V. Tinto, "College proximity and rates of college attendanc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10, No.4, pp.277-293, 1973. 

  21. V. Tinto,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45, pp.89-125, 1975. 

  22. V. Tinto, Defining dropout: A matter of perspective, In Pascarella, E.T. (Eds.), Studying student attr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982. 

  23. V. Tinto,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for student attr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4. V. Tinto,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25. E. T. Pascarella and P. T. Terenzini,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San Francisco: Jossey-Bass, 1991. 

  26. J. P. Bean and B. S. Metzner, "A conceptual model of nontraditional undergraduate student attri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55, No.4, pp.485-540 1985. 

  27. J. Stoecker, E. T. Pascarella, and L. M. Wolfle, "Persistence in higher education: A 9-year test of a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29, No.3, pp.196-209, 1988. 

  28. 허영주, "개인요인과 대학교육요인이 대학생의 중도 탈락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제9권, 제1호, pp.503-512, 2019. 

  29. 박은주, 이혜경, "신입생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제46권, pp.91-111, 2016. 

  30. 김경욱, 조윤희,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875-900, 2011. 

  31. 김광현, 강성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253-293, 2016. 

  32. 성소연, 배성아, "대학환경 및 개인특성 요인이 대학 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565-586, 2017. 

  33. 전보라, 윤소정, "대학 신입생, 그들의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대학생활적응 경험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3호, pp.731-742, 2017. 

  34. 정승환, 정지연, "대학생 선후배간 코칭의 효과성 분석: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을 중심으로," 코칭연구, 제12권, 제4호, pp.35-57, 2019. 

  35. G. W. Dekker, M. Pechenizkiy, and J. M. Vleeshouwers, Predicting students drop out: A case study,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Educational Data Mining, 2009. 

  36. P. Fidler and P. Moore, "A comparison of effects of campus residence and freshman seminar attendance on freshman dropout rates," Journal of The First-Year Experience & Students in Transition, Vol.8, No.2, pp.7-16, 1996. 

  37. P. A. Murtaugh, L. D. Burns, and J. Schuster, "Predicting the re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40, No.3, pp.355-371, 1999. 

  38. 김나미, 김효원, "대학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동료 멘토링 활용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12호, pp.875-900, 2015. 

  39. 김민순, 심재영, "대학생활 부적응 예방을 위한 학생 케어링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C 대학교 사례연구," 교정상담학연구, 제4권, 제1호, pp.73-90, 2019. 

  40. 유상석, "여가 스포츠 프로그램을 통한 신입생 중도 탈락 예방 프로그램,"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제21권, 제1호, pp.65-75, 2013. 

  41. 이경아, 양현전, 한종철,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학술대회자료집, pp.409-410, 2004. 

  42. 이필남, "여대생의 재학기간 연장과 중도탈락 결정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1호, pp.207-233, 2012. 

  43. 박우정, 최바울,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른 중도탈락의도,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차이," 청소년학연구, 제27권, 제7호, pp.183-209, 2020. 

  44. 이정기, "대학생 학업 중단 의도 결정요인 분석을 통한 학교 부적응, 학업중단 예방 전략의 제안 - 스트레스, 외로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4권, 제3호, pp.1-24, 2018. 

  45. 천석준, 김영아, "Tinto 의 [분리-전환-통합] 모델에 입각한 대학생활적응검사 I.I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8권, 제2호, pp.235-262, 2011. 

  46. 연보라, 장희원, "대학생의 중도탈락 시기 및 영향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제25권, 제1호, pp.129-155, 2015. 

  47. R. Servier, Image is everything: Strategies for measuring, changing, maintaining your institution's image, Stamat Communications, INC. White paper No.1, 1994. 

  48. 노혜란, 최미나, "학생의 중도탈락 영향 요인 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안: S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1권, 제1호, pp.89-107, 2008. 

  49. 최길순,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 광역시 D 대학을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제3권, 제1호, pp.95-118, 2010. 

  50. 임준묵,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05-115, 2020. 

  51. R. M. Brown and T. W. Mazzarol,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image to student satisfaction and loyalty with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58, No.1, pp.81-95, 2009. 

  52. G. G. Yu and J. H. Kim,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quality of college life in the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relationship," Applied Research Quality Life, Vol.3, pp.1-21, 2008. 

  53. K. L. Anderson, "The impact of colleges and the involvemen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Sociology of Education, Vol.61, No.3, pp.160-177, 1988. 

  54. 강명희, 이은경, 이응택,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의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청소년문화포럼, 제58권, pp.5-30, 2019. 

  55. K. M. lliot and D. Shin, "Student satisfacti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assessing this important concept,"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Vol.24, No.2, pp.197-209, 2002. 

  56. 손홍준, "대학교육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556-567, 2016. 

  57. H. R. Varian, "Big data: New tricks for econometric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28, No.2, pp.3-28, 2014. 

  58. L. Breiman,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Vol.26, pp.123-140, 2001. 

  59. 박창이, 김용대, 김진석, 송종우, 최호식, R을 이용한 데이터 마이닝(개정판), 서울: 교우사, 2013. 

  60. 유진은, "랜덤 포레스트: 의사결정나무의 대안으로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 교육평가연구, 제28권, 제2호, pp.427-448, 2015. 

  61. C. Strobl, J. Malley, and G. Tutz, "An introduction to recursive partitioning: rationale, appl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bagging, and random forests," Psychological Methods Vol.14, No,4, pp.323-348, 2009. 

  62. 오영재, "대학간 학생이동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3권, 제1호, pp.327-356, 2005. 

  63. 진성희, 김휸희,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력이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20호, pp.805-824, 2019. 

  64. 오은주, "자율전공학과 현황분석과 운영방안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제3호, pp.183-191, 2019. 

  65. 홍성연,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 제14권, 제1호, pp.271-295,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