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티렌이 흰쥐의 간 조직 중 항산화계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yrene on Hepatic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Ra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678 - 687  

이종렬 (백석문화대학교 보건행정과) ,  김동훈 (경북도립대학교 응급구조과) ,  이상민 (경북도립대학교 응급구조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티렌은 플라스틱과 같은 생활용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건강에 위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스티렌이 간 조직 중 항산화계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50 mg/kg, 200 mg/kg 및 400 mg/kg 용량을 4일 동안 1일 2회 복강 투여하였다. 혈청 ALT 및 AST 활성 변동은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약 1.2배 (p<0.05) 및 약 43.3% (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투여용량이 증가할수록 간손상이 심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MDA 함량 변동은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약 37.1% (p<0.05) 증가하였고, XO 활성도는 200 mg/kg 투여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약 15.2% 증가하였고, CYPdAH 활성도는 약 40.4% (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생성된 과잉의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기 위한 항산화계 효소인 GPx, CAT, SODGST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약 33.0% (p<0.05), 약 41.2% (p<0.05), 약 47.2% (p<0.05) 및 약 27.6% (p<0.05)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SH 함량은 200 mg/kg 투여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34.5% (p<0.05)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소모된 GSH 함량은 스티렌과 스티렌 중간대사산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스티렌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과잉의 활성산소종과 독성 중간대사산물에 의해 간 손상이 유발되었고, 이는 해독에 관여하는 항산화 효소계와 불균형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yrene is a commercially important chemical used mainly in the production of raw materials and plastic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yrene on hepatic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styrene was treated to Sprague-Dawley rats at 50 mg/kg, 200 mg/kg and 400 mg/kg (i.p) twice a day for 4 days. Th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 스티렌을 반복적으로 투여하여 폭로시킨 후 혈청 중 ALT (alanine aminotansferase) 및 AST (aspartate aminotran- sferase)의 활성 정도를 확인하고, 간 조직 중의 malondialdehye (MDA) 함량 변동과 활성산소의 생성계 효소 및 해독계 효소 활성변동을 상호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 K. Wilson, S. M. Rovertson, H. A. Waldron, and D. Gompertz, "Effect of alcohol on the kinetics of mandellic acid excretion in volunteers exposed to styrene vapour,"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Vol.40, No.1, pp.75-80, 1983. 

  2. N. Cherry and D. Gautrin, "Neurotoxic effects of styrene,"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Vol.47, No.1, pp.29-37, 1990. 

  3. 노동부, 건강진단 실무지침, 제3권, 유해인자별 건강장해, 2006. 

  4. M. P. Guillemin and M. Berode, "Biological monitoring of styrene: A Review,"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Vol.49, No.10, pp.497-505, 1988. 

  5. R. Husain, S. P. Srivastava, M. Mushtag, and P. K. Seth, "Effect of styrene on levels of serotonin, noradrenaline, dopamine, and acitivity of acetyl cholinesterase and monoamine oxidase in rat brain," Toxicology Letters, Vol.7, No.1, pp.47-50, 1980. 

  6. G. H. Lee, S. W. Jin, S. J. Kim, T. H. Pham, J. H. Choi, and H. G. Jeong, "Tetrabromobisphenol a induces MMP-9 expression via NADPH oxidase and the activation of ROS, MAPK, and Akt pathways in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Toxicological Research, Vol.35, No.1, pp.93-101, 2019. 

  7. H. Xul, C. Li, O. Mozziconacci, R. Zhu, Y. Xu, Y. Tang, R. Chen, Y. Huang, J. M. Holzbeiberlein, C. schoneich, J. Huang, and B. Li, "Xanthine oxidase-mediated oxidative stress promotes cancer cell-specific apoptosi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Vol.139, No.1, pp.70-79, 2019. 

  8. H. B. Kim and B. S. Yoo, "Propolis inhibits UVA-induced apoptosis of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by scavenging ROS," Toxicological Research, Vol.32, No.4, pp.345-351, 2016. 

  9. A. J. Kattoor, A. Goel, and J. L. Mehta, "LOX1: regulation, signaling and its role in athero-sclerosis," Antioxidants, Vol.8, No.7, pp.218-223, 2019. 

  10. 이창희, 전진호, 박준한, 강동묵, 김대환, 문덕환, 이채언, "한국인의 스티렌 대사와 관련된 Cytoc-hrome P450 II E1의 유전적 다형성,"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61-173, 1999. 

