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의 온라인 수업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effect of university's online class support on learning participation through learning pres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5, 2021년, pp.269 - 277  

김지효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  임희주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의 운영 및 시스템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성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수업으로 이루어지는 공통교양과목 중 '대학영어2' 수강생 13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과 경로구조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대학의 운영지원이 학습자의 학습실재감에 정적인 영향을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대학의 운영지원이 학습실재감을 완전매개하여 학습참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환경특성 요인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원, 학습자 특성 요인으로 학습실재감, 학습참여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온라인 학습장면에서 학습참여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교수·학습 설계에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university's managing and system support in online classes on learning participation mediated by learning presence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35 students who take ...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2)

  1. Ministry of Education.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opTypeN&boardSeq82353 

  2. Y. J. Joo, J. Y. Kim & H. R. Choi. (2009).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corporate e-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4), 101-124. 

  3. G. Heo. (2014).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effect of e-learning.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 15(6), 77-84. 

  4. D. R. Garrison, T. Anderson & W. Archer. (2000).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2-3), 87-105. DOI: 10.1016/s1096-7516(00)00016-6 

  5. M. J. Wang & M. Kang. (2006). Cybergogy for engaged learning: A framework for creating learner engagemen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 M. S. Khine (Ed.),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pp.225-253),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DOI: 10.1007/1-4020-3669-8_11 

  6. K. D. Kim, Y. J. Ko, K. U. Choi & I. W. Park. (2012). A study on effectiv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8(1), 169-188. 

  7. M. H. Kang, H. Y. Jung, M. J. Kim, S. Y. Um, H. J. Park. (2009). Test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learning presence on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web-based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3(4), 937-960. 

  8. K. H. Pak & Y. M. Kim (2019). The difference analysis of learning presence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based on E-learning. Global e-Business Association, 20(5), 95-109. DOI: 10.20462/tebs.2019.10.20.5.95 

  9. N. Y. Lee & J. Y. Han. (2018). The effect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presence on transfer of learning TBL (Team-based learning) using flipped.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4), 951-960. DOI: 10.7465/jkdi.2018.29.4.951 

  10. S. O. Kim, B. M. Yu & E. H. Kim. (201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in flipped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80), 815-839. DOI: 10.22251/jlcci.2019.19.8.815 

  11. Y. M. Kim & K. H. Pak. (2018). The effects of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in e-learning. Global e-Business Association, 19(3), 99-115. 

  12. K. D. Kim. (2010). A Structural Analysis of Effect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gn Environment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3. Y. Lee. (2011).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Strategies,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in Cyber University e-Lear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4. S. R. Kim, E. K. Moon & I. W. Park. (2015).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E-learning readiness,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1(4), 687-710. DOI: 10.15833/kafeiam.21.4.687 

  15. J. A. Jeon, J. M. Lee & Y. J. Bae. (2019).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presence of university flipped learning classroo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2), 1-11. DOI: 10.14400/JDC.2019.17.12.001 

  16. J. S. Cho & H. M. Do. (2020). Relationships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ers' satisfaction in K-MOOC.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5), 551-572. DOI: 10.22251/jlcci.2020.20.15.551 

  17. P. J. Yoo. (2003). Learner-related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learner participa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of online graduate cours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9(4), 229-267. 

  18. E. J. Lee & I. W. Park. (2012). Identifying predictability of computer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learner participation on learner satisfaction in online realtime instruc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3), 195-219. 

  19. J. Y. Joo & J. H. Lee. (2005). A Study on the Criteria for Quality Assurance in Cyber Universiti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1), 98-130. 

  20. M. H. Kang, M. S. Park, J. Y. Jung & H. J. Park. (2009). The Effect of Interaction and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5(2), 67-85. 

  21. J. Reeve. (2013). How students create motivationally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themselves: The concept of agentic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5(3), 579-595. 

  22. C. E. Lance, M. M. Butts & L. C. Michels. (2006). The sources of four commonly reported cutoff criteria: What did they really say?.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9(2), 202-2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