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에 따른 니파팜의 성분 함량
Ingredient Contents of Nipa Palm(Nypa fruticans Wurmb.)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5, 2021년, pp.104 - 110  

김명기 (서원대학교 제약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니파팜의 추출방법에 따른 성분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니파팜을 에탄올 비율, 추출시간, 추출온도에 따라 추출 후 함량을 분석하였다. 추출용매 비율에 따른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50% 에탄올로 추출할 때 각각 36.91, 27.62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에 따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60℃에서 6시간 추출 시 각각 40.83, 37.63 mg/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니파팜의 주요성분을 에탄올 비율에 따라 함량을 분석한 결과 5-O-caffeoylshikimic acid는 70% 에탄올에서 2.08 mg/g, 4-hydroxybenzoic acid는 30% 에탄올에서 0.10 mg/g, 3,4-hydroxybenzoic acid는 50% 에탄올에서 0.12 mg/g의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추출방법에 따른 니파팜에 함유된 성분의 함량 변화를 통해 식품, 화장품 등 천연물 소재 개발 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contents of the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of nipa palm. The contents were analyzed by extraction according to the ethanol ratio, extraction time, and extraction temperature. The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accordin...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7)

  1. Y. H. Lee, W. K. Kim, H. A. Jung & W. K. Oh. (2017).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ipa palm(Nypa fruticans Wurmb) flower stalk.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30)5, 1080-1086. DOI : 10.9799/ksfan.2017.30.5.1080 

  2. O. T. Okugbo, U. Usunobun, A. Esan, J. A. Adegbegi, J.O. Oyedeji & C. O. Okiemien. (2012). A review of nipa palm as a renewable energy source in Nigeria. Research Journal of Applied Sciences, Engineering and Technology, 4(15), 2367-2371. 

  3. P. Nagendra et al. (2013).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capacity from Nypa fruticans Wurmb. fruit.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I, 1-9. DOI : 10.1155/2013/154606 

  4. G. S. Bae & S. J. Park. (2016).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Nypa fruticans Wurmb. frui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on RAW 264.7 cell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31(5), 79-84. DOI : 10.6116/kjh.2016.31.5.79. 

  5. M. S. Lovly & M. V. Merlee Teresa. (2017). In vitro bioactivity and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ypa fruticans. Wurmb: a mangrove from Kerala, India.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6(6), 42-52. 

  6. P. Tamunaidu & S. Saka. (2011).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various parts of nipa palm (Nypa fruticans).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34(3), 1423-1428. 

  7. K. T. Mohd et al. (2011). Biological and ethnobotanical characteristics of nipa palm (Nypa fructicans Wurmb.). Sains Malaysiana, 40(12), 1407-1412. 

  8. Y. J. Oh & E. S. Hwang. (2017). Quality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ream soup with wheat flour replaced by nipa palm (Nypa fruticans) powder.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4(33), 435-442. DOI : 10.23751/pn.v22i4.10632 

  9. C. Onanong & C. Boontaree. (2020). Sustainable nipa palm(Nypa fruticans Wurmb.) product utilization in Thailand. Scientifica, 3856203, 1-10. DOI : 10.1155/2020/3856203 

  10. S. Chongkhong & K. Srinoon. (2018). Nipa sap pretreatment for bioethanol fermentation. Songklanakari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40(4), 960-969. DOI : 10.2991/amsee-16.2016.9 

  11. O. Folin & V. Ciocalteu. (1927). On tyrosine and tryptophane determination in protein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 627-650. 

  12. M. K. Kim. (2016).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active components from adventitious roots of noni(Morinda citrifolia L.).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8(2), 111-116. DOI : 10.9721/KJFST.2016.48.2.111 

  13. J. Zhishen, T. Mengcheng. & W. Jianming.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istry, 64, 555-559. DOI : 10.1016/s0308-8146(98)00102-2 

  14. B. N. Park & J. W. Lee. (2017). Antioxidation activity of residue after omija(Schisandra chinensis) juice extract.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60(2), 95-100. DOI : 10.3839/jabc.2017.016 

  15. J. M. Jo, K. H. Choi, S. G. Shin, J. H. Lee & J. W. Kim. (2016)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amaranth leaf using statistically-based optimization.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4(3), 315-319. DOI : 10.9713/kcer.2016.54.3.315 

  16. B. Christel et al. (2016).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uterpe oleracea roots and leaflet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8(61), 1-15. DOI : 10.3390/ijms18010061 

  17. K. C. Kim & J. S. Kim. (2019).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weet wormwood tea extracts using different solvents.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46, 338-345. DOI : 10.5010/JPB.2019.46.4.3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