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정책 실패의 교훈으로서 '정책학습'에 관한 연구 : 교원성과급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Policy Learning' as a Lesson of Education Policy Failure : Focusing on the case of Teacher Incentive Poli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221 - 233  

송경오 (조선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이 연구는 교육정책의 반복적인 정책실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현상을 규명하려는 학술적 노력이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정책학습이라는 관점에서 교육정책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이 수립된 지 20여 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정부와 교원단체 간에 갈등이 심각한 교원성과급 정책을 정책 분석사례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원성과급 정책은 김대중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총 11차에 걸친 정책 내용의 변화가 있었다. 정부가 새롭게 출범할 때마다 교원성과급 정책은 내용에 변화가 생겼을 뿐만 아니라, 동일 정부 시기 동안에도 정책변화는 지속되었다. 둘째, 각 정부별 정책 내용의 변화 단계에서 어떠한 정책학습이 있었는지를 분석하였을 때, 대부분 '정치적 정책학습'과 '도구적 정책학습'이 이루어졌다. 즉, 정책의 목표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보다는 교원성과급 정책의 옹호를 위해 차등지급의 비율을 조정하는 정책학습을 이어왔다. 이와 같은 현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교원성과급 정책의 기본적인 가치와 전략을 검토하는 '사회적 정책학습'을 통해 경직된 교직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적인 정책 제시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changes in educational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learning,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lack of academic efforts to identify such phenomena despite repeated policy failures in educational policy. To this end, it has been more than 20 years since the p...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잦은 정책실패는 결국 교육현장의 혼란을 야기시키고, 사회적이고 경제적 비용도 증가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일이 지금 시점에서 필요하다. 정책학습의 관점에서 분석틀을 수립하고, 교원성과급 정책사례를 통해 정책이 왜 실패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정책학습의 관점에서 탐색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정책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유훈, "정책학습과 정책변동,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제44권, 제3호, pp.93-119, 2006. 

  2. R. F. Elmore, "Organizationed Models of Social Program Implementation," Public Policy, Vol.26, No.2, 1978. 

  3. 안병철, "의약분업 정책변동과 정책실패: 정책 어그러짐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1호, pp.41-124, 2002, 

  4. P. Hall,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s, A Presented to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1988. 

  5. 노화준, "정책개혁과정에 있어서 정책평가의 쟁점과 정책학습," 행정논총, 제35권, 제2호, pp.31-55, 2007. 

  6. 김주환, "정책연구의 유용성을 위한 정책학습: 연구방향과 영향요인,"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0권, 제2호, pp.51-76, 2010. 

  7. 김경윤 외, "교원성과급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대처방식: 근거이론연구," 교육학연구, 제50권, 제1호, pp.161-192, 2012. 

  8. 이쌍철, 홍창남, "교원성과급 정책집행의 순응 및 불응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6권, 제4호, pp.217-240, 2008. 

  9. H. Helco, Modern Social Politics in Britain and Sweden, New Heaven: Yale University, 1974. 

  10. 유훈, 정책집행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7. 

  11. P. J. May, "Policy Learning and Failure," Journal of Public Policy, Vol.12, No.4, pp.331-354, 1992. 

  12. P. Glasbergen and R. Smits, "The policy laborator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new learning context for environmental scient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Vol.4, No.1, pp.57-74, 2003. 

  13. J. C. Bennett and M. Howlett, The lessons of learning: Reconciling theories of policy learning and policy chan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1. 

  14. C. B. Jensen and R. Markussen, "The unbearable lightn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organizations,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complexities of learning in theory and practice," Learning Inquiry, Vol.1, No.3, pp.203-218, 2007. 

  15. 조서형, 엄태호, "청원.청주 통합의 정책형성과정분석: 정책학습을 통한 이해관계자 신념체계 변화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제31권 제4호, pp.275-311, 2017. 

  16. M. Visser and K. Togt, "Learning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A theory of action approach," Public Organization Review, Vol.16, No.2, pp.235-249, 2016. 

  17. 강황선, "정책학습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성과평가 제도: 지방자치단체장들을 위한 동기부여강화,"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6권, 제2호, pp.27-56, 2006. 

  18. 김달효, "교원성과급의 효용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4권, 제1호, pp.277-298, 2013. 

  19. 박창화, "성과급제도의 발달에 관한 행정사적 고찰: 교원성과급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지, 제27권, pp.55-79, 2010. 