  11. Y. J. Chun, H. M. Lee, J. H. Han, and Y. K. Oh, "Styrene-mediated oxidative stresses in rat sperm cells," Toxicological Research, Vol.2, No.2, pp.129-134, 2005. 

  12. G. P. Carlson, "Comparison of the susceptibility of wild-type and CYP2E1 knockout mice to the hepatotoxic and pneumotoxic effects of styrene and styrene oxide," Toxicology Letters, Vol.150, No.3, pp.335-339, 2004. 

  13. M. G. Gadberry, D. B. DeNicola, and G. P. Carlson, "Pneumotoxicity and hepatotoxicity of styrene and styrene oxide,"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ornmental Health, Vol.48, No.3, pp.273-294, 1996. 

  14. G. P. Carlson, M. Turner, N. A. Mantick, M. Turner, and N. A. Mantick, "Effect of styrene and styrene oxide on glutathione-related antioxidant enzymes," Toxicology, Vol.227, No.3 pp.217-226, 2006. 

  15. S. Reitman and S. Frankel,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Vol.28, No.1, pp.56-63, 1957. 

  16. H. Ohkawa, N. Ohishi, and K. Yagi, "Assay for lipid peroxide in animal tissue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ytical Biochemistry, Vol.95, No.1, pp.51-358, 1979. 

  17. J. G. Yoon, "A modified colorimetric assay for xanthine oxidase in rat liver extracts," Keimyung College Research, Vol.2, pp.295-308, 1984. 

  18. W. R. Bidlack and G. L. Lowery, "Multiple drug metabolism: p-nitroanisole reversal of acetone enhanced aniline hydroxylation," Bio-chemical Phamacology, Vol.31, No.3, pp.311-317, 1982. 

  19. D. E. Paglia and W. N. Valentine,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s glutathione peroxidase," Clinical 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Vol.70, No.1, pp.158-169, 1967. 

  20. H. Aebi,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NewYork: Academic Press, Vol.2, No.1, pp.35-43, 1974. 

  21. J. P. Martin, M. Dailey, and E. Sugarman, "Ngative and positive assays of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hematoxylin autoxidation,"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Vol.255, No.2, pp.329-336, 1987. 

  22. W. H. Habig, M. J. Pabst, and W. B. Jakoby,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first enzymatic step in mercapturic acid and formatio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49, No.2, pp.7130-7139, 1974. 

  23. G. L. Ellman, "Tissue sulfhydryl groups,"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Vol.82, No.1, pp.70-77, 1959. 

  24. O. H. Lowry, N. J. Rosebrough, A. L. Farr, and R. J. Randall,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193, pp.265-275, 1951. 

  25. A. Kaukiainen, T. Vehmas, K. Rantala, M. Nurminen, R. Martikainen, and H. Taskinen, "Results of common laboratory tests in solvent exposed worker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Vol.77, No.1, pp.39-46, 2004. 

  26. 허경화, 구정완, 원용림, 김민기, 고경선, 이미영, 김태균, 김기웅, "만성적인 스티렌 노출 근로자에 있어 대사증후군 유발에 관여하는 위험요인의 생리적 수준변화,"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19권, 제1호, pp.30-38, 2009. 

  27. 이상규, 정태천, "ICR 마우스 수컷에서 1-brom-opropane 에 의한 cytochrome 4502E1의 유도," 환경독성보건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13-218, 2009. 

  28. S. Liu1, Y. Yao, S. Lu, K. Aldous, X. Ding, C. Mei1, and J. Gu, "The role of renal proximal tubule P450 enzymes in chloroform induced nephrotoxicity: utility of renal specific P450 reductase knockout mouse models,"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Vol.272, No.1, pp.230-237, 2013. 

  29. B. M. Moukette1, C. A. Pieme, P. C. N. Biapa, V. J. A. Moor, E. Berinyuy, and J. Y. Ngogang, "Afrostyrax lepidophyllus extracts exhibit in vitro free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potential and protective properties against liver enzymes ion mediated oxidative damage," BMC Research Notes, Vol.8, No.1, pp.344-356, 2015. 

  30. S. Gopia, R. Vaddea, and O. H. Settya, "Protectiv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Phyllan-thus fraternus against bromobenzene induced changes on cytosolic glutathione S-transferase isozymes in rat liver," Biochemisrty and Biophysics Reports, Vol.10, No.1, pp.208-214, 2017. 

  31. T. Green, R. Lee, A. Toghill, S. Meadwcroft, V. Lund, and J. Foster, "The toxicity of styrene to the nasal epithelium of mice and rats: studies on the mode of action and relevance to humans,"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Vol.137, No.2, pp.185-20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