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담습지 식생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in Gudam Wetlan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3 no.2, 2021년, pp.133 - 143  

이일원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  김기대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수계의 하도습지인 구담습지의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식생의 수직적 구조에 따라 군락 특성을 파악하여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구담습지 식물군락은 식생상관적 분류를 통해 총 19개의 군락이 나타났으며, 식생 수직구조에 따라 교목 우점 군락, 관목 우점 군락, 초본 우점 군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군락 특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 우점 군락이 가장 높았으나 가시박과 같은 외래식물의 유입으로 종다양도 감소가 우려되었다. 관목 우점 군락은 관목식물의 종수에 의해서 종다양도 지수가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초본 우점 군락은 종다양도 지수에 의해 습생초지 군락과 건생초지 군락으로 나뉘었고, 인위적인 교란으로 인한 종다양도 지수 감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중요치는 교목 우점 군락에서는 교목성 버드나무속이 가장 높았고, 관목 우점 군락에서는 족제비싸리와 같은 외래식물의 중요치가 높았다. 또한, 초본 우점 군락에서는 달뿌리풀과 같은 습생초지식물이 높았다. 서열법에 따른 분석결과, 교목 우점 군락과 관목 우점 군락은 외래식물 종수에 의해서 군락이 분화되었고, 초본 우점 군락은 계층 수와 경사도에 의해서 군락이 분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Gudam wetland, a riparian wetland in Nakdong River basin,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veritical structure to prepare management plan. In the Gudam wetland, a total of 19 plant communities were found ...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22)

  1. Ann, BY, Kim, TM, Hong, SJ, Kim, GH, Kim SJ, Kim JG and Kim, HS (2014). Study on River Management Plan Considering Ecological Preservation and Flood Control of Riverine Wetland,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4), pp. 463-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https://doi.org/10.17663/JWR.2014.16.4.463 

  2. Brower, JE, Zar, JH and von Ende, CN (1998).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Kane, KT,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USA. 

  3. Cho, H (2009). Sand-gravel bars of mountainous rivers and their genetic association with geomorphological traits of drainage basin-Case study of some major rivers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n Literature] 

  4. Chun, SH, Ko, SH, Ahn, HK and Chae, SK (2011). Naturalness Assessment of Riverine Wetland by Vegetational Prevalence Index,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3(3), pp. 535-5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https://doi.org/10.17663/JWR.2011.13.3.535 

  5. Gong, GJ (2005). A study on the Wetland Classification in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Ocean Policy Research, 20(1), pp. 97-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ng, YH (2012). Fish fauna and structural change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Ph.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KD (2007). A Study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nsan Reclaimed Wetland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4), pp. 318-3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TM, Hong, SJ, Kim, JW, Kim, JG and Kim, HS (2015). Function Assessment of Imjin Riverine Wetland by Modified HGM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14), pp. 128. [Korean Literature] 

  9. Kwon, DH (2006). Results of the Research on Korea's Wetlands and Tasks.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3(1), pp. 25-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JE, Kim, JS (2001).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of Gudam Swamp(Andong, Gyeongsanbuk-do),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3(1), pp. 19-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JI, Lee, GS, Ahn, HK and Ha, SR (2011). Estimation of Habitats Suitability Index based on Hydraulic Condition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3(1), pp. 149-1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https://doi.org/10.17663/JWR.2011.13.1.149 

  12. Lee, YK, Kim, JW (2005).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Keimyung University Press.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1). Guideline of National Wetland Survey Protocol,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9). Nakdong River Major Wetlands Survey Report (2009.10): Geomam Wetland, Gudam Wetland, Haepyeong Wetland, Dalseong Wetland,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0). 4 Rivers Guide. http://www.riverguide.go.kr. [Korean Literature] 

  16. National Intitute of Ecology (2015).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National Intitute of Ecology. [Korean Literature] 

  17. Park, EJ, Kim, SH and Yun, KS (2005). Geomorphic Landscape of Riverine Wetland in the Large River Upper Stream, Korea Peninsula-The case of Riverine Wetland in the Youngsan River Upper Stream-,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39(4), pp. 469-4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YS, Song, HK, Yee, S and Lee, MJ (2001). An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with DCCA in the Valley Part of Kyeryo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0(3), pp. 249-2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Sakio, H, Nakamura, F, Oshima, Y (1995). Overview of studies on riparian veget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Japanese Journal of Ecology, 45, pp. 291-294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0. Woo, HS, Park, MH, Cho, KH, Cho, HJ, Chung, SJ (2010). Recruitment and Succes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Alluvial River Regulated by Upstream Dams-Focused on the Nakdong River Downstream Andong and Imha Dam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5), pp. 455-4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https://doi.org/10.3741/JKWRA.2010.43.5.455 

  21. Yeom, JH, Kim, TS (2016). Improvement of Functional Assessment for Riverine Wetlands using HGM Approach,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4), pp. 378-3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https://doi.org/10.17663/JWR.2016.18.4.378 

  22. Yeon, JI (2004). The study of vegetation diversity and bird biotope on stream channel characters in Geum-River, MA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