  20. 김희규, 김경윤, "교원성과금제도의 정책수용도에 관한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제18집, 제1호, pp.39-59, 2011. 

  21. 조혜진, "교원평가제와 교원성과급제 정책결정의 딜레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1호, pp.185-208, 2007. 

  22. 송기창, "미국 휴스톤 교육구의 교직원 성과급제도 고찰," 교육연구, 제20권, 제5호, pp.63-85, 2010. 

  23. 주현준, 전제상, "미국과 영국의 교원성과급제도 운영사례와 시사점," 한국교육논단, 제9권, 제3호, pp.59-81, 2010. 

  24. 홍사춘, 류지훈, "학교수준학업성취도에 대한 미네소타 교원성과급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교사 교육연구, 제50권, 제2호, pp.119-137, 2011. 

  25. R. K. Yin,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Revised), Sage Publications, 1989. 

  26. 강은숙, 이달곤, "정책사례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 행정논총, 제43권, 제4호, pp. 95-121, 2005. 

  27. A. T. Birkland, After Disaster: Agenda setting, public policy, and focusing event,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97. 

  28. 홍영식, "우리나라 언론에 나타난 기후변화 거버 넌스 연구 : 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38-56, 2019. 

  29. 최믿음, 태보라, "국내 신문의 '스캔들' 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98-109, 2017. 

  30. D. Riffe, S. Lacy, and F. G. Fico, Analyzing media message: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05. 

  31. K. Krippendorff,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2004. 

  32.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2001. 

  33. 동아일보, "충남교사들 차등 성과급 철회 요구," 동아일보, 2001.9.23. 

  34. 연합뉴스, "충북서도 교사 성과급 반납 잇따라," 연합뉴스, 2001.9.24. 

  35. 국민일보, "전교조 10일 대규모 조퇴투쟁", 국민일보, 2001.10.9. 

  36. 연합뉴스, "전교조 27일 집단 연가, 집회 강행," 연합뉴스, 2001.10.25. 

  37. 연합뉴스, "전교조, 파업도 불사," 연합뉴스, 2001.10.29. 

  38. 연합뉴스, "교총, 교육정책 규탄 대규모 집회," 연합뉴스, 2001.11.10. 

  39.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 지침, 2002. 

  40. 동아일보, "철밥통 교직-교사평가제 시급하다," 동아일보, 2005.3.13. 

  41. 세계일보, "교사성과급, 외국에선 어떻게 하나," 세계일보, 2005.5.2. 

  42. 매일신문, "나눠먹기식 교원성과급 지급," 매일신문, 2005.8.2. 

  43. 경향신문, "교원성과급 나눠먹기 전략," 경향신문, 2005.8.3. 

  44. 경향신문, "성과없이 끝난 전교조 성과급 투쟁," 경향신문, 2007.1.31. 

  45.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2010. 

  46.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2011. 

  47. 충청일보, "설익은 학교성과급제 운영에 대한 비판," 충청일보, 2011.4.12. 

  48. 연합뉴스, "교사 상여금 주려고 강제 방과후 수업," 연합뉴스. 2011.9.25. 

  49. 교육부, 교육공무원 승진규정 개정안, 2015. 

  50. 교육부, 2016년도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 지침, 2016. 

  51. 국민일보, "교사 94% 성과급제 효과 없다," 국민일보. 2016.7.4. 

  52. 동아일보, "교육감도 교원성과급제 폐지 가세," 동아일보, 2016.11.24. 

  53. 한국교육신문, "유은혜, 교원성과제급 폐지 검토 해야," 한국교육신문, 2016.9.30. 

  54. 국민일보, "조희연 "교사의 열정, 돈으로 살 수 없다"...교원성과급제 재검토 주장," 국민일보, 2017.6.5. 

  55.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56. 한국교육신문, "차등성과급 폐지 인사혁신처에 요구," 한국교육신문, 2018.2.5. 

  57. B. Levitt and J. G. March, "Organizational Learning,"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14, 1988. 

  58. J. G. March, "The Evolution of Evolution," Joel A. C. Baum and Jitendra V. Singh(eds.). Evolution Dynamics of Organiz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59. 송하진, 김영평, 정책성공과 실패의 대위법, 경기: 나남출판, 2006. 

  60. 임도빈, "한국 행정현상에 대한 설명모델을 찾아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4권, 제1호, pp.1-30, 2007. 

  61. Agyris, Chris and Donald Shon, Organizational learning: A Theory of Action Perspective, 2nd ed. Reading, MA: Addison Wesley,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