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쇼핑 AR기술의 편리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매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R Technology's Convenience on Purchasing Intentions in Mobile Shopping: Focusing on the Regulation Effect of Purchase Satisfac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5, 2021년, pp.41 - 46  

이사정 (호남대학교 경영학과) ,  경성림 (호남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코로나로 인해 언텍트 환경이 조성되면서 모바일 쇼핑환경에서 AR기술의 편의성이 사용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매만족도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SPSS에 의한 가설점증 결과, 편리성은 구매의도와 구매만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구매만족도는 편리성과 구매의도 간에 부분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는 모바일 쇼핑에서 사용자에게 AR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신뢰를 높이고, 즐거움을 제공해 사용자들이 구매의도를 유발할 수 있으며, 언택트 마케팅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entered on mobile phone purchasers, verifies the effect of AR technology's convenience in consumer mobile shopping on consumers' intentions by focusing on the regulation effect of purcha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of SPSS, convenience has a positive (+) e...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9)

  1. J. H. Lee & S. I. Kim. (2021). Evaluation of User Experience in AR-based shopping Appli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1), 1-10. 

  2. eMarketer. (2018.1.30). Augmented reality poised to eclipse virtual reality. https://www.emarketer.com/content/augmented-reality-poised-to-eclipse-virtual-reality?ecidNL1001 

  3. E. Pantano & R. Servidio. (2012). Modeling Innovative Points of Sales Through Virtual and Immersive Technologi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9(3), 279-286.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12.02.002 

  4. Z. Jiang & I. Benbasat. (2007). The Effects of Presentation Formats and Task Complexity on Online Consumers' Product Understanding. Mis Quarterly, 31(3), 475-500. https://doi.org/10.2307/25148804 

  5. S. G. Baek, J. H. Lee, H. J. Ahn & J. S. Chae. (2011). Cultural Symbolic Approach to AR Advertising Content. A collection of Korean French Studies, 73, 295-312. 

  6. S. N. Yoon.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rend and Utiliz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the Trade Expo Industry. MICE Tourism Study, 34, 121-135. 

  7. J. Scholz & A. N. Smith. (2016). Augmented Reality: Designing Impressive Experiences that Maximize Consumer Engagement. Business Horizons, 59(2), 149-161. https://doi.org/10.1016/j.bushor.2015.10.003 

  8. L. G. Brown. (1990), Convenience in Services Marketing.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4(1), 53-59.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2505 

  9. L. L. Berry. (2000). Cultivating Service Brand Equit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Winter), 128-137 https://doi.org/10.1177/0092070300281012 

  10. B. N. Choi & K. I. Han. (2018). The Effects of Mobile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hopping Valu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8), 89-98. DOI : 10.14400/JDC.2018.16.8.089 

  11. S. B. Kim & S. C. Seol.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Hospital Convenience Orientation on Customer's Convenience and Perception of Performance. Marketing Management Study, 10(2), 1-22. 

  12. C. M. Chiu, C. C. Cheng, H. L. Cheng & Y. H. Fang. (2009). Determinants of customer repurchase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Online Information Review, 33(4), 761-784. 

  13. K. L. Wakefield & J. G. Blodgett. (1999). Customer response to intangible and tnagible service factors. Psychology & Marketing, 16(1), 51-68. https://doi.org/10.1002/(SICI)1520-6793(199901)16:1 3.0.CO;2-0 

  14. S. Gounaris, S. Dimitriadis & V. Stathakopoulos. (2010).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n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s in e-shopping.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24(2), 142-156. https://doi.org/10.1108/08876041011031118 

  15. E. J. Lee & J. W. Kim. (2011). A Study on Fashion Consumer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Purchase Satisfaction, Intention to Recommend and Intention to Switch by Internet Shopping Mall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e, 35(8), 890-905. 

  16. H. H. Chang & H. W. Wang. (2011).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perceived value on online shopping behaviour. Online Information Review, 35(3), 333-359. https://doi.org/10.1108/14684521111151414 

  17. S. H. An. (2020). ffects of Mobile Shopping Tendencies and Information Search on the Shopping Mall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8), 469-478. 

  18. H. N. Kim. (2008). The Impact of Postponing Decision on Shopping Emotions and Shopping Mall Satisfaction during Internet Shopping. Asia Marketing Journal, 10(1), 133-160 

  19. J. S. Lee. (2020).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and Use Behavior of Mobile Navigation Ser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3), 111-1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