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미대출 도서 추천시스템 구현 : 대구 D도서관을 중심으로
Implementation of the Unborrow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for Public Libraries: Based on Daegu D Librar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5, 2021년, pp.175 - 186  

진민하 (한동대학교 경영학) ,  정승연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  조은지 (영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이명훈 (경북대학교 수학과) ,  김건욱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빅데이터활용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반면, 내부적으로는 편향된 도서 대출로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공공도서관에서 인기도서 위주의 도서 추천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나, 이용자가 접할 수 있는 도서의 다양성은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만족을 제고하기 위해 공간적으로는 대구시 두류도서관으로 한정하여 대출이력 자료(213,093건), 회원정보(35,561명) 등을 활용하여 군집분석토픽 모델링, 콘텐츠 기반 필터링 추천 알고리즘으로 공공도서관 미대출 도서 추천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제 이용자들의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대출 도서 추천시스템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다수의 이용자들이 높은 만족도로 응답하였으며, 특정 성·연령대, 직업, 평소 독서량 등으로 분류된 계층에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편향된 도서 대출, 운영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를 일부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연구의 한계점 또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les and functions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are diversifying, but various problems have emerged due to internally biased book lending. In addition,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ublic libraries have introduced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focusing on popular books, but the variety ...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2)

  1. Y. S. Kim. (2007). A Study on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in Korea: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Small Public Libraries in the UK.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29-48. DOI : 10.16981/kliss.38.1.200703.29 

  2. Y. J. Shin & Y. H. Noh. (2020). A Study on the Program Structure and Activation Pla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4(1), 89-114. DOI : 10.4275/KSLIS.2020.54.1.089 

  3. W. S. Kim. (2019). Content Recommendation Techniques for Personalized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8), 95-104. DOI : 10.14400/JDC.2019.17.8.095 

  4. H. Y. Cho. (2017). A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Using Auto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215-236. DOI : 10.16981/kliss.48.201706.215 

  5. Y. J. Jung & Y. H. Cho. (2017). Topic Modeling-based Book Recommendations Considering Online Purchase Behavior.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8(4), 97-118. DOI : 10.15813/kmr.2017.18.4.004 

  6. Y. S. Jeong. (2018). A study on the Book Recommendation Model Using Big Data. 

  7. I. S. Choi & S. K. Park & Y. H. Cho & C. Y. Lee & A. W. Kim & W. C. Kim. (2020). Developing a Book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Reading Level Using Book Information and Book Review Dat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6(3), 179-189. DOI : 10.7232/JKIIE.2020.46.3.179 

  8. D. W. Park. (2020). A Study on Architecture for BigData-based Book Curation System 

  9. Keita Tsuji et al. (2014). Book Recommendation Based on Library Loan Records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Journal of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47, 478-486. DOI : 10.1016/j.sbspro.2014.07.142 

  10. Yonghong Tian & Bing Zheng & Yanfang Wang & Yue Zhang & Qi Wu. (2019). College Library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Hybrid Recommendation Algorithm. Journal of Procedia CIRP, 83, 490-494. DOI : 10.1016/j.procir.2019.04.126 

  11. B. H. Oh & J. H. Yang & H. J. Lee. (2014). A Hybrid Recommender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with Selective Utilization of Content-based Predicted Ratings. Journal of KISS : Software and Applications, 41(4), 289-294. DOI : 10.1016/j.procir.2019.04.126 

  12. K. J. Kim & H. C. Ahn. (2009). User-Item Matrix Reduction Technique for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6(1), 97-113. 

  13. Y. J. Lee & C. H. Lee. (2020). What Do The Algorithms of The Online Video Platform Recommend: Focusing on Youtube K-pop Music Video.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4), 1-13. DOI : 10.5392/JKCA.2020.20.04.001 

  14. Airoldi. M & Beraldo, D & Gandini, A. (2016). Follow the algorithm :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music on Youtube. Journal of Poetics, 57, 1-13. DOI : 10.1016/j.poetic.2016.05.001 

  15. S. Y. Yun & S. D. Yoon. (2020).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Technique Using Product Review Sentim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4(8), 970-977. DOI : 10.6109/jkiice.2020.24.8.970 

  16. J. Y. Kang & H. S. Lim. (2019). Proposal of Content Recommend System on Insurance Company Web Site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1), 201-206. DOI : 10.14400/JDC.2019.17.11.201 

  17. H. W. An & N. M. Moon. (2019). Influential Factor Based Hybrid Recommendation System with Deep Neural Network-Based Data Supplement.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24(3), 515-526. DOI : 10.5909/JBE.2019.24.3.515 

  18. E. Y. Bae & S. J. Yu. (2018). Keyword-based Recommender System Dataset Construction and Analysi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6(6), 91-99. DOI : 10.14801/jkiit.2018.16.6.91 

  19. J. E. Son & S. B. Kim & H. J. Kim & S. Z. Cho. (2015). Review and Analysis of Recommender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1(2), 185-208. DOI : 10.7232/JKIIE.2015.41.2.185 

  20. Barragans-Martinez, A. B. & Costa-Montenegro, E. & Burguillo, J. C. & Rey-Lopez, M. & Mikic-Fonte, F. A. & Peleteiro, A. (2010). A hybrid content-based and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pproach to recommend TV programs enhanced with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nformation sciences, 180(22), 4290-4311. DOI : 10.1016/j.ins.2010.07.024 

  21. Y. J. Jung & H. J. Kim. (2020).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3), 103-121. DOI : 10.16981/kliss.51.3.202009.103 

  22. H. S. Kim & B. R. Kang. (2019). Analysis of Research Topics among Library, Archives and Museums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4), 339-358. DOI : 10.16981/kliss.50.201912.3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