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기계 학습 기반 추천 시스템 구현 방안
Implementation of a Machine Learning-based Recommender System for Preventing the University Students' Dropou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0, 2021년, pp.37 - 43  

정도헌 (덕성여자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도탈락 패턴을 식별하는 효과적인 자동 분류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지능형 추천 시스템의 구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 실제 대학생의 재학/제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 학습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처리 방안을 제안하고, 2) 5종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능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3) 실험 결과, 제안 기법베이스라인에 비해 모든 알고리즘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제적생의 식별 정확률(precision)은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를 사용할 때 최대 95.6%, 제적생의 재현율(recall)은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를 사용할 때 최대 80.0%로 측정되었다. 4)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탈락 가능성이 높은 학생을 우선 상담하는 추천 시스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T 분야의 기술을 활용하는 융합 연구를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an effective automatic classification technique to identify dropout patter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based on this, an intelligent recommender system to prevent dropouts. To this end, 1) a data processing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 was proposed base...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5)

  1. J. Y. Chung, M. Sun & M. J. Jeong. (2015). An Analysis of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on College Dropout Rate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4), 57-76. URI : https://hdl.handle.net/10371/95751 

  2. D. H. Jeong & J. Y. Park. (2021). Data Analysis of Dropouts of College Students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5(1), 88-95. DOI : 10.6109/jkiice.2021.25.1.88 

  3. P. Perchinunno, M. Bilancia, & D. Vitale. (2021). A Statistic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igher Education Dropou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56, 341-362. DOI : 10.1007/s11205-019-02249-y 

  4. M. Kang, E. Lee & E. Lee. (2019). Trend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In Forum for Youth Culture, 58, 5-30. DOI : 10.17854/ffyc.2019.04.58.5 

  5. C. Park. (2020).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to Improve Dropout of Cyber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7), 380-390. DOI : 10.5762/KAIS.2020.21.7.380 

  6. E. J. Lee, Y. Song, J. H. Kim & S. H. Oh. (2020). An Exploratory Study on Determinants Predicting the Dropout Rate of 4-year Universities Using Random Forest: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Level Facto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6(1), 191-219. 

  7. H. J. Kim, H. S. Lee, B. J. Choi, & Y. H. Kim. (2019). Machine Learning-based Quality Control and Error Correction Using Homogeneous Temporal Data Collected by IoT Sens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4), 17-23. DOI : 10.15207/JKCS.2019.10.4.017 

  8. D. H. Jeong. (2017). Prescriptive analytics system design fusing automatic classification method and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4), 33-57. DOI : 10.3743/KOSIM.2017.34.4.033 

  9. S. Zhang, L. Yao, A. Sun, & Y. Tay. (2019). Deep Learning Based Recommender System: A Survey and New Perspectives. ACM Computing Surveys, 52(1), 1-38. DOI : 10.1145/3285029 

  10. K. Lepenioti, A. Bousdekis, D. Apostolou, & G. Mentzas. (2020). Prescriptive analytic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challenges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50, 57-70. DOI : 10.1016/j.ijinfomgt.2019.04.003. 

  11. S. Goswami & A. Chakrabarti. (2012). Quartile Clustering: A quartile based technique for Generating Meaningful Clusters. Journal of Computing, 4(2), 48-55. arXiv: 1203.4157 

  12. R. Bai, X. Wang, & J. Liao. (2010). Extract Semantic Information from WordNet to Improve Text Classification Performance. AST 2010, ACN 2010: Advances in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409-420 DOI : 10.1007/978-3-642-13577-4_36 

  13. A. Kehagias, V. Petridis, V. G. Kaburlasos, & P. Fragkou. (2003). A Comparison of Word- and Sense-Based Text Categorization Using Several Classification Algorithms. Journ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21, 227-247. DOI : 10.1023/A:1025554732352 

  14. A. Stavrianou, C. Brun, T. Silander, & C. Roux. (2014). NLP-based feature extraction for automated tweet classificatio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s between Data Min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1202, 145-146. https://aclanthology.org/2020.nlpcovid19-acl.17.pdf 

  15. D. H. Jeong. (2019). Enhancing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emporal Keyword Data by Using Moving Average-based Dynamic Time Warp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4), 83-105. DOI : 10.3743/KOSIM.2019.36.4.0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